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보험계리사
· ISBN : 9791130309699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0-03-10
책 소개
목차
제1장 리스크(RISK)
1. 리스크의 이해 3
2. 리스크의 종류 7
2.1 투기적 리스크(Speculative risk) vs. 순수한 리스크(Pure risk) 7
2.1.1 투기적 리스크 7
2.1.2 순수한 리스크 7
2.1.3 손해 익스포저의 분류 8
2.2 금융 리스크(Financial risk) vs. 비금융 리스크(Non-financial risk) 9
2.1.1 금융 리스크(Financial risk) 9
2.2.2 비금융 리스크(Non-financial risk) 10
2.3 체계적 리스크(Systematic risk) vs. 비체계적 리스크(Non-systematic risk) 12
2.3.1 체계적 또는 시스템 리스크(Systematic risk) 12
2.3.2 비체계적 리스크(Non-systematic risk) 13
3. 리스크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14
3.1 Peril 14
3.2 Hazard 14
4. 리스크의 진행과정 16
5. 리스크 대응 방법 17
5.1 위험회피(Avoidance) 17
5.2 손해방지와 조정(Loss prevention and control) 18
5.3 위험감수 또는 보유(Retention) 19
5.4 위험전가(Risk Transfer) 20
6. 리스크관리(Risk Management) 프로세스 22
6.1 목표, 목적 설정(Establishing objectives and context) 24
6.2 리스크 확인(Identifying exposures to loss) 26
6.3 리스크 분석과 평가(Analyzing and evaluating risks) 27
6.3.1 모델링에 의한 분석 27
6.3.2 위기상황분석(Stress test) 29
6.4 리스크관리 프로그램 선택과 실행 30
6.4.1 리스크관리 프로그램 선택(Selecting the risk management programs) 30
6.4.2 리스크관리 프로그램의 실행(Implementing the risk management programs) 32
6.5 리스크관리 프로그램의 모니터링(Monitoring and reviewing the program) 32
6.6 문서화 작성(Documenting the report) 32
7. 리스크 이론(Risk Theory) 33
7.1 기대효용 이론(Expected Utility Theory) 33
7.2 게임이론(Game Theory) 36
8. 전사적 리스크관리(ERM, Enterprise Risk Management) 37
8.1 ERM의 정의와 개념 38
8.2 ERM 프로세스 41
8.3 ERM의 설명논리 42
8.4 기타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44
8.4.1 COSO의 ERM Framework 45
8.4.2 AS/NZS의 리스크관리 프로세스 46
제2장 보험계리사(ACTUARY)
1. 보험계리사(Actuary)의 정의와 역할 48
2. 보험계리사의 전문성(Professionalism) 50
2.1 보험계리사의 행동강령 52
2.1.1 미국 보험계리사 행동강령(Code of Professional Conduct) 52
2.1.2 한국 보험계리사 행동강령 54
2.2 계리업무시 고려사항 56
2.2.1 결과물의 비도덕적인 활용 56
2.2.2 다른 이해당사자에 대한 고려 57
2.2.3 계리모델이 아닌 외부전문 모델의 이용(Using models outside the Actuary’s area of Expertise) 57
3. 보험계리업무관리 프로세스 59
4. 보험계리업무의 외부적 고려사항 60
4.1 전문성 관련 사항 61
4.2 규제 관련 사항 62
4.3 정부와 사법적 관련 사항 62
