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2014 경제 회복의 분수령)

금재호, 김용하, 박승록, 정덕구, 최공필, 한상완, 이영, 허경욱, 오정근, 이용만, 김정식, 신민영, 임원혁, 박종규, 김주한 (지은이), NEAR재단 (엮은이)
21세기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2014 경제 회복의 분수령)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53638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4-01-13

책 소개

한국은 그동안 압축 성장과 압축 고도화, 압축 근대화, 압축 민주화 그리고 압축 고령화의 길을 걸어왔다. 그 과정에서 장기 성장 추세선 하락이 지속되는 침체에 빠졌다. 우리를 둘러싼 세계경제의 여건 또한 2014년의 엄중함을 한층 더 강하게 만들었다.

목차

프롤로그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_ 정덕구

PART1. 2014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경제의 대응
1. 세계경제 변화에 대응할 우리의 전략은?_ 허경욱
2. 급변하는 세계경제의 흐름과 동북아 경제지형, 무엇이 2014년 한국경제를 위협할 것인가?_ 오정근

PART2. 2014년 한국경제 전망과 단기 경제정책 과제
1. 2014년 한국경제, 호전인가 정체인가?_ 한상완
2. 2014년 우리 경기 활성화 될 수 있을까?
1) 2014년 기업투자 살아날 것인가?_ 한상완
2) 일자리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는 무엇인가?_ 금재호
3. 2014년 올바른 부동산 경기 활성화 대책은 무엇인가?_ 이용만
4. 증가일로의 가계부채, 현실적으로 풀어갈 대책은 무엇인가?_ 오정근
5. 2014년 한국의 통화 및 환율정책 방향은 무엇인가?
1) 일본형 장기 디플레 초기 현상? 2014년 한국의 통화정책 대응전략은 무엇인가?_ 김정식
2) 2014년 환율정책, 어떻게 될 것인가?_ 신민영
6. 2014년 세제 개혁, 다시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_ 이영
7. 고공행진의 생활물가, 안정시킬 대책은 무엇인가?_ 오정근

PART3. 한국경제 구조적 과제, 장기추세선 하락을 우려한다
1. 기로에 선 한국경제: 성장, 고용, 복지의 선순환을 위한 주요 정책 과제_ 임원혁
2. 한국경제 장기추세선 하락 전망, 이대로 둘 것인가?_ 김정식
3. 복지정책 수요 증가와 재정 건전성 확보, 정부의 올바른 선택은 무엇인가?
1) 늘어나는 복지정책 수요와 정부의 올바른 대응은?_ 김용하
2) 2014년 재정정책 방향은?_ 박종규
4. 신성장동력 확보와 창조경제, 그리고 동아시아 부가가치사슬 속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1) 신성장동력 확보와 창조경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_ 김주한
2) 시계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동아시아의 부가가치 사슬, 그리고 한국의 역할은?_ 박승록
5. 금융 생태계의 근본적인 결함, 대책은 없나?_ 최공필

에필로그 현실의 벽을 넘으려면 : 정치?정책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높여야_ 정덕구

