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91130314549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목차
<표1-1> 4차 산업혁명 시기의 관점 6
<표1-2> 초창기 스포츠 산업 분류의 기반 11
<표1-3> 시장의 진화 18
<표1-4> 스포츠의 미디어 가치 25
<표1-5> 국내 스포츠 산업의 사업체수 27
<표1-6> 국내 스포츠 산업의 매출액 28
<표1-7> 국내 4대 프로 스포츠의 입장객 29
<표1-8> 세계 프로 스포츠 리그 수입(2016/17년도) 32
<표1-9> 리그수입에 따른 전 세계 프로 스포츠 순위(2019년 기준) 32
<표1-10> 국내 주요 스포츠 국제행사 34
<표1-11> 스포츠산업진흥법 전부 개정의 주요내용 42
<표1-12>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수입과 지출 현황 44
<표2-1> 시장을 움직이는 힘의 변화 60
<표2-2> 마케팅의 핵심기준 66
<표2-3> 스포츠 마케팅의 구조 72
<표2-4> SWOT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76
<표2-5> STEEP 항목 및 주요 고려사항 77
<표2-6> STP의 개요 79
<표2-7> 디지털 마케팅 믹스의 조합 84
<표2-8> 메가 트렌드 이슈 85
<표2-9> 북미 세대별 스포츠 산업의 특징 90
<표2-10> 소매업 시장의 변화 101
<표3-1> 참여형태에 따른 스포츠 소비자 분류 110
<표3-2> 참여빈도에 따른 스포츠 소비자 분류 111
<표3-3> 팬과 스포츠의 연결고리 112
<표3-4> 태도 분류 116
<표3-5> AIO법에 의한 라이프스타일 측정 117
<표3-6> 학습이론 118
<표3-7> 스포츠 소비자 영향요인 119
<표3-8> 코틀러 등의 5A 고객경로 124
<표3-9> 소비자 정보처리에 대한 효과의 위계모형 125
<표3-10> 참여 스포츠 선택대안 평가 단계 126
<표3-11> 고관여 구매행동과 저관여 구매행동 135
<표3-12> FCB Grid 모델과 관여도 유형 137
<표3-13> 스포츠의 리얼리티 커뮤니케이션 방법 143
<표4-1> PZB의 서비스 품질 척도 154
<표4-2> 브랜드 개성의 다섯 가지 차원 164
<표4-3> 브랜드 확장의 장점과 단점 167
<표4-4> 스포츠 브랜딩의 네 가지 요소 172
<표4-5> 스포츠 브랜딩의 11가지 분야 174
<표4-6> 고객 선호도 조사방법 179
<표4-7> 설문지 설계 및 측정방법 181
<표4-8> 확률표본추출법 183
<표4-9> 비확률표본추출법 183
<표4-10> 신뢰도와 타당도 종류 185
<표4-11> 통계분석기법 186
<표5-1> 스포츠 제품의 영역 205
<표5-2> 스포츠 제품의 분류 208
<표5-3> 5차원 스포츠 제품 212
<표5-4> 스포츠 제품의 수명주기 216
<표5-5> 스포츠 제품 또는 프로그램 연장 전략 220
<표5-6> 스포츠 비즈니스 모델 225
<표5-7> 스포츠 신상품 개발의 절차 229
<표5-8> 스포츠 상품 개발 후 소비자 수용 단계 230
<표6-1> 스포츠 제품 가격의 특징 248
<표6-2> 스포츠 마케팅 구조에 따른 가격 형태 250
<표6-3> 스포츠 소비자 유형에 따른 가격 형태 253
<표6-4> 스포츠 제품의 가격 결정 요인 256
<표6-5> 신상품의 가격정책 260
<표6-6> 가격 책정 전략 260
<표7-1> 스포츠 장소의 구성요인 282
<표7-2> 중간상의 유형 284
<표7-3> 유통경로 기능에 따른 효용 289
<표7-4> 판매 과정 295
<표7-5> 도심형 및 농·어촌형 스포츠 시설 297
<표7-6> 체육지도자 배치기준 299
<표7-7> 경기장 광고유형 300
<표7-8> 올림픽의 비즈니스 모델 303
