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결혼/가족 > 가족관계
· ISBN : 9791155284704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15-08-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이 책을 쓰게 된 계기는
자기소개하기 이런 책을 쓸 수 있는 자격은 어디서
A 재혼을 보는 여러 가지 생각
1. 이 글을 쓰지 않았으면
2. 재혼은 미완의 제도라는 사실을 아는지?
3. 새엄마가, 남편이, 전처자녀가 경험한 건 아무도 모르는!
4. 우리 사회에 이혼·재혼을 한 가족 수는 얼마나 될까?
5. 결혼초기의 재혼가족
6. 편견과 선입관에 사로잡힌 사회
7.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는 부부
8. 새엄마들이 착각하는 건
9. 친자식이란?
10. 새엄마의 전처자녀 트라우마에 시달리지 않으려면
11. 그냥 오는 봄이 있으랴
12. 재혼 가정에 대해 잘 모른다는 건
13. 인간의 본성에 대한 확신이 있는가?
14. 다 키워 놓으면 결국은 친엄마를 찾아간다?
15. 교육을 받아야 행복해진다는 걸
B 전혼자녀에 대해
1. 새엄마에게 전처자녀는 어떤 관계인가?
(전처자녀가 새엄마를 거부하고 미워하는 이유)
2. 새엄마와 함께 살아가는 자녀의 마음은?
3. 전혼자녀의 외로움과 불만은 누가 해소해 줄 수 있는가?
4. 헤어진 친엄마를 만나려는 전처자녀를 어찌할까?
5. 전처자녀에게 떠나 있는 친엄마가 뭘 사주었다면?
6. 외로워하고 힘들어하는 아이를 위로할 방법은?
C 새엄마에 대해
1. 재혼가정에서 새엄마의 역할은?
2. 새엄마는 피해의식에 사로잡히기 쉽다
(정체성, 자존감 또는 열등감의 문제)
3. 지금 부인이 힘들어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4. 엄마로서의 권위를 항상 세워줄 수가 있나?
5. 부모의 역할, 또는 해야 할 일
6. 새사람에 대한 기대
7. 남편에 대한 새사람의 기대
8. 새엄마의 잦은 비교와 피해의식
D 재혼한 부부문제
1. 아버지가 전처자식에게 해야 할 일
2. 옛날의 일을 끄집어내어 티격태격한 적은 없었나?
3. 배우자와 대화에서 원만했는가?
4. 전혼의 배우자를 만나는 문제
5. 우리네 삶의 진짜 행복은 무엇일까?
6. 직계 혈연이 아닌 가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7. 재혼의 결혼식은 치를까? 아니면 말까?
E 재혼가정에 대해
1. 재혼하면서 산다는 일이 그리도 어려울까?
2. 재혼하면 그때부터가 행복 시작일까?
3. 이혼 후 재혼까지의 기간이 얼마나 됐나?
4. 재혼생활의 어려움은 누가 만드는가?
5. 세월이 가면 재혼생활도 나아질 수 있을까?
6. 왜 재혼가정은 살아내기가 힘들까?
7. 재혼생활의 갈등이나 마찰을 비정상적으로 생각하나?
8. 재혼을 보는 TV작가들의 태도는?
9. 재혼가족에서 자주 일어나는 문제는?
10. 가족통합에 대해 생각해 보았나?
11. 나이가 든다는 건 자리를 잡는다는 말과 같다
12. 가족이라는 울타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13. 부인과 남편은 각각의 성장과정이나 사고방법이 다르다
14. 단란한 가정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15. 전에 쓰던 가재도구나 그릇, 가구 등은 어찌할까?
16. 사람은 왜 살까?
17. 사랑의 한계를 아십니까?
18. 우리 인간의 한계를 아십니까?
19. 우리네 삶은 견디는 겁니다!
20. 인생무상
21. 만일 당신이 이혼을 하지 않고
과거의 배우자와 그대로 살았다면 행복했을까?
22. 재혼가족들은 반드시 재혼가정교육을 받아야 한다.
23. 당신은 무슨 낙으로 살아가는가?
24. 행복이란 무엇인가?
25. 어떻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이 될 수가 있을까?
26. 우리는 왜 결혼하는가?
27. 말이 막 하고 싶어질 때 어떻게 합니까?
28. 부부싸움을 멋있게 하는 법
29. 우리네 삶에서 부부간의 성행위는 축복인가? 저주인가?
30. 재혼가정에서의 사고방식은?
F 재혼가정의 경제문제에 대해
1. 재산 분배를 요구한다면?
2. 재혼한 부인이 재산을 떼 내어달라는데
글을 마치며
책을 출판한 후의 계획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