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3723485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01-31
목차
프롤로그 4
1. 하나님의 의
가. 로마서 개관 15
나. 기록시기와 목적 16
다. 주요 신학적 주제 16
라. 로마서를 이해하는 핵심용어 16
마. 로마서의 구성 17
바. 인사말과 부르심을 받은 이유(1절) 17
사. 하나님의 복음(2~5절) 21
아. 로마에 가려는 목적(11~15절) 24
자. 복음의 능력(16~17절) 29
2. 하나님 앞의 인간의 실존
가. 도입 33
나. 하나님의 일반계시와 진노(18~20절) 33
다. 타락의 결과와 그 심각성(21~31절) 36
라. 타락에 대한 보응(32절) 42
마. 정리 42
3. 유대인에 대한 심판
가. 도입 45
나. 유대인의 죄 46
다. 하나님의 심판법칙과 유대인의 운명(5~11절) 52
라. 율법 유무가 심판에 미치는 영향(12~16절) 56
마. 율법준수와 하나님의 영광과의 관계(17~24절) 59
바. 할례의 효력문제, 두 종류의 인간(25~29절)61
사. 정리 64
4. 인류의 죄와 하나님의 의
가. 도입 67
나. 1장과 2장의 요약 68
다. 유대인들에게 내리는 책망(1~2절) 70
라. 절대불변의 진리(하나님의 속성)(3~8절) 71
마. 바울이 지적한 유대인들의 죄(9~18절) 73
바.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는 온 세상(19절) 79
사. 율법의 기능 80
아. 율법 외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21~26절) 83
자. ‘믿음의 법’을 받은 자 88
5. 믿음의 조상이 된 아브라함
가. 도입 91
나. ‘의롭다’함을 얻은 구약의 두 대표자(1~12절) 92
다. 아브라함의 믿음의 내용(13~22절) 95
라. ‘칭의’의 성격과 효력 99
마. 우리에게도 요구되는 확실한 믿음(23~25절) 101
6. 칭의의 결과
가. 도입(칭의발생) 103
나. 칭의로 인해 발생하는 효력 105
다. 칭의 얻은 성도의 삶(1~11절) 107
라. 죄의 기원과 그 영향(12~14절) 114
마. 죄의 특성 119
바. 인류에게 주신 은사 ‘예수 그리스도’(15~17절) 121
사.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할 이유(18~21절) 123
아. 정리 125
7. 성화의 원리1
가. 도입 127
나. 그리스도인은 죄를 지을 수 있는가? 128
다. 세례의 영적 의미(세례로 일어나는 일)(3~4절) 131
라. 칭의 받는 자에게 일어나는 두 가지의 일(5~10절) 133
마. 성도가 해야 할 몫(11~14절) 136
바. 기억하라(14절) 139
8. 성화의 원리2
가. 도입 141
나. 은혜 안에 있는 자의 죄 짓는 삶(15절) 141
다. 성도는 ‘죄의 종’에서 ‘의의 종’이 된 자(16~18절) 142
라. ‘죄의 종’과 ‘의의 종’의 차이 144
마. 성도에게 전하는 명령(19~23절) 147
바. 거룩함 안으로 들어가는 삶의 결과(22~23절) 148
사. 정리 149
9. 성화와 율법, 성도의 고통
가. 율법으로부터의 자유(결혼관계)(1~4절) 157
나. 왜 율법에서 자유하게 하셨는가(목적)(5~6절) 160
다. 율법(계명)의 본질과 목적 그리고 기능 161
라. 죄의 본질과 기능 166
마. 바울이 발견하고 깨달은 것(14~21절) 168
바. 바울의 감사(25절) 172
10. 성화와 성령
가. 성도는 왜 승리할 수 밖에 없는가?(1~11절) 173
나. 성령님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에게 오셨는가? 176
다. 왜 성령님은 성도에게 내주하시는가?(5~8절) 177
라. 성령의 내주(內住)하심 그 자체의 의미(9~10절) 181
마. 성령님의 성도 안에서의 활동은 무엇인가? 183
바. 성령 안에 있는 성도의 삶은 어떤 것인가?(12~17절) 185
사. 영광의 상속자에게 요구하시는 것은?(17절~25절) 191
아. 성도가 구원의 확신을 가져할 이유(26절~36절) 201
자. 궁극적 승리 안에 있는 성도 209
11.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 남은 자만 구원하시는 원리
가. 도입 211
나. 동족사랑, 유대인의 특권, 특권을 주신 목적(1~5절) 212
다.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6~18절) 216
라.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에 관한 부연설명(19~29절) 223
마. 보편적 구원의 원리(30~33절) 231
12. 구원의 대방정식(대원칙)/두 구원관
가. 도입 235
나. 유대인들의 잘못된 지식(1~4절) 236
다.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의 효력(5~15절) 238
라. 유대인의 반응, 거절의 책임, 회개촉구(16~21절) 246
13. 이스라엘의 구원에 관한 하나님의 계획
가. 도입 249
나. 아직은 유효한 구원계획(남은 자)(1~10절) 249
다. 이방인들에게 주시는 경고(11~24절) 254
라. 하나님의 구원계획의 비밀과 오묘한 섭리(25~36절) 260
14. 성도여, 이렇게 섬겨라(1)
가. 도입 265
나. 기독교 공동체의 삶(윤리)의 대원칙(1~2절) 266
다. 교회 안에서의 섬김의 원리(3~8절) 270
라. 섬김의 자세와 방법(9~21절) 279
마. 정리 291
15. 성도여, 이렇게 섬겨라(2)
가. 도입 293
나. 성도와 국가와의 관계에서의 성도의 자세(1~7절) 294
다. 성도와 사회(이웃)의 관계 및 사랑의 의무(8~10절) 303
라. 종말적 관점에서 주신 성도의 삶의 자세(11~14절) 304
16. ‘아디아포라’ 문제에 대한 지혜로운 조언
가. 도입 311
나. 서로 비판하지 말라:먹는 문제, 절기문제(1~10절) 313
다. 주님의 명령(13~23절) 321
라. 정리 328
17. 세계 선교를 위하여 새 공동체에게 보내는 메시지
가. 도입 329
나. 서로 용납하라(1~7절) 330
다. 인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섭리와 교회(8~13절) 337
라. 사도직 변호(14~21절) 341
마. 선교를 향한 바울의 결심, 선교계획(22~33절) 345
바. 로마서의 복음부분에 관하여 마침의 인사(33절) 355
18. 영원히 빛나는 이름들
가. 도입 357
나. 뵈뵈 추천(1~2절) 358
다. 이방인 교회를 향한 문안인사(3~16절) 361
라. 영적 싸움에서의 승리를 위한 권면(17~20절) 375
마. 문안하느니라(21~23절) 379
바. 하나님께 영광을(25~27절) 383
19. 부록
가. 선택과 유기 387
나.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 원리 390
다. 하나님의 구원계획의 순서와 종말(11장 25절 관련) 392
라. ‘아디아포라’ 논쟁(로마서 14장 관련) 3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