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91141020200
· 쪽수 : 303쪽
· 출판일 : 2023-03-15
목차
Part 1. 개요와 용어 정의
Part 2. 사전작업
Part 3. 계획과 방침
Chapter1. 내부 관리계획
Chapter2. 개인정보 처리방침
Chapter3. 개인정보 보호 계획
Chapter4. 개인정보 보호 교육 계획
Chapter5.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ㆍ관리 방침
Chapter6. 비밀번호 작성규칙
Chapter7. 개인정보 유출사고 대응 매뉴얼
Part 4. 문서화 기타
Chapter1. 문서에 의한 개인정보처리 업무위탁
Chapter2. 영상정보처리기기 안내판의 설치
Chapter3. 개인정보 처리 실태 및 관행의 정기조사
「잡설」의 <목차>
• 「개인정보보호」 or 「개인정보 보호」, 붙여서 쓰나, 띄어서 쓰나
• 나만의 개인정보는 의미가 없다
• ‘개인정보 보호’의 영문 표현
• 개인신용정보 보호와 관련된 관치금융 논란의 간략 개요
•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황을 파악했다면...에 대한 고민
• 개인정보 보호 업무에 필요한 역량
• 핀테크 산업의 개요와 전망에 대한 소견
• 생체정보 활용에 대한 우려
• 왜 반응이 다른가?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도 ‘급’이 있기 때문
• 주민등록번호의 문제점과 개선 논의의 개요 소개
• 주민등록증 기재 정보의 재검토도 필요하다.
•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약관」인가?
• ‘개인정보파일을 구성하는 개인정보’의 특성
• 업무에 대한 기록을 남기면서 일한다.
• 내부로부터의 위협
• ‘민간사업자의 사망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제안
• 개인영상정보의 내용과 관리기준도 변한다.
• 내 비밀번호가 조회되지 않는 이유
• 회사가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구박하면 안 된다는 법 조항이 있는 이유
• 개인정보는 공공재이다(×), 개인정보는 경제적 재화이다(○)
• 개인정보 보호 업무의 「위험의 외주화」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