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주의 1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경제학고전
· ISBN : 9791130467276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5-09-17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경제학고전
· ISBN : 9791130467276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5-09-17
책 소개
철두철미한 자유주의 사상가가 바라본 사회주의의 모든 것이 담겨 있는 책. 1922년,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미제스는 사회주의가 존립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다. 그가 가차 없이 폭로한 사회주의의 허점은 이후 역사를 통해 그대로 드러났고, 결국 그 체제는 내부에서 무너져 내렸다.
목차
영어판 2판 서문 ·················xxi
영어판 번역자 알림 ···············xxiv
독일어판 2판 서문 ················xxv
서론
1. 사회주의 사상들이 거둔 성공의 비결 ······3
2. 사회주의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금지 ······9
3. 사회주의 분석의 접근 방식들-문화적·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경제학적 연구 ········18
제I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제1장 소유권
1. 소유권의 본성 ················25
2. 폭력과 계약 ·················36
3. 폭력 이론과 계약 이론 ············47
4. 생산수단의 집단적 소유권 ··········54
5. 재산권 진화의 이론 ·············58
제2장 사회주의
1. 국가와 경제의 활동 ·············66
2. 사회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기본권들’ ······70
3. 집단주의와 사회주의 ·············80
제3장 사회적 질서와 정치적 헌법
1. 폭력의 정책과 계약의 정책 ··········95
2. 민주주의가 하는 사회적 기능 ·········99
3. 평등이라는 이상 ··············111
4. 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 ··········116
5. 사회주의 공동체들의 정치적 헌법 ······126
제4장 사회질서와 가족
1. 사회주의와 성적 문제 ············131
2. 폭력 시대의 남성과 여성 ··········135
3. 계약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결혼 ········145
4. 결혼 생활에서 생기는 문제들 ········152
5. 자유연애 ·················161
6. 매춘 ···················170
제II부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학
1편 고립된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학
제5장 경제적 활동의 본성
1. ‘경제적 활동’ 개념 비판에 대한 의견 ·····179
2. 합리적 행동 ················182
3. 경제 계산 ·················184
4. 자본주의적 경제 ··············202
5. ‘경제적’인 것에 대한 더 좁은 개념 ······206
제6장 사회주의에서 생산을 조직하기
1. 생산수단의 사회화 ·············212
2.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 계산 ········217
3. 최근의 사회주의 학설들과 경제 계산 문제들 ··226
4. 경제 계산 문제 해결책으로서 인공적인 시장 ··232
5. 이윤을 낼 가능성과 생산성 ·········241
6. 총생산과 순생산 ··············248
제7장 소득의 분배
1.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분배의 본성 ····259
2. 사회적 배당금 ···············262
3. 분배의 원리들 ···············265
4. 분배의 과정 ················272
5. 분배의 비용 ················277
제8장 정태 조건에서 사회주의 공동체
1. 정태 조건들 ················282
2. 노동의 비효용과 만족 ············283
3. ‘노동의 기쁨’ ················298
4. 노동에 대한 자극제 ·············303
5. 노동 생산성 ················321
제9장 사회주의에서 개인의 지위
1. 인사 선발과 직업 선택 ···········328
2. 예술과 문학, 과학과 언론 ··········333
3. 인격적 자유 ················341
제10장 동태 조건에서 사회주의
1. 동태적인 힘들의 본성 ············351
2. 인구의 변화들 ···············353
3. 수요의 변화들 ···············357
4. 자본량의 변화들 ··············360
5. 사회주의 경제에서 변화의 요소 ·······365
6. 투기 ···················368
7. 주식회사와 사회주의 경제 ··········374
제11장 사회주의의 실천 불가능성
1. 변화하는 조건에서 사회주의 경제가 가진 근본적 문제들 ····················379
2. 시도되었던 해결책들 ············381
3. 유일한 해결책인 자본주의 ··········392
2편 사회주의 공동체의 대외 관계
제12장 민족사회주의와 세계사회주의
1. 사회주의 공동체의 공간적 확장 ·······401
2. 이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처리 ·····403
3. 자유주의와 국경 문제 ············406
제13장 사회주의에서 이주 문제
1. 이주 및 각 민족이 처한 조건의 차이들 ····409
2. 사회주의에서 탈집중화 경향 ·········412
제14장 사회주의에서 대외 무역
1. 자급자족과 사회주의 ············417
2. 사회주의에서 대외 무역 ···········418
3. 대외 투자 ·················419
3편 사회주의의 특별한 형태들 및 사이비 사회주의
제15장 사회주의의 특별한 형태들
1. 사회주의의 본성 ··············429
2. 국가사회주의 ···············432
3. 군국주의적 사회주의 ············449
4.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456
5. 계획된 경제 ················463
6. 길드사회주의 ···············468
제16장 사이비 사회주의 체제
1. 연대주의 ·················477
2. 다양한 수탈 제안들 ·············485
3. 이윤 공유 ·················487
4. 혁명적 조합주의 ··············492
5. 부분 사회주의 ···············502
영어판 번역자 알림 ···············xxiv
독일어판 2판 서문 ················xxv
서론
1. 사회주의 사상들이 거둔 성공의 비결 ······3
2. 사회주의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금지 ······9
