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11258
· 쪽수 : 680쪽
· 출판일 : 2020-10-30
책 소개
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학의 의의 3
제1절 행정의 정의 _3
제2절 행정의 변수 _9
제3절 정치와 행정 _10
제4절 행정과 경영 _15
제5절 신공공관리론 _22
제6절 뉴거버넌스(신국정관리론) _28
제7절 신공공서비스론 _36
제8절 포스트모더니즘 _38
제2장 행정학의 학문적 접근과 대외적 환경 42
제1절 사회과학의 접근방법 _42
제2절 과학성과 기술성 _43
제3절 행정의 가치문제 _45
제4절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_48
제3장 행정학의 발달 51
제1절 미국행정학의 발달과정 _51
제2절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_53
제3절 행정행태론 _56
제4절 생태론적 접근방법 _59
제5절 체제론적 접근방법 _61
제6절 비교행정론 _64
제7절 발전행정론 _65
제8절 신행정론 _67
제9절 현상학적 접근방법 _69
제10절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_72
제11절 현대행정 _77
제4장 행정학의 일반 82
제1절 행정문화 _82
제2절 행정이념 _86
제3절 목표설정 _100
제2편 정 책
제1장 정 책 109
제1절 정책론의 기초 _109
제2절 규 제 _126
제3절 정책의제설정 _137
제4절 정책결정 _154
제5절 정책분석 _164
제6절 정책집행 _168
제7절 정책평가 _176
제3편 조 직 론
제1장 조직이론 189
제1절 조직의 의의 _189
제2절 조직과 환경 _192
제3절 기 술 _200
제4절 조직의 유형 _203
제5절 조직과 개인 _206
제2장 조직의 구조 217
제1절 정부조직체계 _217
제2절 조직의 구조 _221
제3절 조직의 원리 _225
제4절 관 료 제 _230
제5절 계선기관과 참모기관 _239
제6절 위 원 회 _243
제7절 공 기 업 _248
제8절 공공부문의 민영화 _254
제9절 사회적 기업 _259
제3장 조직관리론 261
제1절 리 더 십 _261
제2절 권력과 권위 _268
제3절 최고관리층과 중간관리층 _272
제4절 갈 등 _274
제5절 책임운영기관 _278
제6절 행정에의 시민참여 _282
제7절 공동생산 _285
제8절 비정부조직 _286
제9절 조직문화 _291
제10절 공공선택론과 관계이론 _293
제4장 조직의 변동 299
제1절 조직의 혁신 _299
제2절 조직발전 _301
제3절 후기관료제(애드호크라시) _305
제4절 정보화 시대의 조직 _310
제4편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317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 _317
제2절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_321
제3절 대표적 관료제 _327
제4절 직업공무원제도 _330
제5절 중앙인사기관 _335
제2장 공직의 분류 338
제1절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공무원 _338
제2절 폐쇄제와 개방제 _340
제3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_344
제4절 고위공무원단 _354
제5절 시간선택제 공무원 _356
제3장 채 용 359
제1절 모 집 _359
제2절 시 험 _362
제3절 임 용 _365
제4장 능력발전 368
제1절 교육훈련 _368
제2절 근무성적 평가 _374
제3절 승진제도 _381
제4절 배치전환 _387
제5장 공무원의 사기앙양 390
제1절 사 기 _390
제2절 보수제도 _395
제3절 연금제도 _402
제4절 신분보장 _405
제5절 제안제도와 고충처리제도 _412
제6장 공무원의 행동윤리규범 416
제1절 정치적 중립 _416
제2절 공무원단체 _420
제3절 공직윤리와 충성 _424
제4절 행정상의 부패 _430
제5편 재무행정
제1장 재무행정론의 기초이론 439
제1절 재무행정의 의의 _439
제2절 예산의 본질 _440
제3절 예산의 원칙 _443
제4절 예산의 종류 _448
제5절 예산의 분류 _457
제6절 예산관계조직 _462
제7절 예산회계관계법률 _463
제2장 예산과정 468
제1절예산과정 _468
제2절 예산의 편성 _470
제3절 예산의 심의 _474
제4절 예산의 집행 _479
제5절 회계검사 _488
제6절 결 산 _491
제3장 예산제도 495
제1절 예산결정이론 _495
제2절 품목별 예산제도(LIBS) _500
제3절 성과주의 예산제도(PBS) _502
제4절 계획예산제도(PPBS) _505
제5절 목표관리 _509
제6절 영기준예산제도(ZBB) _514
제7절 일 몰 법 _518
제8절 정치관리형 예산 _520
제9절 신성과주의 예산 _521
제10절 성인지예산 _523
제11절 조세지출예산제도 _524
제12절 자본예산 _526
제6편 행정평가
제1장 행정책임과 통제 531
제1절 행정책임 _531
제2절 행정통제 _535
제3절 옴부즈만제도 _541
제2장 행정개혁과 감축관리 546
제1절 행정개혁 _546
제2절 한국의 행정개혁의 방향 _553
제3절 감축관리 _568
제7편 지방행정
제1장 지방행정의 기본이념 575
제1절 지방행정의 의의 _575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_576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_580
제4절 지방자치의 이론체계 _584
제5절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_586
제6절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_588
제7절 TQM _591
제8절 지역이기주의 _593
제9절 레짐이론(Regime Theory: 도시통치론) _596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이론 599
제1절 지방자치단체 _599
제2절 지방정부조직 _603
제3절 중앙과 지방의 관계 _605
제4절 집행기관과 지방의회 _607
제5절 주민참여제도 _611
제3장 지방재정 614
제1절 지방재정의 의의 _614
제2절 지방재정자립도 _616
제3절 지방세 _617
제4절 세외수입 _620
제5절 지방교부세 _621
제6절 국고보조금 _623
제7절 지방정부 상호간의 재정조정 _625
제4장 광역행정과 구역 626
제1절 광역행정 _626
제2절 구 역 _631
제5장 행정정보 633
제1절 정보사회 _633
제2절 정보화 정책 _637
제3절 행정정보공개 _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