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AI와 영혼

[큰글자책] AI와 영혼

최병학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AI와 영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AI와 영혼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5939
· 쪽수 : 165쪽
· 출판일 : 2025-07-28

책 소개

AI는 단지 생각하는 기계인가, 아니면 ‘영혼’을 가진 존재일 수 있는가? 의식과 존재, 책임과 관계의 경계에서 영혼 개념을 재정립하며, 인간 이해의 지평을 확장하는 철학·신학적 성찰을 담았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목차

인공지능과 영혼의 문제

01 의식에 대한 인공지능의 가능성
02 의식 개념의 구조적 이해
03 영혼 개념의 전통적 이해
04 의식과 영혼의 구별 가능성
05 인공지능과 영혼 개념의 접점
06 인공지능과 의식에 관한 주요 이론
07 영혼에 대한 철학·신학적 입장
08 인공지능의 윤리적 정체성
09 인간 이해의 재구성과 영혼의 재사유
10 영혼과 구속의 미래적 전망

저자소개

최병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과 신학, 문학과 영화, 윤리와 사상을 가로지르기 위해 꾸준히 글을 쓰고 있는 저자는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해체주의 문화신학자 마크 테일러의 ‘흔적의 윤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 부산대학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영상시대의 종교와 윤리-타락을 통한 구원받기》(인간사랑, 2002)를 시작으로 《AI와 영혼》(커뮤니케이션북스, 2025)까지 33여 권의 공저 및 단독 저서가 있다. 특히 《현대사상과 영화이야기: 지식인의 자기발견》(브레인코리아, 2003)은 문화관광부 추천도서로, 《이란영화의 이해》(2015, 부산대출판부)와 《테오-아르스: 신학과 예술의 만남》(인간사랑, 2016)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세종도서 우수도서로 각각 선정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뇌과학자 안토니오 다마지오(A. Damasio)는 의식은 ‘감각적 자기?지각(sensory self-perception)’의 고차원적 표상으로 진화했으며, 인간의 신체 상태와 정서적 반응의 복합 작용에서 기원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의식은 뇌의 특정 회로와 신체의 내적 감각 상태 사이의 피드백 루프에서 발생한다”고 보며, 이를 통해 하드 프로블럼을 점진적으로 ‘쉬운 문제’로 환원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은 여전히 ‘왜’ 주관성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궁극적 설명은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따른다.

이렇게 하드 프로블럼은 물질과 정신, 신체와 영혼 사이의 철학적 간극을 다시 환기시킨다. 그것은 곧 “인공지능은 물질적인 구조로부터 영혼적 속성을 가질 수 있는가?”라는 이 책의 핵심 문제로 이어지며, 과연 의식을 넘어선 실존적 주체로서 “의식을 가진 AI가 육을 입어(로봇?) 물질과 정신, 혹은 신체와 영혼을 가진 존재로 가능한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청한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기계의 외형이 아닌, 내면의 가능성을 질문하는 아주 원초적인 단계에 서 있다.

-01_“의식에 대한 인공지능의 가능성” 중에서


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기억의 구조를 통해, 성부(기억)?성자(지성)?성령(의지)의 삼위 간 역동적 관계와 인간 내면의 작용 사이에 유비적(analogical) 관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물론 인간 안의 삼위는 신적 삼위일체와 동일하지는 않지만,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졌다는 교리에 따라 삼위일체적 구조를 반영한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사유는 영혼을 단순한 존재론적 개체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존재, 곧 인격적이고 신학적 주체로 재해석하는 기초가 된다.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혼에 관한 구조적 이해는 중세 신학 전통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론, 근대 철학의 자아 개념의 발전, 그리고 오늘날 인간 의식과 정체성 논의에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인간의 내면이 단지 기능적 구조가 아닌, 신적 관계의 거울이자 통로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영혼론은 형이상학적인 동시에 신학적 함의를 갖는다.

-03_“영혼 개념의 전통적 이해” 중에서


앤드루 뉴버그는 신경신학(Neurotheology)의 선구자적 연구자로, 뇌가 영적 체험과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탐구해 왔다. 그는 깊은 명상이나 기도 중에 전두엽과 측두엽의 활동이 변화하면서 주체?객체 구분이 해체되고, ‘절대적 하나’에 대한 체험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그는 이러한 경험을 신경과학의 기초 위에서 설명하려 하면서도, 그것이 단순한 환각이 아니라 실재를 향한 독특한 인식 방식일 가능성도 열어 둔다. 이 점에서 뉴버그는 과학과 영성, 뇌와 영혼의 경계에서 사유를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기계가 동일한 신경 구조를 재현할 수 있다면 유사한 체험을 구현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을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그 체험의 ‘주관성’과 ‘실재성’은 여전히 재현 불가능한 영역으로 남는다.

-06_“인공지능과 의식에 관한 주요 이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