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시가와 기독교의 이해

중국시가와 기독교의 이해

류성준 (지은이)
푸른사상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시가와 기독교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시가와 기독교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9113081418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04-20

책 소개

푸른사상 학술총서 47권.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중국 시가 문학작품의 종교 색채는 유불도 세 종교에 국한되어 기독교 신앙와의 상관성은 매우 적다. 그러나 저자는 11명의 작가를 포함하여 중국 고전시가와 현대시가의 작품들을 날카롭게 분석하여 중국 시가와 기독 사조의 접목을 시도한다.

목차

■ 머리말

제1부 중국 고전시에서의 종교적 흐름

당대 왕범지(王梵志) 시의 종교와 사회 비판
Ⅰ. 종교에 대한 비판 의식
1. 유가(儒家)의 인륜 타락
2. 도교와 불교의 세속성
Ⅱ. 사회 부조리에 대한 질책
1. 신분계급의 차별
2. 미풍양속의 저해
Ⅲ. 민생질고에 대한 울분
1. 부병의 고통
2. 가혹한 조용조

당대 민가 격식의 「시편」과의 관계
Ⅰ. 민가의 발생과 배경
Ⅱ. 민가의 구조
1. 장법
2. 산성
3. 화창
4. 절령

송대 엄우(嚴羽)의 시와 선 일치론
Ⅰ. 엄우의 생애
Ⅱ. 시의 창작정신론
1. 묘오의 시도
2. 흥취와 입신
Ⅲ. 시 창작의 신앙적 입신 자세

명대 이동양(李東陽) 시론과 종교적 개념
Ⅰ. 이동양의 생애와 그의 시풍
Ⅱ. <회록당시화>시론의 종교적 요소
1. 시의 격률과 성조
2. 시의 시교(詩敎)
3. 당송시론(唐宋詩論)

명대 서광계(徐光啓)의 성시
Ⅰ. 서광계와 그의 기독교 수용
Ⅱ. 성시의 시학적 의미
1. 「야소상찬(耶蘇像贊)」(예수 찬양)
2. 「성모상찬(聖母像贊)」(성모 찬양)
3. 「규계잠찬(規誡箴贊)」(훈계 찬양)
4. 「십계잠찬(十戒箴贊)」(십계명 찬양)
5. 「극죄칠덕잠찬(克罪七德箴贊)」(죄를 이기는 일곱 덕 찬양)
6. 「진복팔단잠찬(眞福八端箴贊)」(참된 복 일곱 찬양)
7. 「애긍십사단잠찬(哀矜十四端箴贊)」(긍휼 열넷 찬양)

제2부 중국 현대시 속의 기독교 의식

루쉰(魯迅) 시문의 비극 관념
Ⅰ. 루쉰 시가와 그 영웅인식
1. 시가의 시기별 작품 성향
2. 시가의 영웅인식
Ⅱ. 루쉰의 반항심과 수난 서사문

주샹(朱湘) 시의 낭만과 초탈
Ⅰ. 주샹과 그 시의 창작 연대
Ⅱ. 신구시의 조화:시어와 전고
Ⅲ. 시의 회화미와 기독 의식

원이둬(聞一多) 시집의 주제 의식
Ⅰ. 원이둬와 시가 창작정신
Ⅱ. <진아집>의 자아의식
Ⅲ. <홍촉>의 애정관
Ⅳ. <사수>의 비애감

궈모뤄(郭沫若)의 문학과 종교관
Ⅰ. 초기의 사상 형성
1. 문예적 측면
2. 철학적 측면
Ⅱ. 장르별로 본 문학정신
1. 시-「여신」중심으로
2. 산문
3. 소설-「기로」중심으로

아이칭(艾靑) 시의 고난 묘사
Ⅰ. 아이칭의 시 세계
1. 초년의 우수와 반항 의식-옥중시 중심으로
2. 만년의 낭만과 평화, 그리고 초탈 의식-1977년 해방 이후
Ⅱ. 아이칭 시의 기독교적 의식
1. 성서 소재로 직접 비유
2. 성서적 관점으로 간접 비유

리잉(李瑛) 시의 자연미와 우국심
Ⅰ. 자연 속의 교훈
Ⅱ. 영물에 의한 내심의 풍자
Ⅲ. 애국우국심의 표현

하이즈(海子)의 죽음과 시의 유토피아
Ⅰ. 그의 생애와 죽음의 갈등
1. 삶의 길
2. 죽음의 콤플렉스
3. 자살의 원인
Ⅱ. 하이즈의 시관과 시의 초탈적 낭만정신
1. 시가 개념
2. 시의 탈속적 로망
Ⅲ. 시의 유토피아 추구-죽음 후의 천국 갈망
1. 마을 유토피아
2. 시가 유토피아
3. 보리 유토피아
4. 유토피아의 환멸

