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9113031400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며… 1
01 무예를 수련하며 지도자의 꿈 키워
제1절 조선연무관 권법부에서 무예 입문 7
1. 손병희 선생 행랑채에 살아 7
2. 해방 후 보이스카우트 활동 9
3. 경신중고 시절 조선연무관 권법부 입문 10
제2절 타고난 신체조건, 탁월한 무예실력 18
1. 스승 전상섭 18
2. 무예를 함께 수련한 동료 24
3. 출중한 기량으로 최고 실력자로 부상 28
4. “두 스승을 섬길 수 없습니다.” 30
02 무도인에서 태권도 설계자이자, 행정가로
제1절 한국전쟁 중 무예단체 결성…‘조직가’ 면모 보여 35
제2절 조선연무관 권법부 계승, 지도관 창설 40
1. 한국체육관 사범 취임 40
2. 한국체육관을 지도관 거점으로 45
3. 전북 지도관의 맹활약 47
제3절 대한태수도협회 창립에 주도적 역할 51
03 이종우의 역사적 선택: 최홍희와 김운용
제1절 최홍희와의 대립 61
1. 최홍희는 누구인가 62
2. 최홍희의 등장과 이종우의 행보 67
3. 태권도계 주역으로 부상한 최홍희 70
4. 최홍희가 제도권에서 배제된 연유 73
5. 최홍희가 물러난 이후 75
제2절 태권도계의 김운용 영입 78
1. 김운용 이전과 김운용 이후 78
2. 김운용 영입 당시 시대적 배경 79
3. 뉴욕 조시학 사범, 김운용을 이종우에게 천거 81
4. 전계배, 이종우와 김운용 첫 만남 주선 84
5. 외교관의 꿈을 버린 김운용의 선택 87
6. 김운용의 4대 비전 제시 91
제3절 ‘평생 동지’이자 ‘라이벌’ 엄운규와의 관계 94
1. 운명적 만남 94
2. 협력 관계 96
3. 애증(愛憎)의 세월 99
4. 화해 103
04 현대 태권도의 종합 설계자 이종우
제1절 태권도 경기화(競技化)의 선도자 107
1. 태권도 경기화의 배경 107
2. 이종우의 발상의 대전환 109
3. 경기화의 시작…경기규칙 제정을 주도한 이종우 111
4. 최홍희, 황기 등 1세대들의 반대 116
5. 태권도 경기의 본격 추진 117
6. 호구(護具) 개발에 앞장 선 이종우 121
7. 태권도 경기화…얻은 것과 잃은 것 123
제2절 관 통합(館 統合)에 헌신 126
1. 관(館) 통합의 시초는 공동 심사업무 127
2. 이종우, 관(館) 통합에 가장 적극적 129
3. 마침내 관 통합… 이종우, 강원식, 이병로 등 노력의 결실 133
4. 관 통합에 관한 이견(異見)들 136
제3절 태권도 기술 통합 및 표준화의 선봉 139
1. 한국형 품새 제정을 주도 139
2. 가장 자랑스러워했던 직책, ‘기술심의회 의장’ 147
3. 태극 품새 개발에도 나서다 150
4. 공인 태권도 교본 발간에도 앞장서다 155
5. 태권도 용어의 한글화에도 관심 기울인 이종우 157
제4절 교육 및 연구소 설치 163
1. 심사 내용의 표준화 추진 164
2. 대한태권도협회 강습회 주관 165
3. 세계태권도연맹 국제심판 교육 165
4. 국기원 연수원과 연구소 설치 추진 166
05 김운용과 이종우 : 태권도 세계화의 기수
제1절 국기원 건립과 이종우의 활약 172
1. 김용채의 국기원 건립 구상 172
2. 김운용 국기원 건립 본격 추진…이종우 건설본부장 176
3. 중앙도장에서 국기원으로 명칭 개칭 182
4. 국기원 엠블럼을 제정한 이종우 183
제2절 세계태권도연맹 창설과 이종우 185
1.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준비위원장 이종우 186
2. 세계화 전략… 세계선수권대회와 세계태권도연맹 창립에 공헌 188
3. 국제태권도연맹(ITF) 창설에도 관여한 이종우 191
제3절 김운용과 함께 나선 GAISF 가입 194
1. 세계화의 첫 걸음…GAISF 가입 194
2. 김운용을 보좌해 GAISF 총회에 참석 196
제4절 태권도 세계화와 이종우의 막후 역할 200
1. 정치외교는 김운용, 행정은 엄운규, 기술은 이종우 200
2. 지도자 연수원 부원장으로 7년 만의 제도권 복귀 205
3. 선견지명…전자호구 개발에도 앞장 서 207
제5절 올림픽 진입을 향한 거대한 발걸음 211
1. 뉴욕에서 태권도를 선보이다 211
2. 올림픽종목 채택 추진위원회 구성… 바빴던 1994년 벽두 216
3.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을 지켜본 이종우의 벅찬 감회 217
06 영원한 불꽃으로 남은 이종우의 태권도 열정
제1절 시련과 과오 225
1. 신군부에 짓밟힌 태권도 225
2. 71세에 국기원 연수원으로 복귀 228
3. 시드니 올림픽과 승부조작 파문 229
제2절 이종우의 태권도 역사관 그리고 논쟁 233
1. 전통주의는 1970년대 민족주의의 시대적 산물 234
2. 전통주의에 반기…정체성 혼란 237
3. 가라테는 일본 아닌, 식민지 오키나와 무술로 이해 239
제3절 정 많고 올곧았던 그의 인간미 242
1. 계파를 가리지 않는 천거(薦擧)와 등용(登用) 243
2. 명리(名利)에 초연(超然)했던 큰 사람 245
제4절 마지막 여정 248
1. 용퇴(勇退)의 때를 알았던 이종우 248
2. 불꽃같은 태권도 인생, 87세로 영면 250
이종우 원로 연보 254
참고문헌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