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지적학

현대 지적학

성춘자 (지은이)
박영사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990원
32,0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400원 -10% 1320원 22,440원 >

책 이미지

현대 지적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지적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토목공학 > 토목공학 기초
· ISBN : 9791130316048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2-09-08

책 소개

현대 지적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견지하면서, 우리나라 과거?현재?미래의 지적제도에 대한 특성을 시계열적으로 기술하였고, 총 4부 10장으로 구성하였다.

목차

제1부 지적과 지적제도의 원리
제1장 지적과 지적제도의 이론적 기초
제1절 �� 지적의 본질 3
1. 지적의 정의 3
2. 지적의 어원 4
3. 지적의 기원 7
4. 지적의 원리 9
5. 지적의 기능 11
제2절 �� 지적제도의 본질 17
1. 지적제도와 토지제도 17
2. 토지등록과 지적제도의 관계 19
3. 토지등록제도의 원리 20
4. 지적과 지적제도의 특성 21
5. 지적제도의 구성요소 24
6. 토지등록의 법적 효력 25
제3절 �� 토지등록제도의 유형 27
1. 토지소유권 등록제도의 유형 27
2. 지적제도의 유형 33
제4절 �� 우리나라 지적제도의 특성 42
1. 우리나라 지적제도의 운영체계 42
2. 지적제도의 기본원칙 45
3. 지적제도의 설비 48
4. 지적제도와 부동산등기제도의 관계 49

제2장 지적학과 지적학 교육
제1절 �� 지적학의 학문적 특성 55
1. 학문의 본질과 지적학 55
2. 학문의 분류와 지적학 56
3. 학문의 정체성과 지적학 58
4. 지적학과 인접과학의 관계 59
5. 지적학의 정의 60
6. 지적학의 연구대상 61
7. 지적학의 연구방법 64
제2절 �� 지적학 교육 64
1. 우리나라 지적학 교육의 변천과정 64
2. 지적학의 교육영역 67
3. 지적학 교육의 교과과정 70
제2부 우리나라 지적제도의 발달과 전개
제3장 고대지적제도의 발달과 전개
제1절 �� 원시부족국가시대 지적제도 78
1. 원시공동체사회 토지소유 개념 78
2. 원시부족국가시대 토지사유화 과정 79
3. 고조선시대 고대지적제도 발달 81
제2절 �� 고대국가시대 지적제도의 발달 82
1. 삼국시대의 지적제도의 배경 82
2. 삼국시대 토지분배제도와 관료지주제의 발달 86
3. 삼국시대 지적제도의 전개 92

제4장 중세지적제도의 발달과 전개
제1절 �� 고려시대 봉건지적제도 106
1. 고려시대 봉건지적제도의 발달배경 106
2. 고려시대 봉건지적제도의 전개 119
제2절 �� 조선시대 봉건지적제도 129
1. 조선시대 봉건지적제도의 발달배경 129
2. 조선시대 봉건지적제도의 전개 137
3. 전제개혁과 양전개정론(量田改正論) 159

제5장 근대지적제도의 발달과 전개
제1절 �� 근대개혁기 반봉건적(反封建的) 지적제도 167
1. 반봉건적(反封建的) 지적제도의 발달배경 167
2. 갑오개혁과 근대지적제도의 발달 168
제2절 �� 대한제국시대 근대지적제도의 발달 171
1. 대한제국시대 근대지적제도 발달배경 171
2. 대한제국시대 근대지적제도 전개 172
3. 근대토지조사사업의 기반조성 180
제3절 �� 한일합방시대 근대지적제도 확립 187
1. 조선토지조사사업 187
2. 근대지적제도의 확립과 전개 202

제3부 현대지적제도와 지적행정
제6장 지적공부의 작성과 관리
제1절 �� 지적공부 작성 219
1. 지적공부의 법적 근거 219
2. 지적공부의 변천과정 219
3. 지적공부의 등록사항 233
4. 지적공부의 종류와 등록내용 249
제2절 �� 지적공부의 관리와 이용 256
1. 지적공부의 보존 256
2. 지적공부의 복구 257
3. 지적공부 공시 258
제3절 �� 토지 이동과 지적공부 정리 260
1. 토지 이동의 종류 260
2. 토지이동에 따른 지적공부 정리 261

