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생물과 생명
· ISBN : 9791134855215
· 쪽수 : 100쪽
· 출판일 : 2020-12-20
책 소개
목차
지구는 언제 태어났을까?·8
2 지구는 어떤 모양일까?·10
3 지구는 왜 둥글까?·12
4 지구의 ⅔를 차지하는 것은 뭘까?·14
5 땅 밑에는 뭐가 있을까? ·16
6 지구 속 알맹이는 무엇으로 돼 있을까?·18
★ 우주 정거장을 찾아라!·20
7 바닷속에도 산이 있을까?·22
8 바닷물의 높이가 가장 높을 때를 뭐라고 할까?·24
9 바닷물은 왜 짠맛이 날까?·26
10 해가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뭐라고 할까?·28
11 달이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뭐라고 할까?·30
12 지구만 자꾸 따라다니는 것은 뭘까?·32
13 지구엔 있는데 달에는 없는 것은?·34
★ 글자를 찾아라!·36
14 달의 중력 때문에 생기는 것은?·38
15 달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을까, 없을까?·40
16 달은 왜 자꾸 모양을 바꿀까?·42
17 달은 왜 지구에서 떨어져서 도망가지 않을까?·44
18 달에 처음 도착한 우주선은 뭘까?·46
19 한밤중에도 해가 쨍쨍 떠 있는 걸 뭐라고 하게?·48
20 해는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질까?·50
21 달과 별은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질까?·52
★ 초성 퀴즈를 풀어라!·54
22 지구랑 태양, 그리고 나머지 일곱 행성이 사는 곳은?·56
23 구름 속엔 뭐가 들었을까?·58
24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은 무엇 때문일까?·60
25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62
26 일 년 내내 겨울만 있는 곳을 뭐라고 할까?·64
27 적도 주변의 울창한 숲을 뭐라고 할까?·66
★ 퀴즈의 문을 통과하라!·68
28 태양 빛과 각종 나쁜 빛을 흡수하는 지구의 방어막을 뭐라고 할까?·70
29 태양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막는 층을 뭐라고 할까?·72
30 환경오염 물질이 섞여서 내리는 비를 뭐라고 할까?·74
31 화산인 백두산은 폭발할까? 폭발한다면 언제쯤 할까?·76
32 지진이 잘 일어나는 곳을 뭐라고 할까?·78
33 지진의 세기는 무엇으로 나타낼까?·80
34 지구는 커다란 자석이라는 게 사실일까?·82
★ 누가 소리를 낼까?·84
35 하나였던 땅이 떨어져 6개 대륙이 되었다는 학설을 뭐라고 하게?·86
36 중생대 지구에 가장 많이 살았던 것은 무엇일까?·88
37 공룡이 사라지고 나타난 것은?·90
38 화석은 무엇으로 만들어질까?·92
39 화석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94
40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바위를 뭐라고 할까?·96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로도의 일기 -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은 무엇 때문일까?
늦잠을 잤다. 눈을 뜨니 이미 아홉 시였다. 으악, 큰일이다, 큰일!
오늘 아침에 네오랑 만나기로 했는데 이렇게 아침이 빨리
올 줄은 꿈에도 몰랐다. 이 일을 어쩌면 좋지? 지구가
조금만 더 늦게 돌았으면 좋았을 것을!
그랬다면 아침이 좀 늦게 왔을 텐데 말이다.
정답 : 지구의 자전 때문이다.
※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은 지구 때문이라고?
지구에 낮과 밤이 있는 것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면서 스스로도 한 바퀴씩 돌고 있기 때문이야. 아침이 되면 우리가 사는 땅이 태양 쪽을 향했다가 밤이 되면 태양 반대편에 있다는 뜻이지. 지구가 한 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24시간 정도 돼. 매번 같은 시간을 주기로 지구가 돌기 때문에 하루를 24시간으로 정하게 되었지. 지구가 혼자서 한 바퀴 도는 것을 자전이라고 불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