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문화 매개](/img_thumb2/979113047209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30472096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6-12-05
책 소개
목차
01 문화 매개란
02 문화 매개 개념의 형성
03 문화 매개의 매개학적 접근
04 문화 예술 기관의 문화 매개 활동
05 문화 예술 기관의 향유자 개발
06 문화 매개 활동 개발과 리좀 모델
07 문화매개자
08 문화매개자 역량
09 문화콘텐츠 마케팅과 문화 매개
10 문화 매개와 콘텐츠 큐레이션
책속에서
2000년대 들어 문화와 향유자를 보다 잘 이어 주기 위한 방법으로 ‘매개’라는 용어가 더욱 빈번하게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국가의 문화 역량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화 예술 매개 인력 양성과 지원을 강조했다. 최근 몇 년간 '문화기본법'과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 새로운 법 제정과 함께 제도적 범위에서 문화 매개 인력의 개념을 설정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다. 문화 산업에서도 문화 생산과 수용의 과정에 개입하는 사회적 계급으로 문화매개자가 언급되었다. 비평가, 출판업자, 화랑 운영자,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 등이 해당된다.
“문화 매개의 필요성” 중에서
문화 매개는 대중과 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 해소에 집중한다. 대중이 문화 예술을 보다 잘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 나아가 대중 스스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는 데 목적을 둔다. 이 과정에서 문화 예술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을 높여 문화 예술의 향유가 확산되도록 한다. 따라서 문화 매개는 문화 예술의 확산과 콘텐츠에 내포된 미학적 가치 전달에만 목적을 두지 않는다. 대중이 문화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총동원한다. 특정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는 만족감으로 이어지고 유사 콘텐츠의 향유로도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문화 예술을 감상하는 능력도 계발되고 친근감을 갖게 된다. 결국 대중은 스스로 문화 예술을 찾고 적극적으로 문화 예술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문화 매개가 의미하는 문화 예술과 대중 간의 관계 맺음이다.
“문화 매개란” 중에서
문화콘텐츠 마케팅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향유자를 찾는 방법과, 콘텐츠와 향유자를 만나게 하는 방식이다. 문화콘텐츠와 향유자를 연결시켜 주는 단순한 콘텐츠 선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향유자가 문화콘텐츠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예술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경험 과정에서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향유자가 콘텐츠를 이해하고 만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서는 향유자의 참조점을 찾아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것이 문화 매개의 과정이다.
“문화콘텐츠 마케팅과 문화 매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