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30318998
· 쪽수 : 514쪽
· 출판일 : 2024-01-12
목차
제 1 부
현대국제정치와 국제경제는 어디로 가는가: 이론과 실제
제1장 현대국제정치, 동아시아 및 한반도의 중요성 11
제2장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현황: 4대 강대국과 남북한의 비대칭적 지정학 18
제3장 개관: 21세기국제정치와 한반도는 어디로 21
제4장 국제정치의 본질과 기본개념 43
제5장 국제정치의 이론과 시각 58
제6장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대논쟁 70
제7장 현대국가체제에 있어서 전쟁과 평화 74
제8장 16세기 이후 유럽기적, 19세기 영국패권 및 20세기 미국패권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79
제9장 전쟁의 원인과 결과 85
제10장 전쟁방지를 위한 외교와 집단안보를 위한 UN체제 100
제11장 국제법의 역할과 우주경쟁 114
제12장 강대국 간의 세력균형과 국제질서의 변천 124
제13장 미국과 중국은 투키디데스의 함정을 벗어날 수 있을까? 138
제14장 21세기 국제경제질서는 어디로: 자유주의, 중상주의 및 구조주의 142
제15장 세계화의 원인과 결과 150
제16장 세계화의 결과와 금융위기 167
제17장 세계화의 미래: 불평등과 새로운 합의의 가능성 179
제18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현황과 문제점 184
제19장 하나의 사례연구로서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 190
제20장 세계화에서 민족국가의 역할: 위기관리자 혹은 발전국가 210
제21장 21세기국제질서는 어디로 가는가? 217
제22장 21세기 강대국정치는 어디로: 자유주의국제질서 또는 강대국정치로? 224
제 2 부
동아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동아시아의 정치경제와 미중관계:
신 냉전 또는 강대국정치
제23장 21세기동아시아질서는 어디로: 중화질서와 중국의 현대화 259
제24장 일본의 현대화(1868-1895)와 일본중심의 동아시아질서
(1895-1945) 272
제25장 미국중심의 동아시아질서(1945-2008) 278
제26장 동아시아 국제정치는 어디로: 신 냉전 또는 강대국정치로? 286
제27장 21세기동아시아 정치경제는 어디로: 동아시아의 기적은 계속되는가:
발전국가에서 발전 자본주의로?. 299
제28장 미국의 대전략: 미국은 동아시아에서 역외균형자로 남을까? 311
제29장 중국의 대전략은 어디로: 지역패권을 지향한 근역균형에서
한반도의 중요성 325
제30장 21세기에 동아시아 공동체는 실현가능할까? 352
제 3 부
한반도는 어디로 가는가? 양단된 현상유지 또는 통일된 민족국가로?
제31장 중화질서에서의 한반도와 조선의 현대화(1500-1895) 369
제32장 일본 중심질서에서의 한반도(1905-1945): 한국민족주의 유산과
남북분단(1945-1948) 383
제33장 냉전기의 한반도: 한국의 산업화 및 민주화, 북한의 3대 독재 및
핵무장 394
제34장 한반도의 현주소: 개방한 한국과 폐쇄한 북한 407
제35장 남북관계의 현황과 통일전망 413
제36장 북한핵문제와 한국의 전략적 외교 434
제37장 한반도통일에 대한 중국의 시각: 남한주도통일 대 현상유지 455
제38장 결론: 21세기 강대국정치에서 한국이 가야 할 길 460
참고문헌 / 492
찾아보기 / 493
저자소개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