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AI와 노벨상

AI와 노벨상

오상훈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0원
1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AI와 노벨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AI와 노벨상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8374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25-09-09

책 소개

2024년 노벨 물리학상·화학상 수상으로 인정받은 AI 연구 성과를 다룬다. 신경망과 알파폴드2의 돌파구, 구글 공동 과학자 사례를 통해 AI가 과학 연구의 방법론과 미래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보여 준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목차

과학 기술의 발전을 이끄는 AI, 노벨상 그 이후

01 노벨상과 노벨상 위원회
02 AI 연구의 시작
03 홉필드 모델과 볼츠만 머신
04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과 딥 러닝
05 AI의 발전과 노벨 물리학상
06 단백질 구조 예측 문제
07 알파폴드 2와 노벨 화학상
08 구글 공동 과학자
09 구글 공동 과학자의 특화 에이전트들
10 구글 공동 과학자의 한계와 과제

저자소개

오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원대학교 AI응용학과 교수다. 카이스트(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에서 머신 러닝 연구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LG반도체 근무 후(1988∼198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초기술연구부와 이동통신기술연구단에서 신경 회로망의 학습 알고리즘과 성능 분석을 연구했다(1990∼1998). 일본 이화학연구소 산하의 뇌과학종합연구소(BSI, Brain Science Institute)에서 독립성분분석과 암묵신호 분리를 연구했고(2000), 카이스트 뇌과학연구센터에서 뇌공학 연구를 했으며(1999, 2001),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에서 단백질 구조 예측과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연구했다(2008∼2009). AI프렌즈학회 감사, 한국콘텐츠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인공지능: 수학적 이해에서 알고리즘까지》(2025) 등이 있다. 머신 러닝 분야에서 “Unsupervised multi-sense language model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2021) 등 100편 이상의 논문을 SCI, SCOPUS, KCI 등 등재 학술지에 등재하거나 국제학술 대회에서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초기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의 5인 중에는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실험물리학적 전통을 강하게 대변하는 하셀베리(Klas Bernhard Hasselberg), 탈렌(Robert Thalen), 옹스트룀(Anders Jonas Angstrom)이 있었다. 이들의 영향력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까지 실험물리학 공헌자들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편, 에너지 양자 개념을 발표한 이론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Max Planck)가 수많은 사람들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노벨 물리학상을 늦게 받았던 이유도 당시 실험물리학을 중시하던 노벨상 위원회의 의견 때문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대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 과정 역시 새로운 과학 이론에 보수적인 스웨덴 과학계의 태도를 보여 준다. 아인슈타인은 1910년 특수 상대성 이론으로 오스트발트에 의해 노벨상 후보로 처음 지명된 이후, 브라운 운동, 고체 비열, 양자론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노벨상 후보로 추천되는 빈도가 늘어 갔다. 그러나 보수적인 실험물리학자들로 구성된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는 1922년에야 아인슈타인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하면서 수상 근거로 상대성 이론이 아니라 ‘이론물리학 특히 광전 효과에 대한 기여’로 발표했다. 이는 이론물리학이 취약했던 스웨덴 과학계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01_“노벨상과 노벨상 위원회” 중에서


홉필드 모델의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뉴런들의 상태를 확률론적으로 변화시키는 볼츠만 머신이 제프리 힌턴(Geoffrey Everest Hinton)과 테런스 세이노프스키(Terrence Sejnowski)에 의해 제시되었다. 볼츠만 머신은 통계물리학의 개념을 이용해 신경 회로망의 상태가 국소 최소 지점을 벗어날 수 있도록 했다.

-03_“홉필드 모델과 볼츠만 머신” 중에서


단백질 구조 예측 문제란,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정보만으로 단백질이 실제로 어떤 3차원 구조로 접히는지를 컴퓨터나 인공지능을 활용해 예측하는 과제다. 이 문제는 생물정보학과 이론화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가장 중요한 난제로 꼽혀 왔으며, 신약 개발, 효소 설계, 질병 연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는 단백질의 구조를 X선 결정학이나 저온전자 현미경 등 실험적 방법으로 알아내야 했지만, 이 방법들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일부 단백질(예: 막 단백질, 고분자 단백질)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반면, 아미노산 서열 정보는 유전자 분석을 통해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서열 정보만으로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면 연구 속도가 크게 빨라진다.

-06_“단백질 구조 예측 문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43008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