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37267435
· 쪽수 : 625쪽
· 출판일 : 2021-12-23
목차
책의 번역 마무리에 감사드리며 2
<계사상전(繫辭上傳)> 6
역전의 개념 6
방이유취도(方以類聚圖) - 송나라 작자 미상 10
日月運行에 따른 冬夏風雨圖 15
乾坤易簡之圖 23
진퇴 변화를 보여주는 육십사괘 변통의 그림 29
2. 陰陽 進退 變化에 관한 卦變陽施陰受上消下息圖 31
日月이 易이 되는 그림 49
천문과 지리 신체에 역이 부합하는 그림 51
시경의 모씨전 및 주자의 귀신설 58
시경과 관련된 측면의 주역 해설 66
천지의 수 55와 대연 수 50에 관한 몇 가지 의문점 128
대연의 수 50과 그 작용의 수 49 131
건곤(乾坤)의 책수 146
四象의 策數와 揲蓍에 의한 의미 요약 1 150
설시취책도(揲蓍取策圖) 152
설시 도표와 원형이정 동서남북 관련 도표 154
설시의 법도 154
괘를 뽑는 법에 대한 해설 156
점으로 역을 활용하는 방법 설시 이외의 척전법(擲錢法). 161
거북점과 주역의 시초점 1 170
거북점과 주역의 시초점 2 171
삼오착종도(參伍錯綜圖) 1 175
삼오착종(參伍錯綜) 제 2 – 종(綜)의 정(正)과 잡(雜) 179
삼오착종(參伍錯綜) 제 3 180
삼천양지의수도(參天兩地倚數圖)로 본 삼오착종(參伍錯綜) 182
삼양착종회변총도(三兩錯綜會變總圖) - 宋나라 雷思齊의 <易圖通變> 184
낙서(洛書)가 종횡(縱橫)으로 십오(十五)가 되는 상 1 186
노자의 무위(無爲)자연과 계사전의 태극(太極) 218
계사상전 마지막 장의 뜻과 주역 240
<계사하전(繫辭下傳)> 257
도표로서 구체화시킨 주역 팔괘의 건(乾)과 곤(坤)의 사귐. 257
팔괘 취상도(八卦 取象圖) 277
건곤문호(乾坤門戶)와 빈모사괘(牝牡四卦) 372
복희의 괘상에 말을 붙인 주나라의 문왕 편[1권]을 참고할 것. 383
주역의 구덕 삼진괘와 구궁도에 근거한 오행의 배치 384
구덕 삼진괘의 수리적인 해설 388
<說卦傳> 463
설괘전에 대하여 463
화순도덕(和順道德) 및 궁리진성(窮理盡性)의 역(易) 472
사상(四象) 팔괘(八卦) 육위(六位)의 도(圖) 477
後天 八卦를 天·地·水·火의 本体와 作用으로 환원시켜본 도표-天地定位 및 水火不相射의 보충 자료. 479
육십사괘(六十四卦) 인중지도(因重之圖) 487
8괘의 性情 및 구체적인 내용물-설괘전 560
<서괘전(序卦傳)> 565
<잡괘전雜卦傳> 599
잡괘전과 선유들의 잡괘전 해설,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