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주의 1

사회주의 1

루트비히 폰 미제스 (지은이), 박종운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3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910원 -5% 0원
1,890원
34,0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5,53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600원 -10% 1280원 21,760원 >

책 이미지

사회주의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주의 1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경제학고전
· ISBN : 9791130467276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5-09-17

책 소개

철두철미한 자유주의 사상가가 바라본 사회주의의 모든 것이 담겨 있는 책. 1922년,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미제스는 사회주의가 존립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다. 그가 가차 없이 폭로한 사회주의의 허점은 이후 역사를 통해 그대로 드러났고, 결국 그 체제는 내부에서 무너져 내렸다.

목차

영어판 2판 서문 ·················xxi
영어판 번역자 알림 ···············xxiv
독일어판 2판 서문 ················xxv

서론
1. 사회주의 사상들이 거둔 성공의 비결 ······3
2. 사회주의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금지 ······9
3. 사회주의 분석의 접근 방식들-문화적·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경제학적 연구 ········18

제I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제1장 소유권
1. 소유권의 본성 ················25
2. 폭력과 계약 ·················36
3. 폭력 이론과 계약 이론 ············47
4. 생산수단의 집단적 소유권 ··········54
5. 재산권 진화의 이론 ·············58

제2장 사회주의
1. 국가와 경제의 활동 ·············66
2. 사회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기본권들’ ······70
3. 집단주의와 사회주의 ·············80

제3장 사회적 질서와 정치적 헌법
1. 폭력의 정책과 계약의 정책 ··········95
2. 민주주의가 하는 사회적 기능 ·········99
3. 평등이라는 이상 ··············111
4. 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 ··········116
5. 사회주의 공동체들의 정치적 헌법 ······126

제4장 사회질서와 가족
1. 사회주의와 성적 문제 ············131
2. 폭력 시대의 남성과 여성 ··········135
3. 계약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결혼 ········145
4. 결혼 생활에서 생기는 문제들 ········152
5. 자유연애 ·················161
6. 매춘 ···················170

제II부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학

1편 고립된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학

제5장 경제적 활동의 본성
1. ‘경제적 활동’ 개념 비판에 대한 의견 ·····179
2. 합리적 행동 ················182
3. 경제 계산 ·················184
4. 자본주의적 경제 ··············202
5. ‘경제적’인 것에 대한 더 좁은 개념 ······206

제6장 사회주의에서 생산을 조직하기
1. 생산수단의 사회화 ·············212
2.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 계산 ········217
3. 최근의 사회주의 학설들과 경제 계산 문제들 ··226
4. 경제 계산 문제 해결책으로서 인공적인 시장 ··232
5. 이윤을 낼 가능성과 생산성 ·········241
6. 총생산과 순생산 ··············248

제7장 소득의 분배
1.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분배의 본성 ····259
2. 사회적 배당금 ···············262
3. 분배의 원리들 ···············265
4. 분배의 과정 ················272
5. 분배의 비용 ················277

제8장 정태 조건에서 사회주의 공동체
1. 정태 조건들 ················282
2. 노동의 비효용과 만족 ············283
3. ‘노동의 기쁨’ ················298
4. 노동에 대한 자극제 ·············303
5. 노동 생산성 ················321

제9장 사회주의에서 개인의 지위
1. 인사 선발과 직업 선택 ···········328
2. 예술과 문학, 과학과 언론 ··········333
3. 인격적 자유 ················341

제10장 동태 조건에서 사회주의
1. 동태적인 힘들의 본성 ············351
2. 인구의 변화들 ···············353
3. 수요의 변화들 ···············357
4. 자본량의 변화들 ··············360
5. 사회주의 경제에서 변화의 요소 ·······365
6. 투기 ···················368
7. 주식회사와 사회주의 경제 ··········374

제11장 사회주의의 실천 불가능성
1. 변화하는 조건에서 사회주의 경제가 가진 근본적 문제들 ····················379
2. 시도되었던 해결책들 ············381
3. 유일한 해결책인 자본주의 ··········392

2편 사회주의 공동체의 대외 관계

제12장 민족사회주의와 세계사회주의
1. 사회주의 공동체의 공간적 확장 ·······401
2. 이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처리 ·····403
3. 자유주의와 국경 문제 ············406

제13장 사회주의에서 이주 문제
1. 이주 및 각 민족이 처한 조건의 차이들 ····409
2. 사회주의에서 탈집중화 경향 ·········412

제14장 사회주의에서 대외 무역
1. 자급자족과 사회주의 ············417
2. 사회주의에서 대외 무역 ···········418
3. 대외 투자 ·················419

3편 사회주의의 특별한 형태들 및 사이비 사회주의

제15장 사회주의의 특별한 형태들
1. 사회주의의 본성 ··············429
2. 국가사회주의 ···············432
3. 군국주의적 사회주의 ············449
4.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456
5. 계획된 경제 ················463
6. 길드사회주의 ···············468

제16장 사이비 사회주의 체제
1. 연대주의 ·················477
2. 다양한 수탈 제안들 ·············485
3. 이윤 공유 ·················487
4. 혁명적 조합주의 ··············492
5. 부분 사회주의 ···············502