타이완(臺灣) 시의 향토심
Ⅰ. 시의 토착화 흐름
Ⅱ. 향토문학으로서의 시의 특성
1. 민족시풍의 발양
2. 사회현실의 고발
3. 귀소의식의 발로
4. 대중 심성의 반영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류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중문과에서 문학석사, 국립타이완(臺灣)사범대학 국문연구소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군사관학교 중국어 교관을 거쳐서, 계명대학교 중국학연구소장, 미국 하버드대학 방문학자(Visiting Scholar), 한국중어중문학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학대학 학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소장, 중국 베이징(北京)대학 객좌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원장, 국제동방시화학회 회장, 중국 지린(吉林)대학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제48회 삼일三一문화상 인문사회과학 부문 학술상(2007)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역저서로는 《들판에 불을 놓아》,《중국현대대표시집》,《北京의 아침》,《楚辭》,《중국唐詩연구》, 《淸詩話연구》,《王維詩比較硏究》,《初唐詩와 盛唐詩 연구》,《당대 大歷才子詩 연구》, 《중국 시학의 이해》,《中韓詩學硏究的交融》,《중국 現當代 시가론》,《중국 시가론의 전개》,《新羅와 渤海 漢詩의 당시론적 고찰》,《懷麓堂詩話》, 《한국 漢詩와 唐詩의 비교》, 《淸詩話와 朝鮮詩話의 당시론》,《중국 시가와 기독교적 이해》,《중국 唐宋詩話 解題》(1·2),《東軒, 한시와 노닐다》 등 100여 권이 있다. 논문으로는 〈王維詩論에 의거한 申緯詩의 비교연구〉,〈晩唐 張祜시 시고〉,〈초당 崔融과 그 시고〉, 〈韓君平시의 풍자와 비전의식〉,〈敦煌寫本 王梵志시와 그 윤리의식〉,〈崔致遠과 羅隱의 시 비교〉,〈초당 李嶠와 그 詠物詩 考〉,〈《明詩綜》 所載 고려 문인시고〉,〈筆寫本 李白詩諺解本의 구성과 그 시의 예거〉,〈만당 皮日休와 黃巢亂의 상관성〉,〈《滄浪詩話》의 시 창작론〉등 20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종교는 정도(正道)의 사표인 동시에 인도자이다. 기독교는 그 정신을 ‘사랑’에 기본을 둔다. 민생이 고난을 당하면 선도하여 여론을 조성하고 구제의 길을 가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을 어떠한가. 교회는 자기충족에 만족하려 한다. 성전은 고대광실처럼 거대하고 성직자는 민생을 구제하여 하나님 앞으로 전도하지 못하고 신도에게 전도의 의무를 강요한다. 목회자가 모범이 되지 못하고 말로만 성령을 강조한다. 진정 우리 교회는 바르게 가고 있는 것인가. 왕범지는 진실된 민심의 대언자 역할을 하였다. 그의 시는 빈부의 차별에서는 갈등과 각종 부역(賦役)에 시달리는 고통의 고발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죽기로 호소한 것이다. 그것도 매우 솔직하고 담백하게 말이다. 그래서 두보(杜甫)의 시를 ‘시사(詩史)’라 한다면 왕범지의 시는 ‘시민(詩民)’즉 시를 통하여 민심을 대변하는 시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 표현이 정제되지 않았을 뿐, 열정과 강개가 있고 기개와 용기가 발양되어 있기에 더욱 값지다. 시인은 백성들이 부병(府兵)과 요역(?役), 그리고 각종 조세(租稅)로 인해 생활의 기반과 안정을 상실당했다고 보며, 신분과 계급의 차이에서 오는 극단적인 빈부 격차는 사회구조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본다.


불경에서 주장하는 “마음을 비우는”심적 경지는 기독교의 성경에서 “마음이 가난한 자가 천국에 간다”는 예수의 말씀과 비교할 때 소위 신인 일체적 신앙관이라는 관점에서, 시 창작의 정신적 자세를 입신적 단계까지 승화시켜야 함을 주창한 엄우 시론은 기독교의 입신 체험과 상통한다. 기독교의 ‘입신’이란 살면서 천국과 지옥을 경험하는 신앙적 체험이다. 기독교의 입신은 영이 몸 안에서 빠져나와서 가사(假死) 상태에서 천국과 지옥을 보는 체험이니 그 수행 단계는 성경과 기도에 전념함으로써 가능하다. 입신을 통해서 받는 신앙적 유익은 예수를 직접 만난다든가, 앞서간 성도를 만난다든가, 성경의 진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든가, 미래의 계시를 받는 등 신앙인으로서 특별한 신앙 간증을 체험한다. 그중에 성경의 진리를 이해하는 입신 경험은 참선의 화두 단계에 상응하는 것으로 탁월한 시 창작 능력의 발휘를 의미한다. 필자의 이런 추리가 문학론적으로 객관성이 결여된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정신집중의 절정 단계라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상정할 수 있다고 본다.


루쉰은 중국 현대문학의 위대한 작가로서 일본의 대학자 요시카와 고지로(吉川行次郞)는 루쉰은 노벨문학상을 백 번을 받아도 과하지 않다고 극찬하였다. 루쉰은 일본에서 유학하며 신학문을 습득하고 애국애민 의식이 강하고 중국에 대한 개혁의지가 깊어서 센다이의대에서 의학을 공부하던 중, 환등기를 통하여 중국인의 모멸적 자기학대와 몽매적 인간상을 목도한 후, 중국인의 신체 건강보다 정신 혁신이 더 다급하다고 절감하여 곧 귀국하여 은거하며 중국문학을 위시한 중국사상에 몰두하였다. 그 결과 루쉰은 불세출의 대문호로 탄생하고 중국 개혁의 선구자로 등장한 것이다. 이런 루쉰이 서양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에 기독교의 문화를 가장 심각하게 고찰하였고 그중에 예수와 십자가, 그리고 종교적 성격에서 예수의 영웅적 수난과 십자가의 의미를 그의 창작의 근거로 삼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대문호 루쉰의 문학은 예수를 배제하고 논할 수 없고 그 바탕 위에서 루쉰의 문학가치도 거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루쉰의 작품의 주인공이 일관되게 영웅 수난적 성격을 지닌 요인이 예수의 십자가 고난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오늘날 중국 대륙이 사회주의 국가로서 종교 탄압을 지속하고 복음화선교가 미미한 현실에서 루쉰의 문학을 예수고난과 연관시키어 고찰한 이 글에 대한 착상이 의미 있음을 관련 분야에서 유의하기를 바란다. 중국 현대문학에서 기독교 정신이 차지하는 사상적 바탕이 적지 않은 점을 재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