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장은하 (지은이)
푸른사상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1,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3081092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04-25

책 소개

장은하 교수의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현대국어에서 신체 각 부위를 가리키는 신체 명칭과 어휘구조를 통해 모국어에 담긴 언중의 세계관을 고찰한 책이다. 신체라는 하나의 세계를 한국인은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평가하고 있는지, 얼굴에서부터 발끝에 이르기까지 총 718개의 단어로써 규명해간다.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훔볼트와 바이스게르버의 언어관
1. 이론적 배경
2. 훔볼트와 바이스게르버의 언어관
3. 연구 약사

제2장 <신체> 명칭 객관세계의 기본구조

제3장 <전체> 중심의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1. <상태> 중심의 분절구조
2. <인식방식> 중심의 분절구조
3. <성질> 중심의 분절구조

제4장 <머리>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1. <전체> 중심의 분절구조
2. <부위> 중심의 분절구조

제5장 <목>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제6장 <몸통>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1. <어깨> 명칭 분절구조
2. <가슴> 명칭 분절구조
3. <복부> 명칭 분절구조
4. <등> 명칭 분절구조
5. <허리>, <옆구리> 명칭 분절구조

제7장 <팔다리>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1. <팔> 명칭 분절구조
2. <다리> 명칭 분절구조

제8장 현대국어 <신체>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장은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현대국어의 신체 명칭 분절구조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남북한 맞춤법의 분화와 통일」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 연구」 「「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어휘 특징」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가 있다. 고려대학교와 여러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과 한국어문학에 관해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창의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언어를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인가? 필자는 학생들과의 처음 학기 첫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늘 같은 질문을 하곤 한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라고 답변한다. 인류의 삶, 문명과 오랜 세월 같이한 언어를 그렇게 간단하고 단순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 언어가 의사소통의 도구일 뿐이라면 언어 외에 다른 대체수단이 있어도 과연 인간의 문명과 문화는 비슷한 발전을 할 수 있었을까? 필자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언어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도구이기도 하지만 언어라는 도구 없이는 화자의 생각을 조직화하고 세밀화시킬 수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를 바탕으로 한 인쇄술의 발전과 지식의 재생산 없이는 지금의 인류의 문명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언어를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옳을까?
언어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의사소통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모국어 화자의 정신세계를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이 사고하는 과정에 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인지 과정의 한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인류가 객관세계인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은 각 민족마다 상이한 방식의 모국어라는 프리즘을 통하여 다르게 나타나며, 변별성을 가지게 된다.
2016년에 개봉된 드니 빌뇌브 감독의 <컨택트>(원제 Arrival)라는 영화에 보면 언어학자인 여주인공을 통하여 외계 고등생물의 언어를 이해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장면이 나온다. 외계 고등생물의 언어는 원이라는 기호체계로서 인식되고 있었는데, 그 언어는 시간이라는 객관세계에 대한 인식이 인간의 언어와 상이한 다른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즉 인간이 시간이라는 객관세계를 관조하는 방식은 일직선상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인식되고 있었지만, 외계 고등동물의 언어는 시간의 개념이 순환구조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그 순환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여주인공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상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지만 상이한 언어를 매개로 외계 고등동물과 인간의 소통을 주제로 한 이 영화는 언어가 단순히 의사소통의 단계를 넘어서서 인간의 사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흥미로운 영화였다. 언어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훔볼트, 바이스게르버의 언어관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언어의 내적 언어 형식은 단순히 화자와 청자의 의사소통의 수단을 넘어서서 모국어 화자가 세상을 바라보고 관조하는 방식을 나타낸다고 언급하고 있다.
훔볼트는 모든 화자의 마음속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창조적인 언어 자체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언어는 단지 문법가의 분석에 의한 죽어 있는 성과물(Ergon, Werk, Erzeugtes)이라기보다는 각 민족마다의 의미적, 문법적 구조인 내적 언어 형식에 기반을 두고 유기체로 판단하여 변화하게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학설에 기반하여 현대국어의 신체 명칭 관련 낱말들을 귀납적으로 살펴보고, 신체 명칭 각각의 어휘구조를 통하여 한국인의 신체라는 객관세계를 어떠한 방식으로 관조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사람의 고유한 특성을 전제로 하는 <신체>와 관련된 말들은 대부분 고유어를 기본으로 하여 단어의 조성이 이루어지고, 언어공동체의 생활에 깊이 침투되어 그 사용 빈도수가 높으며, 비유적 기능이 강하여 순수한 우리말의 어휘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신체’의 ‘눈’, ‘귀’, ‘코’, ‘귀’ 등의 기관은 외부세계를 인식하는 감각기관이라는 점에서 <신체>라는 객관세계에 대한 분절구조의 해명은 한 낱말의 의미 구조를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이 가진 정신세계의 단면을 더 자세히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신체> 분절구조의 <머리>, <목>, <몸통>, <팔다리>로 나타나는 각각의 하위분절에 대한 비교도 동일한 객관세계에 대한 다른 관점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이다.
미디어 매체의 발달과 IT기술의 집약적인 발전으로 문명은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문자 메시지, SNS, 노래 가사 등에서 쓰이는 축약어, 비어, 비표준어 등을 보면 우리말 자체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담고 있는 문장들은 일상생활에서 한층 더 찾아보기 힘들어지는 것 같다. 알퐁스 도데의 소설 「마지막 수업」에 아래와 같은 대목이 나온다.

Alors d'une chose ? l'autre, M. Hamel se mit ? nous parler de la langue fran?aise, disant que c'?tait la plus belle langue du monde, la plus claire, la plus solide: qu'il fallait la garder entre nous et ne jamais l'oublier, parce que, quand un peuple tombe esclave, tant qu'il tient sa langue, c'est comme s'il tenait la clef de sa prison...

한 민족이 다른 민족의 식민지가 된다고 하더라도 모국어를 잘 지키면 감옥에서 열쇠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는 아멜 선생님의 말처럼, 모국어는 그 민족의 정신세계를 간직하고 반영하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와 결과물을 유도해낼 수 있는 동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책머리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