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란

신란

시미즈 다이치 (지은이)
부크크(bookk)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0원
1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41936112
· 쪽수 : 140쪽
· 출판일 : 2025-04-14

목차

Ⅰ. 서론(序論)

1. 연구 목적과 범위
• 신란(親鸞)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보는 가마쿠라(鎌倉) 시대 불교사적 전환점
• 기존 정토(淨土) 계열 인물과의 비교: 호넨(法然)과의 관계가 지닌 의의
• 연구 방법과 사료: 『교행신증(教行信證)』, 『탄니쇼(歎異抄)』, 교단 문헌, 편지·고전 등
2. 가마쿠라 시대의 정토교(淨土敎) 배경
• 헤이안 말기~가마쿠라 초기: 무사 정권 확립과 민중 불교의 부상
• 호넨 이후의 정토교 지형: 법연(法然)문하와 새로운 신앙운동의 태동
• 불안과 전란 속에서 ‘아미타불(阿弥陀佛)의 본원력(本願力)’을 찾는 민중 심리
3. 신란 연구사와 문제의식
• 호넨과 구별되는 신란 사상의 독창성에 대한 논의
• ‘탄니쇼(歎異抄)’ 해석을 둘러싼 교단 내부의 논쟁
• 근·현대 일본 학계 및 서양 불교 연구에서의 신란 재평가


Ⅱ. 신란의 탄생과 성장

1. 출생(1173년)과 가문 배경
• 교토(京都) 귀족 가문 설(미나모토/후지와라 출생설 등)과 가난 속 성장의 이설
• 부모와의 관계, 어린 시절 신앙 형성에 영향을 준 요소
• 당대 사회·문화적 배경: 귀족 불교의 사치와 민중 불안
2. 몹시 어렸을 때의 출가
• 헤이안(平安) 말기의 승려 생활: 련(蓮) 이름계 후속 전승
• 체험적 신앙의 싹: 신란이 바라본 궁정 불교의 고립과 위선
• 출가 동기를 둘러싼 전설(“9세 출가” 등)에 대한 문헌 비판
3. 초기 수행과 고민
• 승려로서의 고된 학습과 의례, 신란이 체감한 한계
• 호넨(法然) 설법과의 만남 전: 정토교에 대해 막연히 품었던 문제
• 가마쿠라 시대로 이행하는 정치·사회 변동 속에서, ‘중생 구제’에 대한 갈망


Ⅲ. 호넨과의 만남: 정토교 수용

1. 호넨(法然) 문하 입문
• 호넨의 설법이 주는 충격: “염불(念佛)만으로 구원되는가”라는 대담한 주장
• 신란이 본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해석의 혁신성
• 호넨 문하에서의 생활: 문하생들과의 교류, 의례·수행 체득
2. 비판과 추방: 가마쿠라 막부와 귀족 불교의 반발
• 호넨이 이끌던 정토교 탄압: 법연(法然)과 신란의 유배(流罪) 배경
• 신란이 겪은 추방의 충격과, 그가 체감한 ‘사회적 박해’
• 호넨과의 이별 또는 독립의 발단?
3. 호넨 사후와 신란의 분기
• 호넨 사망 후 정토교 내부 분열
• 신란이 본 호넨의 가르침: “타력(他力)을 넘어서는 타력”
• 독자적 길 모색: 신란이 깨달은 ‘진심의 염불(念佛)’


Ⅳ. 새로운 신앙의 형성: ‘고타니의 신란(小谷の親鸞)’

1. 수도에서 멀어지다
• 교토를 떠나 지방 유배지에서 체득한 민중 현실
• “내가 비구도 아니고, 재가도 아니다”라는 독특한 자각
• 가정(결혼)과 가족: 불교 승려로서 전례 없는 행보
2. 구도(求道)의 심화: 완전한 ‘타력(他力)’의 인식
• ‘아미타불(阿弥陀仏)’ 본원(本願)에 대한 독창적 해석
• “행(行)·신(信)·증(証)의 관계”를 심화: 『교행신증(教行信證)』 개념 정리
• 신란이 말한 ‘인간 주체성’과 ‘타력’의 모순 없는 결합
3. 중생 구제와 결혼관(妻帯) 문제
• 전통 승려와 달리 처자식을 두었다는 점의 파격
•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결혼 관습에 대한 미묘한 태도
• 신란 스스로가 “나는 중생 가운데 한 사람일 뿐”이라 천명한 의의


Ⅴ. 『교행신증(教行信證)』과 저술 활동

1. 『교행신증』의 구조와 사상적 핵심
• “교(教)·행(行)·신(信)·証(証)” 4단 구성: 신란 특유의 논리 전개
• 불교 경전(특히 정토삼부경) 인용 방식: 호넨 사상과의 비교
• 본원력(本願力)과 “절대 타력” 이론의 완성
2. 『탄니쇼(歎異抄)』와 신란 전승
• 『탄니쇼』가 신란 말년 제자들의 기록인지, 비판적 검토
• “악인정기(悪人正機)” 등 유명 구절 탄생의 맥락
• 신란이 직접 저술하지 않았음에도 교단에서 중요시되는 이유


Ⅵ. 삶의 마지막과 입적(入寂)

1. 말년 행적과 교단 운영
• 노년의 신란이 지방을 오가며 설법을 계속했다는 전승
• 가난한 농민·무사까지 문하에 포섭: 신앙 공동체 조성
• 교단 내부 문제(염불 해석 차이, 호넨 계승과의 갈등 등)
2. 입적과 장례, 제자들의 애도
• 교토 혹은 교외에서의 마지막 장면에 대한 전승
3. 신란 이후의 교단 분화
• 신란 직후 형성된 분파와 세속화 논쟁
• 재가(在家) 중심인 정토진종의 교리 확립 과정을 둘러싼 갈등
• 교단 명칭 “모토혼간지(本願寺) 등”의 변천과 사찰 확산


Ⅶ. 정토진종(浄土真宗) 교단의 확립

1. 진종 교단 형성과 후계 구조
• 신란의 직계 제자들(유이엔(唯円) 등)과 그 역할
• 본원사(本願寺) 창건과 ‘아미타불 본원(本願)’ 신앙의 조직화
• 교단 헌장과 의례 정비: 신란이 일으킨 파격의 제도화
2. 무로마치~에도 시대 정토진종의 발전
• 본원사(本願寺)와 이시야마 전투(石山合戦) 등 역사적 격동
• 지방 영주와 농민의 열렬한 지지: ‘악인정기’ 사상이 지닌 호소력
• 에도 막부의 사찰 관리 시스템 하에서의 진종 교단

저자소개

시미즈 다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미즈 다이치’라는 필명을 사용하며, 국적과 실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치, 역사,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집필하며, 방대한 자료 분석과 사상사적 재구성을 결합한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