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5516878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9-02-27
목차
머리글
제1장 한국인의 말하기
1. 핵심능력으로서의 말하기
1) 말하기 및 발표의 중요성
2) ‘발표 불안증’의 원인과 극복방안
3) 발표주제 선정과 서두제시 방법
(1) 주제와 관련된 최근 화제 거리, 일화 들려주기
(2) 개인체험 들려주기
(3) 시청각자료 기법
(4) 정의 내리기
(5) 질문하기
4) 발표 준비글 작성의 실제
제2장 한국인의 대화 현장
1. 한국인의 대화에 나타난 특성
1) ‘뒷담화’
2) ‘언저리’ 화법
3) 습관에 대한 몰이해
4) 감정적 언어사용
5) 권위의식
6) 주입에 대한 집착
제3장 화법
1. 나 말하기(I message)
2. 샌드위치 화법(sandwich speech)
3.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
4. 관계적인 사고를 통한 친교의 장 만들기
제4장 말하기의 영역
1. 화자
1) 화자에 대한 요구
(1) 말의 위력은 삶에서 생겨난다
(2) 말로 표현하지 못할 생각은 가치가 없다
(3) ‘비언어적 대화’(non_verval communication) 사용의 중요성
(4) 자기만의 개성적인 생각을 전할 것
(5) 침묵의 적절한 사용
(6) 철저한 사전 준비
2. 청자
1) 청자에 대한 요구
(1) 우호적인 경청 자세
(2) 적극적인 대답과 질문
(3) 앞자리 채워서 앉기
(4)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
제5장 화제
1. 설명적 말하기
1) 자기소개하기
2) 소개 및 안내하기
(1) 책, 일화, 교훈내용 등 소개하기
(2) 여행지 안내
3) 강의하기
4) 보고하기
2. 논증적 말하기
1) 토론하기
(1) 가치토론
(2) 정책(시사)토론
2) 연설하기
3) 설교하기
4) 인터뷰하기
[별첨] 토론과 논리적 글쓰기 교육의 연계
제6장 속담 및 격언에 나타난 말의 지혜
1. 속담의 의미와 기능
2. 주제별 속담 읽기
(1) 언어관
(2) 생사관
(3) 재물관
(4) 체면관
(5) 인간관
(6) 출세관
(7) 가족관
3.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말 문화
4. 성경에 나타난 말하기
5. 말과 관련된 동서양의 격언
6.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