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9791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25-10-24
책 소개
목차
AI 도서관 트렌드
01 AI와 도서관
02 AI 기반 도서관 서비스
03 AI와 스마트 도서관
04 AI와 디지털 아카이빙
05 AI와 정보 검색
06 AI와 공공 도서관
07 AI 리터러시와 도서관
08 AI 윤리와 도서관
09 AI 시대 사서의 역할
10 AI 전략과 도서관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내에서도 국립중앙도서관은 개인의 성향을 기반으로 AI 추천 시스템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AI 실감서재’를 도입했으며, 안양시와 광명시 등의 공공 도서관에서 AI 챗봇 서비스를 도입해 비대면 이용자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대학 도서관에서는 논문 추천, 학술 정보 검색 최적화, 자연어 기반 검색 엔진 적용 등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서의 업무를 재편성하고 고도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01_“AI와 도서관” 중에서
지능 정보 기술의 도입으로 이용자 중심의 자율적 정보 탐색 환경을 조성했다. 키오스크 기반 무인 시스템과 AI 도입으로 이용자는 도서 검색, 추천, 대출 등 도서관 서비스를 스마트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도서관은 무인 시스템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료를 이용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정보 이용에 대한 자율성과 편의성을 증진했다. 또한 지역 곳곳에 분산 설치된 스마트 도서관은 기존에 도서관 접근성이 낮았던 정보 소외 계층에게도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 내 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03_“AI와 스마트 도서관” 중에서
공공 도서관의 과업 영역 및 과업 내용, 공공 도서관 사서들의 AI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제안을 바탕으로 AI 도서관 서비스 모델을 도출했다. 경영 관리 직무 분야에는 AI 기반의 대화형 업무 자동화 설루션 경영 관리, 지능형 예산 점검 및 관리 시스템을 통한 재무 관리, 제어 기술 로봇의 시설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06_“AI와 공공 도서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