4.3.1 정부 정책(Governmental policy)에 관련된 사항 62
4.3.2 사법적인 판결(Judicial Judgment)에 관련된 사항 65
4.4 물리적 사항 66
4.4.1 기술의 발전(Technical development) 66
4.4.2 자연재해(Natural disaster) 67
4.4.3 인재(Man-made disaster) 68
4.5 경제적 사항 68
4.6 사회, 문화적인 사항 69
4.7 보험산업적인 사항 71
4.7.1 금융겸업화 71
4.7.2 보험판매채널(distribution channel) 71
4.7.3 경쟁시장(competitive market) 73
제3장 보험상품(PRODUCTS)
1. 인생사이클(life cycle)의 재무상태(financial status) 76
2. 인생사이클(life cycle)의 재무상태(financial status) 리스크 78
2.1 개인의 재무상태 리스크 78
2.2 기업의 재무상태 리스크 79
3. 보험상품 81
3.1 생명보험(Life Insurance)상품 82
3.1.1 보장형태에 따른 분류 83
3.1.2 가입목적에 따른 분류 85
3.1.3 이자율(interest rate)에 따른 분류 86
3.1.4 투자실적에 따른 분류 86
3.2 손해보험(Property&Casualty Insurance)상품 88
3.2.1 장기손해보험 89
3.2.2 일반손해보험 89
3.3 제3보험 95
3.3.1 질병보험(sickness insurance) 96
3.3.2 상해보험(accident insurance) 98
3.3.3 장기 간병보험(LTC, long-term care insurance) 99
4. 보험상품 설계 프로세스 99
4.1 신상품의 필요성 이해와 상품전략 계획 100
4.1.1 신상품의 필요성 이해 100
4.1.2 상품전략 계획 103
4.2 상품개발 105
4.2.1 프로세스 관리 106
4.2.2 상품전략 계획에서 논의된 리스크 107
4.2.3 경쟁, 시장상황, 요율산정 107
4.2.4 이해당사자 108
4.2.5 판매개시 전 검토사항 109
4.3 상품판매 109
4.3.1 상품이 유통되는 과정 110
4.3.2 수용 가능한 리스크를 결정하는 과정 112
4.3.3 상품관리 113
4.3.4 상품판매에 의한 자산과 부채를 관리하는 과정 113
4.4 모니터링(정보수집과 결과분석) 114
4.5 보험상품 설계 프로세스와 보험계리사 114
제4장 보험데이터의 이해(DATA)
1. 보험데이터 116
1.1 데이터의 질에 관한 표준규범(ASOP No. 23) 117
1.1.1 정의 117
1.1.2 표준규범 118
1.1.3 의사전달과 공시(communications and disclosures) 121
2. 경험데이터의 분석 123
2.1 분석하는 이유 123
2.1.1 과거와 다른 경험데이터 내용 123
2.1.2 가정의 검증 124
2.1.3 손익 분석 지원 124
2.1.4 회사에 정보 제공 124
2.1.5 규제 환경에 대응 124
2.2 분석의 다양성과 범위 125
2.2.1 손해보험 분야 125
2.2.2 생명보험 분야 126
2.3 분석의 다양성 126
2.3.1 상품의 구성요소 분석 127
2.3.2 비용요소 분석 129
2.4 데이터의 고려사항 131
3. 모델링 133
3.1 보험산업에서의 모델(예시) 134
3.1.1 자동차보험 134
3.1.2 저축성상품 134
3.1.3 연금급부 가치평가 135
3.1.4 사망률 분석 135
3.2 GLM(Generalized Linear Model) 135
3.2.1 GLM의 수학적 기초 135
3.2.2 모델 데이터 137
3.2.3 사전 데이터 분석 139
3.2.4 GLM의 결과물 142
3.2.5 GLM 결과의 평가 144
3.2.6 GLM의 고려사항 147
제5장 보험요율산정(PRICING)
1. 요율산정의 원칙 150
1.1 필수적 원칙 151
1.2 이상적 목표 154
2. 보험요율의 종류와 산정방법 155
2.1 스케쥴요율방법(schedule rating) 158
2.2 경험요율방법(experience rating) 159
