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9113060743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6-02-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틀린 문제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01 세 가지 유형
공부 잘하는 학생이란 | 틀린 문제를 대하는 세 가지 유형 | 무감각형
스트레스형 | 집중형
02 틀린 문제가 왜 스승인가?
스승이 되기 위한 조건 | 성적의 저항선 | 왜 저항선을 뚫지 못하는가?
스승의 도움으로 뚫고 올라가자
03 틀리는 이유
틀리는 이유들 | 문제를 잘못 읽는다? | 충분한 공부, 부족한 지식
유형에 대한 맹신 | 사고의 매너리즘
04 공부 잘하기 위한 조건들
공부 잘하기 위한 단 하나의 조건 | 깊은 공부의 세 가지 조건 |
깊은 공부에서 틀린 문제의 역할
Part 2 틀린 문제에 대한 궁극의 무기, 오답노트
05 실수도 실력이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 실수가 실력이라는 증거 |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실수
문제를 잘못 읽는 실수의 종류 | 실수를 범하지 않는 습관 | 습관화를 위한 지침
06 생각의 흐름
왜 생각의 흐름인가? | 지식을 구성하는 생각의 흐름
문제에 담겨 있는 생각의 흐름 | 정답에 이르는 생각의 흐름
07 오답노트
오답노트에 대한 오답 | 오답노트는 반성문이다 | 과목별 차이점
오답노트 작성 요령
08 진단과 평가
틀린 문제가 스승이 되는 지점 | 틀리는 유형들 | 진단과 평가 | 깨달음 이후
Part 3 과목별 틀린 문제 활용법
09 국어
국어 과목의 위상 | 비문학 문제의 특성과 틀리는 이유 | 틀리는 유형과 지문의 성격
난해한 지문 대처법 | 오답노트 | 정보의 양이 많은 지문 대처법 | 오답노트
문학 문제의 특성과 오답노트
10 영어
영어 과목의 특징 | 체계를 잡는 방법 | 영어 과목에서 틀리는 이유
틀린 문제 활용법과 오답노트
11 수학
수학, 생각의 흐름 그 자체 | 유형에 대한 맹신 - 선입견 | 착안과 분기점
12 과학탐구
과목별 특징 | 틀린 문제 활용법과 오답노트
13 사회탐구
과목별 특징 | 일반사회 계열에서 틀린 문제 활용법과 오답노트 | 역사 계열에서 틀린 문제 활용법과 오답노트 | 윤리 계열에서 틀린 문제 활용법과 오답노트 | 지리 계열에서 틀린 문제 활용법과 오답노트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재 자신의 취약 과목이 무엇이고 그 취약 과목의 어떤 요소, 어떤 부분들에서 약점을 보이고 있는지를 진단할 수 있어야 그것을 장차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진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틀린 문제들’이다. 이렇게 틀린 문제를 진단의 도구로 활용해서 앞으로의 학습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차근차근 실천해 나갈 수 있다면 그 학생은 예측 가능한 학생이 될 수 있고, 따라서 ‘공부 잘하는 학생’이 될 수 있다.
-<1부 틀린 문제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중에서
틀린 문제를 스승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결국 틀린 문제가 스승이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틀린 문제들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틀린 문제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에 달려 있는 것이다. 틀린 문제들에 적극적으로 반응할 때만 틀린 문제가 ‘스승’이 될 수 있다.
-<1부 틀린 문제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중에서
실수 역시 실력이라는 것이 이 책의 기본 입장이다. 왜 그럴까? 첫째, 공부 잘하는 학생이 공부를 그리 잘하지 못하는 학생에 비해 ‘실수’를 현저하게 덜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하면 실력이 뛰어난 학생일수록 실수를 덜 한다는 것이다. 둘째, 실력이 뛰어난 학생이라도 시험 대비 공부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면 충분히 한 경우에 비해서 훨씬 더 실수를 많이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2부 틀린 문제에 대한 궁극의 무기, 오답노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