<표8-1> 커뮤니케이션 장애 발생원인 및 대응방안 317
<표8-2> 대상과 주체에 따른 판매촉진 분류 328
<표8-3> 촉진/커뮤니케이션 방법 329
<표9-1> 소셜 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349
<표9-2> ESPN의 경기유통 방식 351
<표9-3> 올림픽의 방송 변천사 354
<표9-4> 스포츠가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 362
<표9-5> 미디어가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364
<표9-6> IOC의 수익규모 366
<표9-7> 지역별 방송중계권 규모 367
<표9-8> 북미 스포츠 수익분야별 규모 367
<표9-9> 국내 4대 프로 스포츠 규모 추정 369
<표9-10> 방송 중계권에 따른 기대효과 372
<표9-11> 미디어 회사와 스포츠 단체와의 계약 모델 373
<표10-1> 스폰서십과 광고의 차이 391
<표10-2> 스포츠 스폰서십의 효과 398
<표10-3> 스폰서십 효과 평가 399
<표10-4> 스포츠 이벤트의 구분 400
<표10-5> 스포츠 이벤트의 유형 400
<표10-6> 스포츠 스폰서십의 유형 404
<표10-7> 스포츠 스폰서십 6P 416
<표11-1> 명명권의 효과 443
<표11-2> 명명권 기업의 촉진방법 446
<표11-3> 유명선수 FRED 요인 451
<표11-4> 인도스먼트와 선수 스폰서십의 차이 453
<표11-5> 인도스먼트의 효과 456
<표11-6> 스포츠 라이선싱과 스포츠 스폰서십의 차이 461
<표11-7> 라이선서와 라이선시의 혜택 465
<표11-8> 스포츠 라이선싱과 머천다이징의 효과 467
<표11-9> 라이선서와 라이선시 계약 시 발생효과 468
<표12-1> 스포츠 에이전트와 스포츠 매니저 비교 480
<표12-2> 스포츠 에이전트의 종류 482
<표12-3> 스포츠 에이전트의 역할과 직무 495
<표12-4> 프로 스포츠 전력평준화 제도 497
<표12-5> 미래유망 15개 직업군 502
미션 및 이슈
PART 01 미션 4
① 우선 스포츠 산업부터 이해하자
② 더불어 4차 산업혁명도 이해하자
PART 01 이슈 43
① 왜 우린 남의 나라 일까지도 공감하게 됐을까?
② 왜 스포츠 시설 운영에 대해 고민할까?
③ 각본 없는 드라마는 어디에 있지?
④ 스포츠 4.0 정책은 어떤 모습일까?
PART 02 미션 52
① 전통적 마케팅과 디지털 마케팅 시장을 이해하자
② 시장이 꿈틀거린다는 의미를 이해하자
PART 02 이슈 94
① 스포츠 공감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위상은 어느 정도일까?
② 디지털 마케팅 시장에서는 전통적 4P가 어떻게 진화할까?
③ 뜻하지 않은 환경 변화로 인한 스포츠 정책의 강행을 어떻게 인식해야 할까?
④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래를 통한 탈중개화란 어떤 의미일까?
PART 03 미션 106
① 소비자가 감당하는 변화의 속도를 이해하자
② 프로 스포츠에도 직종의 변화가 있음을 이해하자
PART 03 이슈 137
① 앞으로도 스포츠 소비자의 구분이 명확해질까?
② 디지털 마케팅 시장에서 소비자 구매는 어떻게 바뀔까?
③ 스포츠 스토리텔링에서 스포츠 스토리두잉으로 가고 있는가?
④ 왜 고객으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하는가?
⑤ 왜 스포츠의 사실성에 주목해야 하는가?
PART 04 미션 148
① 국적보다 구단이 먼저 떠오른다는 의미를 이해하자
② 나이키하면 무엇이 떠오르는지 이해하자
PART 04 이슈 187
① 왜 김연아 선수는 소트니코바 선수보다 우리에게 공감(共感)을 줄까?
