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주역
· ISBN : 9791137295513
· 쪽수 : 417쪽
· 출판일 : 2022-09-21
목차
십진법으로 정리한 인간 정신의 백미(白米) 유남고전인문학당 대표 김광민 1
수로써 정리한 오래된 인류의 화두 천문 한국자치학회 회장 전상직 4
빛으로 장엄된 우리의 존재 수로써 풀이하다
B-1 INTERNATIONAL. INC 대표 국세찬 4
• 주역 십진법 체계와 옛사람들의 세계관 10
• 해그림자를 이용한 지구의 방위와 1년 24절기 30
• 음양소장(陰陽消長)의 이치를 반영한 지구상의 절기[斗柄]와 황도 28수 41
• 12차(次)와 음양소장(陰陽消長)의 법칙 49
• 음양소장(陰陽消長)의 이치와 주천 28수의 개념 52
• 12차(次)의 명칭에 근거한 해와 달의 구체적인 움직임 57
• 해와 달이 만나는 때[時]와 자리를 진(辰)으로 나타내는 이유 63
• 천문(天門)과 지호(地戶) 및 음양(陰陽) 오행(五行)의 발단, 각진숙(角軫宿)과 규벽숙(奎璧宿)의 진(辰) 66
• 달력을 구성하는 원리로 살펴본 오운육기(五運六氣)의 이해 74
• 음양소장(陰陽消長)의 이치를 동서남북 방위로 대신한 하늘의 천문(天文)과 역(易)의 복희(伏羲) 방도(方圖) 79
• 주역에서의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82
• 압축해서 덧붙인 윗글 내용의 보완 96
• 역 기본 팔괘의 수리적인 해석 102
• 설괘전에 의한 주역의 수리적 접근 105
• 팔괘(八卦)에 대한 설괘전과 계사전의 시각 차이를 중심으로 108
• 십진법의 체계로 천체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땅 위의 규표(圭表) 110
• 오운육기(五運六氣)로 본 주역의 기본 8괘 116
• 십진법의 50 대연수와 그것이 작용하는 수 49 122
• 십진법의 수가 작용하는 원리의 부연 설명 128
• 8괘에 의존한 앞 도표의 수리적 의미 131
• 문왕의 주역 상․하경과 그에 대한 수리적 고찰 136
• 주역 상․하경의 차례에 대한 도상(圖像) 1 143
• 십진법의 실질적인 적용 십체구용(十體九用) 148
• 십진법과 9진법의 체계가 주역에서 필요한 이유 151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적용되고 있는 십체구용(十體九用)의 원리 154
• 하도와 낙서의 원리 및 선후천(先後天) 8괘도 168
• 선천 팔괘와 후천 팔괘에 반영된 십진법의 원리 170
• 수(數)로써 정립된 율려(律呂)의 원리 175
• 오운육기(五運六氣)로 압축한 해와 달의 움직임 178
• 수로서 확인되는 우리 신체의 기능 192
• 오운육기(五運六氣) 원리에 대한 보충 설명 196
• 황도 28수의 낱낱 도수와 지지에 근거한 지구상 절기 205
• 십진법으로 구체화 된 일 년 운행 도수와 주역 괘상 210
• 천체의 움직임을 십진법의 체계로 이해하게 해주는 주역 설시법 212
• 대연수 조작에 의한 주역 괘상 변점도의 고찰 223
• 사상(四象)의 책수(策數)와 십진법에 의존한 설시(揲蓍)의 의미 요약 1 227
• 대연수의 작용과 역의 수리적 근거 233
• 주역의 괘상에서 차이가 나는 음양(陰陽)의 책수에 대한 언급 239
•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의 60갑자(甲子)와 50 대연수 242
• 귀장도(歸藏圖)와 천지(天地) 대연(大衍)의 수(數) 245
• 삼오이변(參伍以變)의 개념과 주역의 의미체계 252
• 주역 괘상 배치의 근거 삼오이변(參伍以變)의 수 256
• 하도(河圖)에 근거한 12지지(地支)의 수(數)와 주역 괘상의 관련성 260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반영된 세상의 이치 262
• 원도(圓圖)로 확인되는 선후천(先後天) 팔괘(八卦)의 십체구용(十體九用) 267
• 육고(六觚)의 원리로 접근해 본 주역 괘상의 의미 270
• 오성(五聲)과 12률(律)에 적용되는 간지합충수치(干支合沖數値)의 해설 280
• 압축해서 덧붙인 윗글 내용의 2차 보완 285
• 율관 생성의 지혜, 삼천양지(參天兩地) 및 십체구용(十體九用)의 원리 291
• 율려(律呂)의 상식 천간(天干)의 합(合) 311
• 해와 달의 움직임에 기초한 오음(五音)의 구성 317
• 삼획괘로 분석한 문왕 서괘의 구성 322
• 낙서의 수에 근거한 상경(上經) 전체의 괘상 분석 336
• 낙서의 수에 바탕을 둔 월별 전체 주역 괘상의 분석 341
• 십진법의 수를 반영하는 주역 28괘(卦)와 십체구용(十體九用)의 수 36 352
• 괘변설에 관한 보충 359
• 호괘(互卦)로 살핀 주역(周易) 괘상의 시작과 끝 365
• 수(數)로써 확인되는 우리 마음의 변화상 369
• 주역의 구덕 삼진괘와 구궁도에 근거한 오행의 배치 378
• 주역 구덕 삼진괘에 관한 계사전 해설 도표 380
• 주역의 괘사(卦辭)와 효사(爻辭)에 반영된 십진법의 작용 원리 384
• 십진법(十進法)의 수리적인 작용과 소강절의 36궁(宮) 389
• 숫자로서 살펴본 주역 괘상의 호체(互體)와 잡괘전(雜卦傳)의 배열순서. 393
• 64괘에서 사상(四象)으로(호괘) 405
• 육십사괘(六十四卦) 선천(先天) 원도(圓圖)의 호괘(互卦)와 구성 원리 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