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41991135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5-02-21
목차
제1장. 불교의 성립과 동아시아 전래 개관
1. 인도 불교의 기원과 부파 불교의 전개
2. 중앙아시아·중국을 통한 동아시아 전래
3. 한반도 외 지역 불교사(중국·일본)와의 상관성
제2장. 삼국 시대 이전 불교 전래의 가능성
1. 고조선·부여·가야 등지의 종교적 토대
2. 교역로와 사신(使臣)을 통한 불교 교류 추정
3. 고대 샤머니즘과 불교의 융합 문제
제3장. 삼국 시대 불교의 공식 수용
1. 고구려의 불교 수용 (소수림왕 2년, 372년)
2. 백제의 불교 전래와 발전 (침류왕 1년, 384년)
3. 신라의 불교 공인 (법흥왕~진흥왕대)
4. 삼국 불교 보급의 주체: 왕실과 귀족층
제4장. 삼국 불교의 사상적·예술적 전개
1. 삼론학·열반종 등 교학 불교의 전래와 특징
2. 승려들의 중국 유학과 교류: 혜자, 혜관, 승랑 등
3. 사찰 건축과 불교 미술(불상·석탑)의 발전
4. 삼국 경쟁 속에서 불교의 역할: 국방 불교·왕권 강화
제5장. 통일 신라 시대 불교의 황금기
1. 통일 과정과 불교의 역할
2. 원효·의상·혜초 등 고승의 활동과 사상
3. 화엄사상, 법성종 등 교단 정비
4. 불국사·석굴암 등 통일 신라 불교 예술의 정수
제6장. 고려 건국과 불교의 정치·문화적 지위
1. 태조 왕건의 호국 불교 정책
2. 광종의 승과 제도와 교단 정비
3. 왕실·귀족과 불교의 밀착 관계
제7장.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성장과 통합
1. 교종 5교(華嚴·法相 등)와 선종 9산의 형성
2. 균여·의천 등의 활동과 교종 통합
3. 지눌과 조계종의 성립: 선·교 융합 사상
4. 불교사상의 다양성과 갈등
제8장. 고려 불교 문화의 절정
1. 팔만대장경 간행과 대장경 판각소(板刻所)
2. 사찰 건축과 불상·불화(불화장엄) 예술 발전
3. 불교 행사와 의식, 국가의례 속 불교
제9장. 고려 후기 불교의 문제와 쇠퇴
1. 권문세족과 불교의 타락 논란
2. 외세 침략(몽골·홍건적)과 불교계 대응
3. 조계종 내 분파와 내부 갈등
제10장. 조선 초 억불 정책과 유교 이념
1. 태조·태종·세종 대의 불교정책 기조
2. 숭유억불(崇儒抑佛)로의 전환 배경
3. 사찰 재산 몰수, 도첩제(度牒制) 실시 등 억압 조치
제11장. 조선 중기 불교의 생존과 변용
1. 사림 세력의 성장과 불교 비판
2.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시 승군(僧軍)의 활약
3. 서산대사(휴정)·사명대사(유정) 등 고승의 역할
4. 불교 교학·의식의 지방화와 민중화
제12장. 조선 후기 불교의 부흥 움직임
1. 영·정조 시대 문화 정책과 불교
2. 18~19세기 사찰 중건 운동
3. 선·교 양종 체제와 종단 정비 시도
4. 민간 신앙 속 불교와 샤머니즘의 융합
제13장. 메이지 시대(일본)와 조선 말의 교류
1. 개화기 조선의 불교 정책 변화
2. 일본 불교 세력의 영향(통감부·조계사 개입 등)
3. 사찰 재산과 승려 지위 변동
제14장. 일제강점기 불교의 수난과 제도 개편
1. 사찰령(寺刹令)과 총독부의 불교 통제 정책
2. 한용운 등 독립운동가 승려의 활동
3. 한·일 불교 합병론과 조선 불교계 갈등
4. 사찰 재산·인사 관리 문제와 친일 논란
제15장. 해방 이후 불교의 재건과 분화
1. 광복 후 종단 정비와 정화운동
2. 비구·대처 승 체제 갈등과 조계종 등 종단 확립
3. 한국전쟁 시기 불교 활동과 사찰 피해
4. 산업화·도시화 시대 불교의 도시 포교와 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