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식사회의 인간관계

지식사회의 인간관계

(인공지능시대의 인간경영, 제3판)

김종재 (지은이)
박영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5,1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300원 -10% 1010원 17,260원 >

책 이미지

지식사회의 인간관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식사회의 인간관계 (인공지능시대의 인간경영,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07817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19-08-10

책 소개

총 16장을 12장으로 요약 정리한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 교재로, 일반인의 교양서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하였다. 인간관계는 실천과학이라는 입장에서 역사적 사례들을 보완하여 인간관계를 학습하고 실천하는 데 이론과 실용 양면에서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목차

제1부 인간의 길―인간관계의 길

제1장 인간관계와 인간의 본성
Ⅰ. 인간관계의 전제조건―인간이란 무엇인가? 5
1. 인간이란 무엇인가? ∙∙∙ 6
2. 인간의 본성에 대한 견해 ∙∙∙ 8
3. 현대 사회의 인간상황 ∙∙∙ 14
Ⅱ. 인간관계의 발전과정 17
1. 조직사회에서의 인간관계란? ∙∙∙ 19
2. 행동과학과 인간관계 ∙∙∙ 24
Ⅲ. 인공지능시대의 인간관계 27
1. 인공지능시대의 태동 ∙∙∙ 27
2. 인공지능의 기능 ∙∙∙ 28
3. 인공지능과 인간생활의 변화 ∙∙∙ 29
4. 인공지능과 마음 ∙∙∙ 30

제2장 인간의 잠재능력과 창의력 개발
Ⅰ. 잠재능력 개발 35
1. 잠재능력이란 무엇인가? ∙∙∙ 35
2. 조직생활에서 잠재능력을 발휘하는 지혜 ∙∙∙ 37
3. 잠재능력의 사례 ∙∙∙ 38
4. 잠재능력 개발을 위한 잠재의식의 활용 ∙∙∙ 40
5. 잠재능력 개발을 위한 기본자세 ∙∙∙ 42
6. 생명력 있는 삶을 위하여 ∙∙∙ 46
Ⅱ. 인간의 창의력 개발 47
1. 인간의 창의성과 잠재능력 ∙∙∙ 47
2. 창조와 상상력의 관계 ∙∙∙ 49
3. 창의적 능력의 형성 ∙∙∙ 51
4. 창조적인 의사결정방법의 개발 ∙∙∙ 55
Ⅲ. 창조적 예방경영능력의 개발 63
1. 예방경영이란? ∙∙∙ 63
2. 예방경영의 전제 조건 ∙∙∙ 64
Ⅳ. 인생의 길―의사결정의 길 70
1.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 70
2. 역사에서 본 의사결정의 사례 ∙∙∙ 72
3. 의사결정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74
4. 의사결정과 행동 ∙∙∙ 79
5. 의사결정의 일반적 과정 ∙∙∙ 84
Ⅴ. 의사결정과 인공지능의 활용 88

제3장 인공지능시대의 문화창조
Ⅰ. 문화와 인간 93
1. 문화란 무엇인가? ∙∙∙ 93
2. 문화의 특성 ∙∙∙ 93
3. 문화는 왜 중요한가? ∙∙∙ 94
Ⅱ. 한국의 전통문화와 그 변화 95
1. 민족공동체 이념의 형성 ∙∙∙ 95
2. 공동체의 실체 ∙∙∙ 97
3. 전통적인 공동체문화의 붕괴 ∙∙∙ 99
4. 한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변동 ∙∙∙ 100
5. 새로운 한국문화 창조를 위한 길 ∙∙∙ 102
Ⅲ. 문화의 창조 104
1. 문화의 창조자 ∙∙∙ 104
2. 인류 문화 창조의 시조들 ∙∙∙ 105
Ⅳ. 지식경영시대, 인공지능시대의 조직문화―밥상문화 퇴출 106
1. 인공지능시대의 특징 ∙∙∙ 106
2. 지식경영시대(인공지능시대)의 조직문화 패러다임 ∙∙∙ 108
3. 인공지능시대의 문화변동 ∙∙∙ 113

제2부 인간의 삶과 인간관계

제4장 동기부여와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
Ⅰ. 모티베이션(Motivation)의 기본모형 119
1. 모티베이션의 본질은 무엇인가? ∙∙∙ 119
2. 모티베이션의 기본모형 ∙∙∙ 119
3. 욕구의 강도 ∙∙∙ 120
4. 복합적인 욕구 ∙∙∙ 121
5. 욕구장애의 극복 ∙∙∙ 122
Ⅱ. 어떻게 인간의 동기를 부여할 것인가? 123
1. 내용이론 ∙∙∙ 126
2. 과정이론 ∙∙∙ 133
Ⅲ. 인간행동의 수정―벌의 효과적인 관리 142
1. 벌의 효과적 적용조건 ∙∙∙ 142
2. 벌의 대안 ∙∙∙ 144
3.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을 위한 덕목 ∙∙∙ 145