3. 사회주의 분석의 접근 방식들-문화적·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경제학적 연구 ········18
제I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제1장 소유권
1. 소유권의 본성 ················25
2. 폭력과 계약 ·················36
3. 폭력 이론과 계약 이론 ············47
4. 생산수단의 집단적 소유권 ··········54
5. 재산권 진화의 이론 ·············58
제2장 사회주의
1. 국가와 경제의 활동 ·············66
2. 사회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기본권들’ ······70
3. 집단주의와 사회주의 ·············80
제3장 사회적 질서와 정치적 헌법
1. 폭력의 정책과 계약의 정책 ··········95
2. 민주주의가 하는 사회적 기능 ·········99
3. 평등이라는 이상 ··············111
4. 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 ··········116
5. 사회주의 공동체들의 정치적 헌법 ······126
제4장 사회질서와 가족
1. 사회주의와 성적 문제 ············131
2. 폭력 시대의 남성과 여성 ··········135
3. 계약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결혼 ········145
4. 결혼 생활에서 생기는 문제들 ········152
5. 자유연애 ·················161
6. 매춘 ···················170
제II부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학
1편 고립된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학
제5장 경제적 활동의 본성
1. ‘경제적 활동’ 개념 비판에 대한 의견 ·····179
2. 합리적 행동 ················182
3. 경제 계산 ·················184
4. 자본주의적 경제 ··············202
5. ‘경제적’인 것에 대한 더 좁은 개념 ······206
제6장 사회주의에서 생산을 조직하기
1. 생산수단의 사회화 ·············212
2.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 계산 ········217
3. 최근의 사회주의 학설들과 경제 계산 문제들 ··226
4. 경제 계산 문제 해결책으로서 인공적인 시장 ··232
5. 이윤을 낼 가능성과 생산성 ·········241
6. 총생산과 순생산 ··············248
제7장 소득의 분배
1.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분배의 본성 ····259
2. 사회적 배당금 ···············262
3. 분배의 원리들 ···············265
4. 분배의 과정 ················272
5. 분배의 비용 ················277
제8장 정태 조건에서 사회주의 공동체
1. 정태 조건들 ················282
2. 노동의 비효용과 만족 ············283
3. ‘노동의 기쁨’ ················298
4. 노동에 대한 자극제 ·············303
5. 노동 생산성 ················321
제9장 사회주의에서 개인의 지위
1. 인사 선발과 직업 선택 ···········328
2. 예술과 문학, 과학과 언론 ··········333
3. 인격적 자유 ················341
제10장 동태 조건에서 사회주의
1. 동태적인 힘들의 본성 ············351
2. 인구의 변화들 ···············353
3. 수요의 변화들 ···············357
4. 자본량의 변화들 ··············360
5. 사회주의 경제에서 변화의 요소 ·······365
6. 투기 ···················368
7. 주식회사와 사회주의 경제 ··········374
제11장 사회주의의 실천 불가능성
1. 변화하는 조건에서 사회주의 경제가 가진 근본적 문제들 ····················379
2. 시도되었던 해결책들 ············381
3. 유일한 해결책인 자본주의 ··········392
2편 사회주의 공동체의 대외 관계
제12장 민족사회주의와 세계사회주의
1. 사회주의 공동체의 공간적 확장 ·······401
2. 이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처리 ·····403
3. 자유주의와 국경 문제 ············406
제13장 사회주의에서 이주 문제
1. 이주 및 각 민족이 처한 조건의 차이들 ····409
2. 사회주의에서 탈집중화 경향 ·········412
제14장 사회주의에서 대외 무역
1. 자급자족과 사회주의 ············417
2. 사회주의에서 대외 무역 ···········418
3. 대외 투자 ·················419
3편 사회주의의 특별한 형태들 및 사이비 사회주의
제15장 사회주의의 특별한 형태들
1. 사회주의의 본성 ··············429
2. 국가사회주의 ···············432
3. 군국주의적 사회주의 ············449
4.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456
5. 계획된 경제 ················463
6. 길드사회주의 ···············468
제16장 사이비 사회주의 체제
1. 연대주의 ·················477
2. 다양한 수탈 제안들 ·············485
3. 이윤 공유 ·················487
4. 혁명적 조합주의 ··············492
5. 부분 사회주의 ···············502
책속에서
사회주의 사상의 열정적인 지지자들에게 그들의 견해가 말도 안 되고 어리석은 것이라고 논리적 입증을 통해 설득하는 것이 얼마나 가망 없는 짓인지는 나도 잘 알고 있다. 나는 그들이 들으려 하지 않고, 보려 하지 않고, 혹은 무엇보다도 생각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그리고 어떤 주장에도 마음을 열지 않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명확한 안목과 열린 마음을 가진 새로운 세대가 자라고 있다. 그들은 사심이 없고 편견에 치우치지 않은 관점에서 사물들에 접근할 것이고, 저울질도 하고 검토도 할 것이며, 생각도 할 것이고, 사전에 숙고를 하고 난 뒤 행동할 것이다. 이 책은 그들을 위해서 쓴 것이다.
사회주의에서는 모든 생산수단이 공동체의 재산이다. 공동체만이 그것들을 배치하고 어떻게 생산에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공동체가 생산하고, 생산물들은 공동체에 축적되며, 공동체는 그 생산물들이 어떻게 사용될지를 결정한다.
현대 사회주의자들, 특히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된 사람들은, 사회주의 공동체를 사회라고 지적하는 것을 크게 강조하고 있으며, 따라서 생산수단을 공동체의 통제로 이전하는 것을 ‘생산수단의 사회화’라고 서술하는 것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그 표현은 그 자체로 반대할 만하지 않으나, 그것이 사용되는 맥락에 비추어 보면 그것은 특히 사회주의의 가장 큰 문제들 중 하나를 애매모호하게 만들기 위해 구상된 것이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