2.3 참조요율(reference rate) 160
2.4 비통계요율 161
2.4.1 협의요율 161
2.4.2 판단요율 162
2.5 소급요율방법(retrospective rating) 163
3. 보험료 구성과 분류 163
3.1 생명보험 163
3.2 손해보험 165
4. 사업비와 목표이익 167
4.1 사업비의 이해 167
4.2 고정비와 변동비 170
5. 민감도 테스트 172
제6장 책임준비금 산정(LOSS RESERVING)
1. 책임준비금의 구성과 정의 176
2. 보험료 적립금 178
2.1 보험료 적립금 산정 178
2.2 해약환급금 180
2.2.1 해약환급금의 계산 180
2.2.2 표준해약환급금 182
2.2.3 신계약비 이연?상각 183
3. 미경과보험료 준비금 184
4. 지급 준비금 187
4.1 지급준비금 정의 189
4.1.1 기보고사고(known claims) 지급준비금 189
4.1.2 미보고사고(unknown claims) 지급준비금 190
4.2 지급준비금 평가일 190
4.3 지급준비금 항목 191
4.4 지급준비금 산출 192
4.4.1 지급보험금 진전추이방식 194
4.4.2 본휴더-퍼거슨 방법 198
제7장 보험과 리스크관리(INSURANCE & RISK MANAGEMENT)
1. 보험상품, 담보, 가격과 관련된 리스크 요소 203
2. 보험회사의 리스크 관리 해법 206
2.1 재보험 207
2.1.1 재보험의 특성 207
2.1.2 재보험의 일반원칙 209
2.1.3 재보험의 종류 210
2.1.4 금융재보험(Finite Reinsurance) 214
2.2 보험연계증권(ILS, Insurance-Linked Securities) 215
2.2.1 보험연계증권의 역사 215
2.2.2 캣본드(Catastrophe Bond) 216
2.2.3 보험연계증권의 장?단점 216
2.2.4 보험연계증권의 미래 217
2.3 장수위험 관리 218
2.4 해약 리스크 관리 218
2.5 자기부담금 제도(Deductible) 219
2.5.1 자기부담금의 필요성 및 효과 219
2.5.2 자기부담금의 종류 220
2.6 의료보험 일부분담 조항(Coinsurance clause) 222
2.7 재물보험 일부분담 조항(Coinsurance clause) 223
2.8 중복보상 조항(기타보험 조항, Other insurance provision) 224
2.8.1 비례분할 분담조항(Pro rata liability) 224
2.8.2 독립책임액 분담조항 225
2.8.3 동일비례 분담조항(Contribution by equal share) 225
2.8.4 우선순위 분담조항(Primary and excess clause) 225
2.8.5 단체건강보험의 우선순위 분담조항(COB, Coordination of Benefit) 226
2.9 공동인수제도(Risk Pooling) 226
2.10 리스크전가의 대체방법(ART, Alternative Risk Transfer) 227
2.10.1 ART의 종류 228
제8장 자산: 리스크와 관리(ASSET, RISK, MANAGEMENT)
1. 자산에 대한 이해 232
1.1 자산의 종류 233
1.1.1 단기자산 233
1.1.2 장기자산 234
1.2 자산의 가치 평가 235
2. 자산 리스크 237
3. 시장리스크(Market risk) 239
3.1 시장리스크 개요 239
3.2 전통적인 위험측정 240
4. 자산?부채 종합관리(ALM) 241
4.1 자산과 부채의 관계 241
4.2 자산?부채 리스크 242
4.3 ALM의 개요와 목적 243
5. VaR(Value at Risk) 246
5.1 VaR의 개요 246
5.2 VaR의 측정 247
5.2.1 모수적(Parametric) 방법 248
5.2.2 조건부 테일 기댓값(Conditional Tail Expectation) 249
5.2.3 비모수적(Non-Parametric) 방법 250
5.3 역사적 시뮬레이션(Historical Simulation) 250
5.4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253
