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10094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25-10-20
책 소개
목차
교육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AI의 등장
01 질문 중심 학습의 새로운 생태계
02 AI 도구의 교육적 활용
03 AI 파트너십의 핵심 원칙
04 AI 시대 교사의 역할 재정립
05 AI 파트너십 시대의 교사 전문성
06 AI가 바꾼 교실
07 AI와 글쓰기 수업, 그리고 평가
08 AI 교육 활용의 한계와 위험
09 영역별 AI 활용의 구체적 한계와 접근 원칙
10 AI 시대의 과학 교육의 미래
책속에서
현대 과학 교육에서 생성형 AI는 바로 이러한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더욱 풍부하고 체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AI는 단순히 정답을 제공하는 정보 검색 도구가 아니라, 학생과 함께 질문을 탐구하고 새로운 질문을 생성하며, 사고 과정 자체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지적 동반자로 기능한다. 결국 AI는 학생 주도적 탐구 학습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확장하고, 모든 학생이 자신만의 과학적 호기심을 충분히 펼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 수 있다.
-01_“질문 중심 학습의 새로운 생태계” 중에서
AI와의 파트너십에서 교사의 역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중요하고 전문적으로 변화한다. 바로 지식 전달자에서 탐구 촉진자로의 이동이다. 전통적으로 교사는 과학 지식을 보유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지만, AI 시대에는 이러한 정보 전달 기능이 상당 부분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교사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고차원적이고 전문적인 역할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03_“AI 파트너십의 핵심 원칙” 중에서
더 흥미로운 것은 학생들이 AI와의 대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메타 인지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한 중학생이 클로드에게 “세포 분열에 관해 설명해 줘”라고 질문하고, AI 답변을 듣고 “잠깐, 내가 궁금한 건 그게 아니야. 세포 분열이 왜 일어나는지가 궁금해”라고 다시 질문을 수정할 수 있다면, 이는 학생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메타 인지 능력을 기르고 있는 것이다. 교사는 이런 과정을 유도하기 위해 “AI 답변을 들어 보고 정말 궁금했던 게 해결됐는지 확인해 보자”라고 안내할 수 있다.
-06_“AI가 바꾼 교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