부록 NEAR재단 주최 "2014 한국경제 전망과 정책 과제" 핵심 5가지 주제에 대한 패널 토론

미주

저자소개

김용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산재보험 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방안>
펼치기
김용하의 다른 책 >
박승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노던 일리노이 대학(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한국 제조업의 마컵, 규모의 경제, 가동률과 총요소생산성”이란 주제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연구원(KIET), 삼성경제연구소(SERI), 한국경제연구원(KERI)에서 주로 국가 간 산업, 기 업 수준에서의 생산성 연구를 하였다. 현재 한성대학교 경제학과에 재직하면서 미시경제, 산업 조직, 통계학, 계량경제, 규제경제, 중국경제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국내논문으로는 “우리나라 지역별 제조업 생산성”,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일자리창출 및 성장”, “세계 기업 생산성의 추격-피 추격에 관한 연구”(이상 생산성논집), “기업가 정신의 결정요인, 성과와 발현의 인과관계”(중소기업연구), “중국의 성별 1인당 국민소득의 수렴화”(동 북아경제연구) 등이 있다. 주요 해외논문으로는 “Club Convergence and Factors of Digital Divide across Countries” (Techn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Has Korean Chaebol Model Succeeded?” (Journal of Economic Studies), “Information Technology,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Asian Economic Journal), “A Review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Studi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Rapid Economic Growth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and Little or No Productivity Growt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등이 있다. 주요저서로는 『계량경제학 방법론』(비봉출판사), 『중국 일류기업을 찾아서』(굿인포메이션), 『中國的經濟增長和外商投資』(中國高等敎育出版社) 등이 있다. 이런 연구업적으로 “매경이코노미스트상”, “매경비트학술상”, “중소기업학회 논문상”, 2018년 앨버트 넬슨 마퀴스 평생공로상(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받았다. 미국의 “마퀴스 후스 후(Marquis Who's Who)” 인명사전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펼치기
정덕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에 대해 정통한 중국 전문가다.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공헌한 산 증인이다. 후학을 지원하는 일에 앞장서 인재를 키워내는 학자다. 고려대학교 상대를 졸업하고 위스콘신대 매디슨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MBA)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에 합격하고 1997년 재정경제원 차관보 당시 외환위기 수습에 전력을 다하였으며 재정경제부 차관을 거쳐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중국 베이징(北京)대 초빙교수·런민(人民)대 객좌 초빙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쳐왔다. 현재 니어재단(North East Asia Research)의 이사장이다. 저서로는『거대 중국과의 대화』『외환위기 징비록』『키움과 나눔을 넘어서』『동아시아시대의 준비』(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최공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자문단장이다. 아시아 자산의 신뢰기반을 넓히기 위한 아세안+3ASEAN+3의 아시아적격담보포럼APCF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학교와 버지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에서 조사부 연구위원 및 은행감독국 선임자문역,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컨설턴트를 역임했다. 국내에서는 국정원 경제 담당 국가정보관(차관보급), 우리금융지주 최고전략책임자CSO 및 리스크관리CRO 담당 전무, 재경부 IMF-OECD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수출입은행 비상임이사, 한국금융연구원 미래금융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엄격하게 관리되어 왔던 신뢰토대의 확장과 함께 인간의 생활양식과 사회 전반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한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이 나서서 암호화폐의 생태계를 이끌어나가는 것이야말로 암호화폐의 본질에 부합하는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 기존의 법적 신뢰주체와 기득권 위주의 지배구조가 분산장부 기술과 암호화폐를 통한 또 다른 형태의 중앙집권화로 이어지고 있기에 신뢰기반의 확장과 분산이 어렵다고 비판한다. 무엇보다도 초연결 환경에서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기득권들은 사회적 책임에 눈뜬 민간의 진정한 주인 역할을 가로막지 말고 다수의 참여에 바탕을 둔 새로운 개방 생태계 조성에 주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지은 책으로는 공저로 《빅데이터 4.0》《한국경제, 벽을 넘어서》《날자, 날아보자 한국 경제》가 있다.
펼치기
한상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자이자 민간연구소 연구소장이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시립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다. 1992년부터 30년 가까이 현대경제연구원에서 한국 및 세계 경제 연구를 위해 노력했다. 이후 현대경제연구원 대표를 거쳐, 현재 2.1지속가능연구소 소장으로 심각해지는 한국 인구문제는 물론 세계 경제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그동안 지식경제산업부 자문위원, 외교통상부 자문위원,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회 심의위원, 연합뉴스TV 자문위원 등 다양한 대외활동을 해왔다. 또한, 연합인포맥스 《주간전망대》, 《한상완의 오아시스》 등 증권 및 경제 방송을 오래 진행했다. 저서로는 《경제를 보는 두 개의 눈》을 비롯해 수십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이다. 서울대 경제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메릴랜드대 경제학과 부설 IRIS 연구위원, 세계은행 컨설턴트, 한국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쳤다. 현재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민간위원이기도 하다. 2006년 한국재정학회로부터 한국재정공공 경제학상을, 2008년 한국경제학회로부터 청람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로젠의 재정학》(공저, 편역)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허경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
