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2215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5-02-25
목차
PART 1 도시행정의 이해
제1장 도시행정의 의미개념 4
제1절 도시행정에 대한 정체성 모색의 필요성 4
제2절 도시를 이해하는 방법 7
제3절 도시행정 개념의 유형화 14
제4절 도시행정의 재개념화 21
제5절 도시행정이 지향하는 이념 26
PART 2 도시행정의 체계와 운용
제2장 도시정치시스템과 거버넌스 38
제1절 도시정치시스템 환경의 변화 38
제2절 지방자치 41
제3절 도시거버넌스 48
제4절 시민참여 57
제5절 지방자치와 도시거버넌스, 시민참여의 의미와 과제 68
제3장 도시정부와 행정시스템 74
제1절 도시정부와 행정시스템 74
제2절 도시정부의 형태 및 특징 75
제3절 도시정부 행정시스템의 의미와 형태 86
제4절 도시정부 행정시스템의 전망과 과제 97
제4장 지방재정시스템 104
제1절 중앙-지방 재정 관계 106
제2절 지방세입 111
제3절 세출구조의 변화 131
제4절 지방재정시스템의 의미와 과제 138
제5장 도시공공서비스 144
제1절 도시공공서비스 공급의 중요성과 공급환경 변화 144
제2절 도시공공서비스의 개념과 특징 145
제3절 도시정부의 공공서비스 공급을 위한 경영전략 155
PART 3 도시행정의 실제
제6장 정보화 사회와 도시행정 176
제1절 지식 정보화 사회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 176
제2절 지식 정보화 사회와 도시행정의 진화과정 177
제3절 정보화 사회와 도시의 새로운 모습들 196
제7장 도시계획 206
제1절 도시계획의 개념과 의미 206
제2절 도시계획제도의 변천과 역할 208
제3절 현행 도시계획제도의 주요 내용 211
제4절 도시계획시설사업 215
제5절 도시계획의 미래와 향후 방향 221
제8장 주택 및 토지정책 230
제1절 주택정책 230
제2절 토지정책 245
제9장 도시환경행정 266
제1절 도시환경문제의 이해 266
제2절 도시환경행정 관련 패러다임의 변화 269
제3절 도시환경정책 원칙과 수단 275
제4절 도시환경행정 조직 및 거버넌스 279
제5절 도시환경행정의 과제, 발전방향 그리고 성찰 286
제10장 도시문화행정: 정책, 계획, 그리고 장소 만들기 298
제1절 도시문화행정 298
제2절 도시문화정책과 도시문화계획, 장소 만들기 310
제11장 도시경제행정 334
제1절 도시 경제행정의 개념과 유형 335
제2절 도시의 경제성장과 도시행정 339
제3절 최근 이슈와 쟁점 343
제4절 요약 및 결론 353
제12장 도시행정과 데이터 360
제1절 도시행정에서 데이터의 중요성 360
제2절 도시 데이터의 유형 및 관리 368
제3절 미래의 도시행정과 데이터 활용 381
제13장 미래의 도시행정 388
제1절 미래도시의 전망과 도시정부의 과제 388
제2절 미래 도시행정가의 역할 396
부록 – 10장 한글 번역본의 영어 원문 402
찾아보기 436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면개정판 발간에 즈음하여
2014년,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들이 도시행정론을 공동 집필한 바 있습니다. 이 책은 도시행정의 이념, 도시행정시스템과 그 운용, 여러 분야에서 펼쳐지는 도시행정의 실제를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소개하였습니다. 도시행정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와 학생, 그리고 일반 시민이 도시행정의 위기를 성찰하고 이해하며, 그간 누적되어 온 복잡한 도시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었습니다. 도시행정학이 다루고 있는 분야가 방대하여 각 주제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학과의 모든 교수들이 힘을 모은 결과, 지난 10여 년의 시간 동안 도시행정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도시행정의 지침서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2025년, 도시행정론의 전면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도시행정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고 도시행정의 수요가 다변화됨에 따라, 도시행정의 대응방향 역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해졌습니다. 먼저 인공지능과 데이터가 시민의 일상 속에 자리 잡아감에 따라 도시행정의 새로운 과제들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의 성장을 중심적으로 논의하였던 기존과 달리, 심화되는 도시의 쇠퇴문제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도시행정의 화두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도시행정의 주체 역시 그 범위가 크게 확장되어 도시정부와 시민만이 아닌, 기업과 비영리조직 등도 도시행정의 주체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시행정의 제반 시스템을 구성하는 법과 제도, 정책이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도시의 토지와 주택, 환경, 문화, 경제 등 도시행정의 실제를 구성하는 모든 영역에서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이슈에 대응함에 있어 정교한 해법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즉, 도시행정의 환경과 수요변화에 대응하여, 도시행정의 이론과 실제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새로운 도시행정의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한 것입니다.
앞선 배경에서, 도시행정론 전면개정판은 다음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개정되었습니다. 우선 초판과 마찬가지로 도시행정의 이해, 체계와 운용, 실제라는 세 개의 큰 틀을 갖추되, 틀 안에서 논의되는 13개 장의 대부분 내용을 전면 재작성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도시행정의 개념, 주요 이념, 주체 등 도시행정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심화하였습니다. 나아가 현재, 그리고 미래 도시행정의 주요 이슈인 정보와 데이터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시행정과 관련된 법과 제도, 정책 등을 현행화하였습니다.
2025년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가 창설되고 국내외 도시행정 분야를 학문적으로 선도해 온 지 51년이 되는 해입니다. 저자들은 새로운 50년의 도시행정을 선도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본 전면개정판을 집필하였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자리에 멈추지 않고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개선해 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위해 힘써주신 모든 분께 고마움을 전합니다. 특히 개정작업의 전 과정에서 고생하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 안상준 대표님과 편집부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2025년 2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