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11787
· 쪽수 : 151쪽
· 출판일 : 2025-11-07
책 소개
오늘날 직원은 단순한 ‘노동 제공자’가 아니라 ‘직장 내 소비자’로 변화하고 있다. 구성원은 급여나 제도보다 조직이 제공하는 경험과 가치, 즉 자신이 존중받고 성장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회사를 평가한다. 내부 기준이 아닌 외부의 경험 감각과 비교 잣대가 조직 안으로 유입되면서, 제도보다 ‘어떻게 느껴지는가’가 더 중요해졌다. 특히 MZ세대는 불합리함에 침묵하지 않으며, 공감과 소통이 부재하면 조용히 이직을 택한다.
이에 따라 조직은 ‘왜 이곳이어야 하는가’를 설득해야 하며, 그 해답이 직원 경험(Employee Experience) 이다. 이는 단순한 만족이 아닌, 구성원이 자율성과 의미를 느끼며 몰입하도록 돕는 감정적·인지적 총합이다. 경험의 핵심은 사건이 아니라 그 순간의 감정과 해석, 즉 개인이 느낀 의미다. 대니얼 카너먼의 ‘피크-엔드 룰’처럼, 구성원은 하루 전체가 아니라 가장 강렬한 순간과 마지막 기억으로 회사를 평가한다. 따라서 HR은 시간의 누적이 아닌 ‘결정적 순간(Moment of Impact)’을 설계해야 한다. 온보딩의 첫인사, 평가의 피드백, 퇴사 인터뷰의 한마디가 조직의 진심을 드러내는 무대가 된다.
직원 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는 물리적·기술적·문화적 환경이며, 특히 문화적 감수성이 경험의 질을 좌우한다. 의미 있는 일, 성장 기회, 신뢰할 수 있는 리더십이 경험의 근간을 이루며, 긍정적 경험은 몰입·성과·혁신으로 이어진다. HR은 제도 설계자가 아닌 ‘경험 디자이너’로서 구성원의 감정 곡선을 읽고, 자율성·공정성·소속감 같은 핵심 심리 요인(KEF) 을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
이제 AI는 직원 경험의 전 과정에 개입하고 있다. 채용에서는 적합도 분석과 편견 제거, 온보딩에서는 맞춤형 정보 제공, 협업에서는 마찰 최소화, 학습에서는 개인화된 성장 경로 제시, 평가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공정성 확보, 복지에서는 실시간 정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AI는 이직 징후를 예측하고, 리더에게 개입 전략을 제안하며, 퇴사 이후에도 조직의 브랜드 경험을 관리한다.
그러나 기술의 도입이 곧 좋은 경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AI가 사람을 더 깊이 이해하게 만드는가이다. AI는 감정이 없지만 인간의 감정을 다루는 기술이며, 효율보다 인간다움을 중심에 둔 설계가 필요하다. 직원 경험은 일의 총합이 아니라 기억에 남는 순간들의 집합이다. 그 순간은 누군가의 공감에서 시작된다.
목차
새로운 감각의 시작, 직원 경험과 AI
01 첫 만남, 채용과 온보딩
02 일의 흐름, 지원과 성장
03 함께 일함, 리더십과 관계
04 공정한 인정, 성과와 보상
05 기여하고 싶은 마음, 참여와 몰입
06 돌봄의 기술, 건강과 복지
07 흔들림의 신호, 이탈과 리텐션
08 좋은 이별, 오프보딩의 설계
09 신뢰의 조건, AI 윤리와 수용
10 미래의 조직, 경험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AI 기반 온보딩 도우미는 신규 입사자에게 맞춤형 일정, 조직 정보, 실시간 Q&A 서비스를 제공하며, 적응 초기에 구성원이 겪는 정보 탐색의 어려움을 해소한다. 디지털 멘토링 알고리즘을 활용해 유사 직무와 배경을 가진 선임 직원을 자동 매칭해 정서적 유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입사 30일, 60일, 90일 시점마다 AI 설문 기반 피드백 시스템을 통해 신입 직원의 몰입도, 고충, 기대 충족도 등을 정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 신호가 포착되면 관리자에게 자동 알림을 전달하는 체계도 구축 가능하다. 이 방식은 조기 이탈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된다.
-01_“첫 만남, 채용과 온보딩” 중에서
AI 기반 업무 환경에서도 여전히 ‘심리적 안전’, ‘신뢰’, ‘감정 공유’는 팀 몰입의 주요 요인이다(Fecho, 2025). 자동화는 예측 가능성과 효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관계의 빈 공간을 만들어 낸다. 그 공간을 메우지 않으면, 구성원은 번아웃과 정서적 고립에 빠지게 된다. 특히 피드백과 인정, 일상적인 존중은 구성원이 조직에 소속감을 느끼고 스스로를 ‘의미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만드는 핵심 접점이다. 구성원은 일을 통해 피로해지는 것이 아니라, 의미 없이 반복되는 일과, 관계 없는 조직 속에서 감정적으로 고립될 때 에너지를 잃는다.
-03_“함께 일함, 리더십과 관계” 중에서
직원의 이탈은 단순한 인력 손실이 아니다. 조직의 정체성과 성과, 미래의 지속 가능성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는 구조적 리스크다. 지금 조직은 ‘머물고 싶은 이유’를 만들어야 하는 시대에 들어섰다. HR 데이터와 AI가 결합되면, 이직의 ‘결과’가 아닌 ‘징후’를 미리 포착할 수 있다. 데이터는 행동을 예측하고, 예측은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
-07_“흔들림의 신호, 이탈과 리텐션”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