제5장 인간의 삶과 가치관
Ⅰ. 가치관과 인간관계 153
1. 가치관이란 무엇인가? ∙∙∙ 153
2. 가치관은 어떻게 형성하는가? ∙∙∙ 154
3. 현대사회의 가치관 형성의 영향요인 ∙∙∙ 155
4. 동․서양의 가치관 비교 ∙∙∙ 156
5.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기준 ∙∙∙ 157
6. 가치관의 유형 ∙∙∙ 160
Ⅱ. 한국 사회의 가치관의 문제 162
Ⅲ. 인간의 삶과 태도 166
1. 태도의 의미에 대하여 ∙∙∙ 166
2. 태도의 구성요소 ∙∙∙ 166
3. 태도형성의 원천 ∙∙∙ 167
4. 태도의 기능 ∙∙∙ 168
5. 태도의 변화 ∙∙∙ 171

제6장 인간의 상호작용과 인간관계
Ⅰ. 퍼스낼리티(Personality)와 인간관계 179
1. 퍼스낼리티란? ∙∙∙ 179
2. 퍼스낼리티의 결정요인 ∙∙∙ 180
3. 퍼스낼리티의 이론 ∙∙∙ 183
4. 퍼스낼리티의 변화 ∙∙∙ 186
Ⅱ. 지각과 인간관계 189
1. 지각이란―세상을 보는 눈 ∙∙∙ 189
2. 지각의 영향요인 ∙∙∙ 191
3. 타인에 대한 지각의 어려움(역사적 사례) ∙∙∙ 199
4. 지각의 오류로 일어난 역사적 사건 ∙∙∙ 203
Ⅲ. 인간의 상호작용 206
1. 인간의 특징―동물과 다른 점 ∙∙∙ 206
2.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 208
3. 현대인의 인간관계 ∙∙∙ 213
4. 바람직한 생활자세 ∙∙∙ 221

제7장 집단에서의 인간행동
Ⅰ. 집단의 형성과 발전 229
1. 집단(Group)이란 무엇인가? ∙∙∙ 229
2. 집단형성의 이유 ∙∙∙ 231
3. 집단의 유형 ∙∙∙ 233
4. 집단의 발전 ∙∙∙ 235
Ⅱ. 집단역학의 활용 239
1. 집단역학의 실전―위대한 장군들은 집단을 어떻게 관리하였는가? ∙∙∙ 239
2. 집단의 역학을 분석하는 방법 ∙∙∙ 241
3. 집단응집성 ∙∙∙ 243
Ⅲ. 효과적인 집단의사결정 방안 248
1. 집단의사결정의 합리적 대안 ∙∙∙ 248
2. 효율적 집단의사결정의 방법 ∙∙∙ 250
3. 지배적 인물과 집단의사결정의 함정 ∙∙∙ 252

제8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Ⅰ.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257
1. 커뮤니케이션―인체의 혈관 ∙∙∙ 257
2.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 260
3.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 263
Ⅱ.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266
1. 활성화를 위한 기본 원칙 ∙∙∙ 267
2. 효과적인 매체 선택 ∙∙∙ 270
3. 디지털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활용 ∙∙∙ 270
4. 상하향식 커뮤니케이션의 사례 ∙∙∙ 271
5.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소 ∙∙∙ 275
Ⅲ.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사례 276

제9장 인간사회의 갈등관리
Ⅰ. 현대 조직사회와 갈등 285
1. 인간의 역사: 갈등의 역사 ∙∙∙ 285
2. 갈등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86
Ⅱ. 갈등의 발생원인과 결과 292
1. 갈등의 발생원인―갈등은 왜 발생하는가? ∙∙∙ 292
2. 집단간 갈등의 결과 ∙∙∙ 295
Ⅲ. 집단간 갈등의 관리 298
1. 적당한 갈등의 조장 ∙∙∙ 298
2. 해결을 통한 집단간 갈등의 관리 ∙∙∙ 299
3. 자극을 통한 집단간 갈등의 관리 ∙∙∙ 301
Ⅳ. 갈등해결을 위한 수평적 사고 303
1.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한 요소 ∙∙∙ 303
2. 갈등해결을 위한 탈출구 ∙∙∙ 304
3. 수평적 사고 ∙∙∙ 305
4. 갈등의 예방관리는 가능한가? ∙∙∙ 306
5. 집단간 갈등관리의 통합모형 ∙∙∙ 307