② 왜 올림픽 메달 색깔에 연연해하는 걸까?
③ 반드시 스포츠 스타를 통해서만 감동을 받을까?
④ 디지털 마케팅 비즈니스 전략은 스포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PART 05 미션 196
① 선수가 제품인지 상품인지 이해하자
② 스포츠 제조업과 노동시장의 변화를 이해하자
③ 세상의 모든 것을 판다라는 의미를 이해하자
PART 05 이슈 230
① 온라인과 오프라인 쇼핑을 통해 소비자는 어떤 선택을 내릴까?
② 나이키는 왜 스포츠와 관련 없을 것 같은 상품을 시장에 내놓을까?
③ 스포츠 시장의 혁신은 왜 중요할까?
④ 프로태권도 리그를 만들면 안 되는 걸까?
⑤ 헬스케어는 의사들의 전유물일까?
⑥ 백 투더 퓨처, 알아서 조여 준다니 그게 뭘까?
PART 06 미션 240
① 디지털 마케팅 시장의 가격이 어떻게 소비자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이해하자
② 신체성이 사라진 스포츠를 이해하자
PART 06 이슈 261
① 스포츠 콘텐츠 마케팅을 생각해볼 수 있을까?
② 디지털 입장권은 어떻게 발전할까?
③ 차세대 나이키는 없는가?
PART 07 미션 272
① 스포츠 장소와 유통의 변화를 이해하자
② 스포츠 경기장의 앞으로의 변화를 이해하자
③ 장소가 사라진 스포츠를 이해하자
PART 07 이슈 301
① 올림픽은 유통혁명일까?
② 올림픽을 왜 저주라고 부를까?
③ IOC는 왜 전략을 재편했을까?
④ 매장은 왜 변신을 이어갈까?
PART 08 미션 310
①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스포츠 소비자를 어떻게 유인할 수 있는지 이해하자
② 스마트폰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이해하자
③ 비대면(non-face-to-face)도 결국 연결성이란 사실을 이해하자
PART 08 이슈 333
①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② 보는 스포츠로서의 흥행이 된다면 모든 것을 바꿀 수 있을까?
③ 스포츠 게이미피케이션은 어떻게 발전할까?
④ 왜 유통업체가 프로구단에 관심을 가질까?
PART 09 미션 342
① 스포츠 산업공학으로의 변화를 이해하자
② 스포츠 게임 플랫폼과 미디어의 결합을 이해하자
③ 쿨 미디어 스포츠와 핫 미디어 스포츠를 이해하자
PART 09 이슈 374
① 기업은 마케팅 철학을 앞으로 어떻게 구현할까?
②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 바꿀 스포츠 중계는 어떤 모습일까?
③ 선수는 왜 영원불멸한 아이콘인가?
④ 바이러스 팬데믹은 영상 혁명을 부추길까?
PART 10 미션 384
① 디지털 마케팅 시장의 스포츠 스폰서십을 이해하자
② 스포츠 이벤트의 규모와 종류를 이해하자
③ 미래의 매복 마케팅 시장을 이해하자
PART 10 이슈 424
① 프로 스포츠의 모든 영역이 스폰서십에 활용될 수 있을까?
② 100년 역사를 가진 전국체육대회는 항상 체육대회만 해야 할까?
③ 대회 명칭, 그냥 ‘서울-부산’이라고 하면 안 될까?
④ 가상현실의 스포츠 판타지 시장도 스폰서십의 영역이 될까요?
PART 11 미션 434
① 스폰서십 영역의 확장을 이해하자
② 명명권을 부여받은 기업이 흥행을 할 수 있는 스마트 경기장을 이해하자
PART 11 이슈 469
① 경기장 명칭 사용권은 경제적 가치만을 두고 생각할 수 있는 영역일까?
② 선수보증광고가 충돌하는 경우란 무엇을 의미할까?