저자소개

루트비히 폰 미제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8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왕국의 렘베르크 시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우크라이나 땅인 이곳에서 아버지가 철도부설 기술자로 일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오스트리아 자유당 국회의원을 지냈던 요아힘 란다우의 조카였다. 미제스는 어린 시절 부모님을 따라 빈으로 이주했다. 1900년 빈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해 1906년에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몇 달간 재무부에 근무하다가 법률사무소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1909년 빈 상공회의소로 들어가 1938년 히틀러 나치의 침략 이후 쫓겨날 때까지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1934년 이후에는 제네바 국제관계연구소 대학원의 초청을 받아 스위스로 갔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미제스는 1차 대전 패전국이었던 오스트리아 문제가 더 이상 국내적인 것이 아니었기에 국제연맹이 있던 제네바로 갔다고 썼다. 미제스는 경제학의 과학성을 위해 헌신적 연구를 하면서도, 이처럼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뛰었다. 59세의 나이에, 10년 이상 사귄 배우 출신의 미망인 마르기트와 결혼했다. 그리고 히틀러가 프랑스 침공에 성공하고, 빈에 있는 미제스의 집을 수색해 책이나 문헌을 압수해 가자 어쩔 수 없이 마르기트와 함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건너가는 길을 택했다. 이후 세미나를 주재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쳐 오스트리아학파를 번성시켰다. 1973년 10월 10일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책들 중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인식론을 다듬은 것으로는 ≪경제학의 인식론적 문제들(Epistemological Problems of Economics)≫(1933), ≪과학이론과 역사학?사회·경제적 진화에 대한 해석(Theory and History?An Interpretation of Social and Economic Evolution)≫(1957), ≪경제과학의 궁극적 기초(The Ultimate Foundation of Economic Science)≫(1962)가 있다.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내용을 발전시킨 책으로 ≪화폐와 신용의 이론(The Theory of Money and Credit)≫(1912), ≪경제학(National?konomie)≫(1940), 이 책을 확대 발전시켜 미국에서 발간한 경제학 개론서인 ≪인간행동(Human Action)≫(1949)이 있다. 또한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만이 아니라 적극적인 실천적 지침으로서 자유주의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자유주의(Liberalismus)≫(1927)가 그것이다. 고국 오스트리아에서도 인플레이션 정책에 견결히 반대를 했고, 성공도 좌절도 맛보았지만, 미국에 와서도 간섭주의의 원인인 국가 관료주의에 대한 비판의 예봉을 삼가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1929년에 출간했던 ≪간섭주의 비판(Kritik des Interventionismus)≫의 영어판 ≪간섭주의: 경제적 분석(Interventionism: An Economic Analysis)≫(1941)을 냈고, 히틀러 정권의 대두에 대해서 분석한 ≪전능한 정부?전체주의 국가의 대두와 전면전(Omnipotent Government?the rise of the total state and total war)≫(1944), 기업가의 회사 경영과 관료 지배가 얼마나 다른가를 분석한 ≪관료제(Bureaucracy)≫(1944)를 연달아 출간했다.
펼치기
박종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동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민주화운동, 정치활동을 거쳐,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알게 된 많은 사실에 기초하여 학생운동 당시에 가졌던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노선을 폐기한 뒤, 현재는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관련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장경제가 민주주의다』(2008), 공저로는 『자유주의 자본론』(2016), 『자유주의 노동론』(2017), 공역서로는 미제스의 『인간행동』(2011), 매슨 피리의 『미시정치-성공하는 정책만들기』(2012), 역서로는 미제스의 『과학이론과 역사학』(2015), 『사회주의』(2015), 『경제학의 인식론적 문제들』(2016), 『경제과학의 궁극적 기초』(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회주의 사상의 열정적인 지지자들에게 그들의 견해가 말도 안 되고 어리석은 것이라고 논리적 입증을 통해 설득하는 것이 얼마나 가망 없는 짓인지는 나도 잘 알고 있다. 나는 그들이 들으려 하지 않고, 보려 하지 않고, 혹은 무엇보다도 생각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그리고 어떤 주장에도 마음을 열지 않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명확한 안목과 열린 마음을 가진 새로운 세대가 자라고 있다. 그들은 사심이 없고 편견에 치우치지 않은 관점에서 사물들에 접근할 것이고, 저울질도 하고 검토도 할 것이며, 생각도 할 것이고, 사전에 숙고를 하고 난 뒤 행동할 것이다. 이 책은 그들을 위해서 쓴 것이다.


사회주의에서는 모든 생산수단이 공동체의 재산이다. 공동체만이 그것들을 배치하고 어떻게 생산에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공동체가 생산하고, 생산물들은 공동체에 축적되며, 공동체는 그 생산물들이 어떻게 사용될지를 결정한다.
현대 사회주의자들, 특히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된 사람들은, 사회주의 공동체를 사회라고 지적하는 것을 크게 강조하고 있으며, 따라서 생산수단을 공동체의 통제로 이전하는 것을 ‘생산수단의 사회화’라고 서술하는 것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그 표현은 그 자체로 반대할 만하지 않으나, 그것이 사용되는 맥락에 비추어 보면 그것은 특히 사회주의의 가장 큰 문제들 중 하나를 애매모호하게 만들기 위해 구상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67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