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00082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3-07-31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전쟁 보도의 역사
세계의 전쟁 보도 역사
한국 언론의 전쟁 보도 역사
2장 국제 갈등 보도와 이론
국익
인덱싱 가설
선전모델
우리의 전쟁, 그들의 전쟁
언론과 정부 관계
3장 걸프전 보도
걸프전과 국제 보도
미국과 아랍 언론의 상반된 보도
사담 후세인과 걸프전
선전으로서의 걸프전
4장 테러와 언론 보도
9·11 테러 보도
김선일 씨 피랍사건 보도
국내 방송 3사 보도 분석
논의
5장 이라크전쟁 보도
이라크전쟁 반응
이라크전쟁 주제
공식적 정보원 의존
주제적 프레이밍의 결여
상대편 지도자의 비인간화
사담 후세인과 걸프전
후세인 이미지
해방 전쟁이냐 군사적 침략이냐
알자지라의 성장과 언론 묘사
아랍 위성방송 채널 등장과 알자지라 영향력
언론의 알자지라 방송 묘사
임베드 프로그램의 역할 논쟁
상이한 국익과 목소리
6장 한국 언론의 전쟁 취재 환경과 개선점
전쟁 취재 여건과 환경
장비, 보험, 비자 발급 등
기사나 뉴스 전달 수단
전쟁 당사국의 통제 문제
열악한 취재 환경
다른 나라와의 취재 환경 차이
전쟁 취재 개선점
7장 전쟁과 저널리스트의 책임
부록 1. 북한의 연평도 공격 취재 좌담회
2. 종군기자 안성규 인터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비록 대부분의 연구가 미국 주류 미디어에 국한됐지만, 전쟁 보도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접근은 전쟁에 참여한 국가들의 국익과 언론과의 관계에 대한 풍부한 연구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 할린과 기틀린에 따르면, 전쟁은 목적 합리적 행위의 궁극적 표현이다. 즉 전쟁은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합리적 동원 수단을 포괄하는 인간 활동의 형태인 것이다. 그들은 미국 네트워크 저녁 뉴스, 지역 뉴스, 그리고 CNN의 걸프전 보도를 분석한 뒤 이들 미디어가 미국의 용맹성, 기술의 잠재성, 그리고 미군의 용감함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을 발견했다.
_ <2장 국제 갈등 보도와 이론> 중에서
≪뉴욕 타임스≫의 전쟁 우호적인 보도는 베넷의 인덱싱 가설이 정치적 합의가 강한 이번 전쟁과 같은 사안을 미 언론이 어떻게 보도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보도는 무엇보다도 미국의 공식적 정보원에 대한 강한 의존에서 비롯됐다. 또한 대부분의 미 국민이 전쟁을 지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 언론은 반전 분위기를 보도하기보다 미 행정부가 선전한 전쟁 목적을 여과 없이 전달했던 것이다.
_ <5장 이라크전쟁 보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