③ 공동체적 일상을 이어갈 스포츠 공간에서 개인적 서비스란 어떤 의미일까?
PART 12 미션 476
① 통찰력 있는 미래 인재에 대해 이해하자
② 미래의 스포츠 에이전트를 이해하자
PART 12 이슈 497
① 스포츠 경기를 추론하는 로봇은 스포츠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까?
② 스포츠 빅데이터는 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까?
③ 무례함과 정중함의 차이는 무엇일까?
④ 비움(虛)의 스포츠, 무위(無爲)의 길은 결국 사람의 몫이 아닐까?
여기서 잠깐
▣ 한국표준산업분류(2017년 제10차 개정)에 따른 스포츠 산업의 분류 16
▣ 시장 1.0, 2.0, 3.0, 4.0의 의미 16
▣ 스포츠의 미디어 가치 25
▣ EPL 리그의 경제학 33
▣ 3C 분석 76
▣ 거시적 환경 분석 77
▣ 메가 트렌드 이슈 85
▣ 북미 세대별 스포츠 산업의 특징 90
▣ 팬과 스포츠의 연결고리 112
▣ 스포츠 분야의 서비스 품질 척도 154
▣ 표본추출방법 183
▣ 스포츠 신상품 개발 절차 216
▣ 스포츠 용품 개발 과정 216
▣ 스포츠 용품 개발 계획서 종류 217
▣ 스포츠 용품 개발진도 보고의 원칙 217
▣ 스포츠 상품 개발 후 소비자가 수용하는 단계 217
▣ 스포츠 비즈니스 모델 224
▣ 올림픽 개최지 선정 조항 폐지 277
▣ 스포츠 시설의 개념 279
▣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280
▣ 유통경로의 유형 287
▣ 판매과정 294
▣ 스포츠 시설의 경영 298
▣ 체육지도자 육성과 배치 298
▣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장애가 발생하는 원인과 대응방안 317
▣ 미디어의 특성 348
▣ 소셜 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349
▣ 다양한 중계방식 351
▣ 미디어 회사와 스포츠 단체와의 계약 모델 373
▣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평가 399
▣ 스포츠 이벤트의 분류 399
▣ 스포츠 이벤트 목표 405
▣ 스포츠 이벤트 목적 405
▣ 스포츠 이벤트의 사업기획 수립 방향 405
▣ 스포츠 이벤트 환경 분석 406
▣ 스포츠 이벤트 스토리텔링 406
▣ 스포츠 경기장 광고 보드 종류 406
▣ 스포츠 이벤트 시상식 기대효과 407
▣ 스포츠 이벤트 계획수립의 종류 417
▣ 스포츠 이벤트 계획서 작성 시 고려사항 417
▣ 스포츠 이벤트 계약 체결 시 유의사항 417
▣ 스포츠 이벤트 기획예산의 장점과 단점 418
▣ 스포츠 이벤트 기획예산 수립 시 분석기법 418
▣ 스포츠 이벤트 매뉴얼 단계별 흐름도 418
▣ 스포츠 이벤트의 효과 419
▣ 스포츠 이벤트의 경제적 효과 419
▣ 스포츠 이벤트의 평가지표 420
▣ 라이선싱 관련 법률 456
▣ 스포츠 라이선싱 내부환경 7S 분석 457
▣ 스포츠 라이선싱 상품개발 프로세스 462
▣ 스포츠 라이선싱 권리의 성격 분류 462
▣ 스포츠 라이선싱 권리종류에 따른 계약 분류 463
▣ 지식재산권의 종류 463
▣ 지식재산권의 필요성 463
▣ 라이선서와 라이선시의 내부역량 고려사항 467
▣ 스포츠 라이선싱 계약서 작성 전 유의사항 467
▣ 스포츠 라이선싱 계약의 핵심조항 468
▣ 라이선서(Licensor)와 라이선시(Licensee) 계약 시 발생효과 468
▣ 스포츠 에이전트의 종류 482
▣ 캐릭터 개발 490
▣ 프로 스포츠 전력평준화 제도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