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4070378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4-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아이를 사랑하지만 완벽히 이해해주기 어려운 부모님께
[PART 1. 아이 마음을 이해하는 시간]
01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연습 | 02 진짜 정보와 가짜 정보를 구분할 수 있어요 | 03 육아하면서 느끼는 불안을 줄일 수 있어요 | 04 심리학을 통해 건강한 육아관을 가져요
[PART 2. 내 아이를 위한 심리학 공부]
1강. 아이의 마음 발달이란?
01 발달을 알면 아이가 보여요 | 02 아이는 정해진 순서로 자라요
2강. 아이 발달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01 문제 행동의 원인부터 알아야 해요 | 02 첫 번째 관점: 정신분석 이론 | 03 두 번째 관점: 행동주의 이론 | 04 세 번째 관점: 인지발달 이론 | 05 육아 정보를 제대로 구분하는 힘
3강. 채워지지 않은 욕구가 어느 단계에도 없어야 해요 ?프로이트의 발단 단계
01 욕망을 배워요 | 02 1단계: 입으로 탐색하는 구강기 | 03 2단계: 스스로 만들어내는 항문기 | 04 3단계: 부모도 아이도 힘든 남근기 | 05 4단계: 잠복기와 생식기
4강. 아이는 자라면서 차례대로 미션을 완수해요 ?에릭슨의 발달 단계
01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7단계 발달 게임 | 02 첫 번째 미션: 기본적 신뢰감 | 03 두 번째 미션: 자율성 | 04 세 번째 미션: 주도성 | 05 네 번째 미션: 근면성 | 06 그 이후의 과정
5강. 아이가 생각하고 배우는 방식도 자라요 ?피아제의 발달 단계
01 끊임없이 나를 변화시키며 성장해요 | 02 출생~만2세 감각운동기: 온몸으로 세상을 배우는 시간 | 03 만2~7세 전조작기: 내가 보이는 대로 봐요 | 04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 본격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요
[PART 3. 아이 마음에 상처 주지 않는 습관]
01 우리 애는 왜 내게서 안 떨어질까? | 02 내 아이가 불안정 애착인지 아는 법 | 03 어린이집을 갑자기 거부한다면 | 04 무조건 부모 탓을 하는 아이 마음 | 05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 해석하기 | 06 특정 물건에 집착하는 아이 | 07 1등을 고집하는 아이의 마음속 | 08 훈육이 잘 통하지 않는다면
[PART 4. 나의 마음을 이해하는 습관]
01 부모 마음 체크리스트 | 02 아이를 제대로 사랑하기 힘들 때 | 03 아이에게 공감이 잘 안 된다면 | 04 아이를 자꾸만 통제하려는 나 | 05 아이를 키우며 나를 잃는다고 느껴질 때 | 06다른 부모와 비교될 때 | 07 아이에게 죄책감이 느껴진다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런데 정말 육아에는 답이 없을까요? 어떤 면에서는 그럴 수도 있어요. 모든 부모와 아이에게 딱 맞는 하나의 정답은 없으니까요. 다만 ‘육아에는 답이 없으니까 아무렇게나 해도 돼!’라고 생각하는 건 위험해요. 세부적인 상황에서는 개개인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아이 발달의 전체 과정을 아우르는 기본적인 방향과 속도는 존재하거든요. 아이를 키울 때 딱 맞는 틀에 넣을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아이는 어떻게 발달하는지 알아야 해요. 그래야 아이의 성장을 기다릴지 혹은 적극적으로 아이를 지원해줄지 부모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어요. _<발달을 알면 아이가 보여요>
이 시기의 아이는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기 위해 “싫어!” “아니야!”부터 외치기도 하고 미운 표정을 지으며 자신의 공격성을 부모에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대부분의 부모에게 이런 갑작스러운 변화는 당황스럽고 부담스러운 일일 거예요. 하지만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사랑과 공격성을 함께 가지고 태어나요. 아이가 드러내는 이러한 공격성은 실은 부정적이기만 한 변화가 아닌,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모습이에요. 그리고 이러한 공격성이 있기에 아이는 무언가 도전해보려는 동기가 일어나게 되고, 비로소 아이 스스로 하나의 인격체로 나아가기 시작하지요. _<3강 채워지지 않은 욕구가 어느 단계에도 없어야 해요 ?프로이트의 발단 단계>
부모와 있을 때조차 내 마음대로 블록을 쌓고 완성된 것을 무너트려보지도 못했는데, 다른 친구가 왔다고 장난감을 나누어 쓰고 함께 놀이를 하라고 하면 아이에게는 무리한 요구로 느껴질 수 있어요. 내가 원하는 것을 언제 채울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지금은 자기 욕구부터 채워야지, 친구와 함께 나누며 놀 수 없는 거죠. 따라서 아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만 고집스레 주장하거나, 혼자서 노는 방향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요. _<4강 아이는 자라면서 차례대로 미션을 완수해요 ?에릭슨의 발달 단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