6. 위기상황분석(Stress Test) 254
6.1 위기상황분석기법 255
6.2 위기상황분석의 활용범위 256
6.3 위기상황분석의 문제점 256
7. 기타 자산리스크 257
7.1 유동성 리스크(Liquidity risk) 257
7.1.1 보험회사가 유동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 258
7.1.2 유동성리스크 측정방법 258
7.1.3 유동성리스크의 관리 259
7.2 신용리스크(Credit risk) 260
7.2.1 파생상품을 이용한 신용리스크 관리기법 260
7.2.2 신용리스크 관리의 한계점 260
제9장 부채평가(LIABILITIES VALUATION)
1. 부채에 대한 이해 264
2. IFRS4 267
2.1 IFRS제도의 역사적 배경 267
2.2 IFRS 4 269
2.2.1 IFRS4 도입배경 269
2.2.2 IFRS4와 GAAP의 차이점 - IFRS4의 기본원칙 270
2.2.3 IFRS4의 영향 271
3. IFRS17 274
3.1 보험부채 공정가치 평가 274
3.1.1 보험부채평가 방법 개요 275
3.1.2 BBA(Building Block Approach) 277
3.1.3 보험부채 공정가치 평가가 보험회사에 미치는 영향 283
3.2 신계약비 이연상각 기한연장 285
3.3 보험요소와 투자요소 구분(Unbundling) 285
3.4 감독제도 286
3.5 재보험계약 286
4. 부채적정성평가(LAT, Liability Adequacy Test) 288
4.1 부채적정성평가의 주요 내용 288
4.2 현재가치에 적용되는 가정 290
5. 내재가치(Embedded Value) 292
제10장 금리리스크(INTEREST RATE RISK)
1. 금리리스크의 이해 298
2. 금리 리스크의 근원 299
2.1 금리변경리스크(Reprice or Price risk) 299
2.2 수익률곡선 리스크(Yield-Curve Risk) 300
2.3 베이시스 리스크(Basis Risk) 300
2.4 옵션 리스크(Option Risk) 301
3. 이자율의 기간구조 302
3.1 불편기대가설(Unbiased Expectation Hypothesis or Expectation Hypothesis) 302
3.2 유동성선호가설(Liquidity Preference Hypothesis) 302
3.3 시장분할가설(Market Segmentation Hypothesis) 303
3.4 선호영역가설(Preferred Habitat Theory) 303
4. 듀레이션(Duration)의 이해 304
4.1 맥컬레이 듀레이션(D, Macaulay Duration) 304
4.2 수정듀레이션(MD, Modi?ed Duration) 305
4.3 유효듀레이션(ED, E?ective Duration) 305
4.4 볼록성(Convexity) 306
5. 금리리스크 관리전략 307
5.1 금리조정 갭 분석(Repricing gap analysis) 307
5.2 목표시기 면역전략(Target date immunization strategy) 310
5.3 순자산가치 면역전략(Net worth immunizations strategy) 311
5.4 듀레이션 갭 관리전략 312
5.5 순자산가치 변동규모 일치 전략 314
5.6 금리선물(선도) 헷지 전략 314
5.6.1 단순 금리선물 헷지 전략 315
5.6.2 듀레이션에 의한 금리선물 헷지 전략 315
5.7 금리옵션 헷지 전략 316
5.7.1 수의상환채권(callable bond) 316
5.7.2 상환요구채권(puttable bond) 317
5.8 금리캡, 금리플로어, 금리칼러 헷지 전략 317
5.8.1 금리캡 317
5.8.2 금리플로어 318
5.8.3 금리칼러 318
5.9 금리스왑 헷지 전략 319
제11장 자본과 지급여력(CAPITAL & SOLVENCY)
1. 자본에 대한 이해 326
1.1 자본의 필요성 328
1.2 보험사업 리스크와 자본 330
1.2.1 자산 리스크(Asset Risks) 331