제7장 지적전산화와 토지정보시스템 구축
제1절 �� 지적전산화 사업의 개요 292
1. 지적전산화의 목적 292
2. 지적전산자료 292
3. 지적전산화사업 추진과정 294
제2절 �� 지적전산자료와 GIS기술 기반의 토지정보시스템 305
1.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305
2. 토지관리정보시스템(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08
3. 한국토지정보시스템(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311
제3절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320
1. 부동산행정정보일원화 사업 320
2.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개발 321
3.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의 운영 323
제4절 �� 지적원도 데이터베스 구축 330
1. 지적원도 데이터베이스구축의 배경과 목적 330
2. 지적원도 수치파일 작성방법 330
3. 연속지적원도 작성 334
4. 지적원도 데이터베이스 구축 336

제8장 지적재조사사업
제1절 �� 지적재조사사업의 개요 338
1. 지적재조사사업의 배경 338
2. 지적재조사사업의 목적과 추진 계획 340
3. 지적재조사사업의 추진과정 341
제2절 �� 지적재조사사업의 추진체계 343
1. 개요 343
2. 지적재조사기획단과 중앙위원회의 구성과 역할 344
3. 지적재조사지원단과 시․도위원회 구성과 역할 345
4. 지적재조사추진단과 시․군․구위원회의 구성과 역할 346
제3절 �� 지적재조사사업의 사업계획 수립 347
1. 개요 347
2. 기본계획의 수립과 내용 347
3. 시․도 종합계획의 수립과 내용 348
4. 실시계획의 수립과 내용 349
제4절 �� 지적소관청의 지적재조사사업 시행 350
1. 개요 350
2. 지적재조사지구 지정 351
3. 토지소유자협의회 구성 352
4. 책임수행기관 지정 353
5. 토지의 측량․조사 356
6. 조정금의 청산 361
7. 사업완료 처리 363
제5절 �� 지적재조사행정시스템 구축 및 운영 364
1. 시스템구축의 목적 364
2. 지적재조사행정시스템 운영체계 365


제4부 미래지적제도의 발전방향과 전망
제9장 국가공간정보정책과 지적제도의 발전
제1절 �� 국가공간정보정책의 개념과 전개 371
1.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의 추진 371
2.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의 내용과 방법 373
3. 국가공간정보정책정책 기본계획과 지적제도의 발전 374
4. 국가공간정보정책정책 기본계획과 공간정보 3법 378
제2절 ��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추진 382
1.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추진실적과 과제 382
2. 국가공간정보정책의 추진 동향 385
제3절 �� 국가공간정보정책과 미래지적제도의 발전 전망 391
1.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391
2.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 전략 393
3. 국가공간정보정책과 미래지적제도 발전 396

제10장 미래지적제도의 발전방향과 과제
제1절 �� 미래지적제도의 발전 방향 400
1. 지적제도의 선진화 방향 400
2. 지적제도의 동향 401
제2절 �� 다목적지적제도의 발전과 과제 402
1. 다목적지적제도의 목적과 동향 402
2. 다목적지적제도의 특성 403
3. 다목적지적시스템의 구축 사례 404
제3절 �� 3차원 지적제도의 발전과 과제 406
1. 3차원 지적제도의 필요성과 배경 406
2. 3차원 지적의 유형 408
3. 3차원 지적의 등록대상과 방법 408
4. 3차원 지적제도 도입을 위한 해결과제 411
제4절 �� 해양지적제도의 발전과 과제 419
1. 해양지적제도의 목적 419
2. 해양지적제도의 구성요소 420
3. 우리나라 해양지적제도의 기반 422

참고문헌 431
찾아보기 442

저자소개

성춘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요 경력 (현)남서울대학교 드론공간정보공학과 교수 (현)청주시 공간정보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전)국토교통부 중앙지적위원회 위원 (전)국토교통부 공간정보위원회 위원 (전)국토교통부 중앙지적재조사위원회 위원 (전)중앙인사위원회 지방공무원(지적직) 임용시험문제 선정위원 (전)서울특별시 인재개발원 지방공무원(지적직) 임용시험문제 출제 (전)서울특별시 지적재조사위원회 위원 (전)세종특별자치시 지적재조사 및 경계결정위원회 위원 (전)대전․충남 지방지적위원회 위원 (전)충청남도 지명위원회 위원 (전)천안시 서북구 지적재조사위원회 위원 (전)(LX)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과 공간정보」 편집위원회 위원 (전)(LX)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정책 자문위원 (전)(LX)한국국토정보공사 신입사원 공채 필기시험 출제 (전)(LX)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재조사기본계획 자문위원회 위원 (전)(LX)한국국토정보공사 장학회 장학이사 (전)(LX)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공간정보아카데미 운영위원 ∙주요 학회 활동 (현)한국지적정보학회 정회원 (전)한국지적정보학회 이사 (전)한국지리정보학회 부회장 ∙학력 상명여자대학교 지리학과 학․석사 동국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7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