제3부 공동선의 길을 찾아

제10장 인간의 정서와 인간관계
Ⅰ. 인간의 정서 315
1. 인간의 마음 ∙∙∙ 315
2. 인간과 사랑―사랑, 위대한 불꽃(괴테) ∙∙∙ 322
3. 인간과 행복 ∙∙∙ 333
4. 어떤 사람들이 행복할까? ∙∙∙ 335
Ⅱ. 성공적인 가정생활 338
Ⅲ. 건강과 스트레스 관리 348
1. 현대사회는 스트레스의 사회 ∙∙∙ 348
2. 스트레스 관리의 종합모델 ∙∙∙ 349
3. 스트레스의 원인 ∙∙∙ 349
Ⅳ. 종교와 인간생활 357
1. 인공지능시대와 인간소외 ∙∙∙ 357
2. 인간의 소외와 종교의 역할 ∙∙∙ 360
3. 현대사회와 종교의 위기 ∙∙∙ 363

제11장 미래의 리더십(Leadership)
Ⅰ. 지식사회와 리더십의 중요성 371
1. 리더십은 왜 중요한가? ∙∙∙ 371
2.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372
Ⅱ. 리더십의 유형 373
1. 지도력의 3가지 과정 ∙∙∙ 374
2. 지도자의 선택 ∙∙∙ 378
3. 리더십 스타일(Leadership Style) ∙∙∙ 379
Ⅲ. 동양사상과 리더십 381
1. 유(儒), 불(佛), 선(仙)과 지도자상 ∙∙∙ 381
2. 동양사상의 근본 ∙∙∙ 384
3. 통합의 시대를 위해 살았던 지도자들 ∙∙∙ 385
Ⅳ. 리더십 수행 386
1. 리더십의 근원―권력의 획득과 그 유지에서 ∙∙∙ 386
2. 권력을 유지하는 역사적 사례 ∙∙∙ 392
Ⅴ. 미래사회의 리더십 394
1. 통합적 리더십의 시대 ∙∙∙ 394
2. 시대상황과 통합적 리더십 ∙∙∙ 398
3. 바람직한 통합형 지도자상 ∙∙∙ 398
4. 역사를 바꾼 위대한 지도자들 ∙∙∙ 401
5. 미래 지도자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모델 ∙∙∙ 404

제12장 공동선의 세계를 위하여
Ⅰ. 공동선의 길 419
1. 왜 공동체인가? ∙∙∙ 419
2. 공동선의 세계를 위한 인류의 과제 ∙∙∙ 421
Ⅱ. 삶의 의미를 찾아서 431
1. 인간은 왜 무상한가? ∙∙∙ 431
2. 어떻게 무상을 극복할 것인가? ∙∙∙ 433
Ⅲ. 의미 있는 삶 437
1. 삶과 죽음 ∙∙∙ 437
2. 깨달음이 길 ∙∙∙ 439
3. 의미 있는 삶의 모습 ∙∙∙ 443
Ⅳ. 미래 인류의 과제―신인본주의 추구 446
1. 인본주의(Humanism)란? ∙∙∙ 446
2. 신인본주의 모색 ∙∙∙ 448
3. 인간의 미래에 희망, 희망을! ∙∙∙ 449
Ⅴ.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삶의 3대 핵심요인 450
1. 시대의식을 가져라(의식의 혁신) ∙∙∙ 451
2. 삶의 무기를 개발하라 ∙∙∙ 453
3. 포기하지 말라 ∙∙∙ 455

색 인 459

저자소개

김종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경상대학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경영학박사)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경영대학원 연구교수 신용보증기금 경영지도위원 광주경실련 공동대표 금호고속 인력개발고문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장, 경영대학원장 전남대학교 사회교육원장 전남대학교 대학원장 한국인사조직학회 부회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대한경영학회 회장 2019년 현재 전남대학교 명예교수광주대 이사, 광주방송 사외이사(사)평화아카데미 이사장 [저서] 조직행위론(박영사, 1985) 의사결정의 분석(한국경제신문, 1986) 환경변화와 중소기업의 대응전략(중소기업중앙회, 1987) 인사관리론(공저, 경음사, 1988) 중소기업경영론(박영사, 1991) 조직행동론(박영사, 1992) 현대중소기업경영론(박영사, 1998) 인적자원관리(공저, 법문사, 2001) 인간관계론(박영사, 2003) 중소기업의 창업과 경영(공저, 박영사, 2005) 경영의 이해(공저, 박영사, 2006) 예방경영의 인생을 위하여(오래, 2012) 역사는 강자의 편이었다(마인드탭, 2018) [수상경력] 산학협동상 수상(1988) 광주 민주유공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65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