1.2.2 부채 리스크 332
1.2.3 자산?부채 리스크 335
1.2.4 운영 리스크 337
1.3 전사적 리스크와 자본 338
1.3.1 전사적 자본의 규모 339
1.3.2 경제적 자본과 규제에 의한 요구자본 340
1.3.3 목표 잉여금 341
2. 지급여력 341
2.1 지급여력의 이해 341
2.2 지급여력의 형태 343
2.2.1 현재 사업의 지급여력(Cash Flow Solvency) 343
2.2.2 사업 중단 시 지급여력(Discontinuance Solvency) 347
2.2.3 계속 사업운영 시 지급여력(Going-concern Solvency) 350
2.3 지급여력의 평가 350
2.3.1 자산가치 평가 351
2.3.2 부채가치 평가 352
3. RBC(Risk-Based Capital) 355
3.1 RBC에 대한 이해 355
3.1.1 RBC 이전의 세상 355
3.1.2 RBC제도의 이해 357
3.2 RBC제도의 특징과 구성 359
3.2.1 리스크중심(Risk-Based) 보험감독체계제도 359
3.2.2 RBC제도의 특징 359
3.2.3 RBC 제도의 구조 361
3.3 RBC 요소별 산출기준 361
3.3.1 가용자본 산출기준 362
3.3.2 요구자본 산출기준 363
3.3.3 보험위험액 산출기준 365
3.3.4 금리위험액 산출기준 369
3.3.5 신용위험액 산출기준 372
3.3.6 일반시장위험액 산출기준 374
3.3.7 변액보험 보증위험액 산출기준 375
3.3.8 운영위험액 산출기준 376
4. Solvency II 377
4.1 Solvency II의 이해 377
4.2 Solvency II의 구조와 특징 378
4.2.1 Solvency II의 구조 378
4.2.2 Solvency II의 특징 379
4.3 Solvency II의 3 Pillars 381
4.3.1 Pillar 1: 리스크 측정 381
4.3.2 Pillar 2: 보험회사 내부위험 통제 체계 382
4.3.3 Pillar 3: 보고 및 공시 382
4.4 신지급여력제도(킥스, K-ICS, Korea Insurance Capital Standard) 383
4.4.1 가용자본의 산출기준 384
4.4.2 요구자본의 산출기준 385
4.4.3 리스크 조정과 경감 387
4.4.4 RBC와 K-ICS 비교 388
4.4.5 신종자본증권과 후순위채권 389
5. RAAS(보험회사 위험기준 경영실태평가제도) 391
5.1 RAAS의 주요내용 392
5.1.1 평가부문 392
5.1.2 평가부문별 가중치 393
5.1.3 평가부문별 평가항목 393
5.1.4 평가등급 산정기준 395
5.1.5 평가 산정 후 절차 395
5.1.6 평가결과에 따른 조치 및 활용 396
5.2 RAAS의 효과 397
6. ORSA(자체위험 및 지급여력 평가제도) 398
6.1 ORSA의 주요내용 398
6.2 ORSA의 기대효과 399
제12장 이익과 손익분석(PROFIT&LOSS)
1. 일반적인 이익의 이해 402
2. 보험회사 손익 405
3. 보험회사의 손익가치지표 407
3.1 자기자본이익율(ROE) 407
3.2 자산이익률(ROA) 408
3.3 위험조정 자기자본이익률(RAROC) 409
3.4 기업 내재가치(EV) 410
3.5 내부수익률(IRR) 411
3.6 신계약 초년도이익률 412
3.7 손익분기점(BEP) 413
3.8 이익 마진(Profit Margin) 414
3.9 합산비율(Combined Ratio) 415
3.10 자금이전가격(FTP, Fund Transfer Pricing) 416
4. 생명보험의 손익분석 417
4.1 상품별 손익 418
4.1.1 보험부문 손익 418
4.1.2 투자부문 손익 419
4.1.3 기타 손익 420
4.2 손익분석의 문제점 420
5. 잉여금의 배분 421
5.1 잉여금의 배분기준 421
보충주제(SUPPLEMENTAL SUBJECTS) 425
실전연습문제&풀이(PROBLEMS&SOLVING) 449
부 록 515
참고문헌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