펼치기
오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시아금융학회장
펼치기
이용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같은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을 지냈고,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밀워키 캠퍼스) 방문학자와 한성대학교 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한국주택학회와 한국부동산분석학회의 편집위원장과 학회장을 지냈다. 부동산투자 및 금융, 부동산경제, 주거복지정책 등의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부동산 금융론: 이론과 실제』(2017), 『부동산 정책론』(2009) 등이 있다. 연구논문으로 “주택연금 재가입금지기간의 도입 및 완화가 중도해지에 미친 영향”(2021), “공공임대리츠가 인근지역 주택임대료에 미친 영향: 이중차분법과 이벤트 연구의 적용”(2021), “주택임대차시장에서 재계약 임대료는 할인되는가?: 교체비용과 비대칭 정보, 그리고 협상”(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장, 차기 한국경제학회장
펼치기
신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펼치기
임원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개발연구원 경쟁정책연구부장
펼치기
박종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대학에서 통계학 석사, 프린스턴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팀장 및 연구총괄위원장, 스탠퍼드 대학 아태연구소 방문학자,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을 지냈다. 한국재정학회 이사, 한국경제학회 이사, 한국국제경제학회 이사, 한국금융학회 부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재정학회 부회장, 경제사상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공저), 「한국경제의 구조적 과제: 임금 없는 성장과 기업저축의 역설」, 「낙수효과 복원을 위한 정책과제: ‘가계소득 증대 3대 패키지’의 쟁점과 대안」, 「디플레이션 우려와 정책대응방향」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산업연구원 위촉선임연구위원
펼치기
NEAR 재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07년에 설립된 국내 굴지의 순수 민간 독립 싱크탱크. 설립 이후 경제·외교·안보 등 국정 각 분야에 걸쳐 국가·사회에 울림이 있는 외침을 끊임없이 계속해오고 있다. 수많은 세미나와 연구 보고서, 책을 통해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외교안보 포럼인 ‘NEAR Watch 포럼’, 동북아 3국 회의인 ‘한중일 Seoul Process’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여나가기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국적 있는 중국 연구의 중심지로서 중국 연구에 있어서는 국내 최고의 싱크탱크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 중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그 연구 업적에 대하여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경제 분야의 ‘시장 경제와 사회 안전망 포럼’은 중도시장주의를 지향하며 양극단화하고 있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에 대하여 많은 대안을 제시한다. NEAR재단은 주로 국책 연구소와 민간 연구기관들이 할 수 없는 ‘시대를 가르는 국가적 주제’를 설정하고 연구팀을 구성하여 한국의 미래를 위한 답을 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책은 NEAR재단이 창립 15주년을 기념하여 진행한 시진핑 시대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최악의 상황은 미국의 원화 절상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1,000원으로 하락할 경우이다. 이때 2014년 성장률은 3.3%이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 비해 0.3%p 낮아진다. 2014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원/달러 환율의 큰 폭 하락으로 0.3%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14년도 수출은 2013년에 비해 4.0% 증가한 5,826억 달러가 예상된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 비해 84억 달러 적은 수치다. 수입은 환율 하락으로 첫 번째 시나리오보다 177억 달러 증가한 5,854억 달러를 기록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임대주택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준공공임대주택 사업자나 매입임대 사업자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저소득층을 위해 낮은 임대료로 장기간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준공공임대주택 사업자에게는 투자세액공제나 증여·상속세의 대폭 감면 등과 같은 파격적인 지원이 있어야 활성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계의 원리금 지불 가능성을 높여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자가 구입 희망자에게는 일반적인 모기지에다가 수익공유형 모기지를 결합하여 원리금 지불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하우스푸어에 대해서도 기존 차입금을 수익공유형 모기지로 바꾸어줌으로써 이들의 원리금 지불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세수 확충 목표치를 GDP의 21.5%까지 높여야 한다. 2017년 20.1%로 설정된 현재의 세수 목표치는 공약사업에 필요한 재원에 턱없이 부족하다. 재정수지를 균형으로 맞추도록 세수 확충과 지출 축소 둘 다 필요한 실정이다. 2018년의 조세 부담률 목표치를 현재의 20.1%에서 21.5%로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부 세목의 세율을 올리는 직접적인 증세가 필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