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학습법
· ISBN : 9791130446998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16-11-28
책 소개
목차
01 몰입교육의 개념
02 몰입교육의 사례
03 목표 언어와 목표 문화
04 몰입교육과 다문화 사회
05 해외에서의 한국어 몰입교육
06 몰입학습의 요소 1: 관심과 용기
07 몰입학습의 요소 2: 내용 중심 학습
08 몰입학습의 요소 3: 형식 중심 학습
09 몰입학습의 요소 4: 공동체 중심 학습
10 몰입학습의 실현
저자소개
책속에서
몰입교육은 특화된 목표 언어 문화 교육의 체계로, 이를 운영,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교사와 교재, 그리고 평가 방법,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를 비롯해 지역사회 구성원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몰입교육을 표방한 교육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학습자 스스로 몰입교육의 주요 원리를 외국어 학습에 좀 더 적용하고자 한다면,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소 자체가 큰 문제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 “외국어 학습과 의사소통” 중에서
비고츠키(Vygotsky, 1978)는 언어는 의미와 기호와의 자의적인 결합으로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새롭게 재구성되고 창조된다고 주장했다.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를 학습할 때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목표 문화를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언어는 고정적인 대상이 아니며 사회 공동체 내에서 끊임없는 재구성이 이루어지는데 학습자가 이렇게 언어를 내재화하는 과정이 바로 학습이라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 “목표 언어와 목표 문화” 중에서
사실 외국어 학습 포기란 멀쩡한 성인이 멀쩡하지 않은 대화를 만들어 가고 있는 상황을 스스로 받아들이지 못해 나타난 결과가 아닌가 한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목표 언어 학습의 성공은 자신이 바보 같아 보이는 그 순간을 매번 맞닥뜨리는 데서 찾아온다. 부끄러워서 말을 하지 못한다면, 영영 말을 배울 수 없을 것이니 말이다. 어린아이가 말을 처음 할 때에는 틀릴까봐 걱정하면서 한두 단어씩 발화를 하지 않는다.
- “몰입학습의 요소 1: 관심과 용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