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3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

2023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

한국은행 (지은이)
한국은행
10,4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400원 -0% 2,500원
310원
12,590원 >
10,400원 -0% 2,500원
카드할인 10%
1,040원
11,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3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3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55386484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3-12-20

목차

Part Ⅰ 실물, 고용 및 기업경영 지표

01. 국민소득통계
1.1. 국내총생산(GDP) 14
1.1.1. 국내총생산(GDP)의 개념 15
1.1.2. 국내총생산(GDP)의 측정 방법 15
1.1.3. 국내총생산(GDP)의 측정 한계 16
참고 1-1. 국민계정 내 삶의 질 정보 반영 관련 논의 19
1.2. 명목GDP와 실질GDP 20
1.2.1. 명목GDP와 실질GDP의 개념 20
1.2.2. 명목GDP와 실질GDP의 차이 20
1.2.3. 실질GDP 추계 방법 21
1.3.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23
1.3.1. 생산GDP, 분배GDP, 지출GDP 23
1.3.2. 우리나라 GDP로 본 국민소득 3면 등가의 원칙 24
1.4. 국민소득 주요 지표 26
1.4.1. 국민총소득(GNI) 27
1.4.2. 국민순소득(NNI) 29
1.4.3. 국민소득(NI) 30
1.4.4. 국민처분가능소득(NDI) 31
1.4.5. 가계처분가능소득(PDI) 31
1.5. 국민소득통계의 다양한 경제분석지표 34
1.5.1. 경제성장률 34
1.5.2. 1인당 GNI 37
1.5.3. 1인당 PGDI 39
1.5.4. 경제구조 40
1.5.5. 저축률과 투자율 41
1.5.6. 수출입의 대GNI 비율 43
1.5.7. 피용자보수비율 44
1.5.8. GDP디플레이터 44
1.5.9. 잠재GDP 45
참고 1-2. 국민계정체계와 5대 국민경제통계 46
[더 알아가기] 가계분배계정의 개념 및 최근의 논의 50
[더 알아가기] 국민계정 국제 기준(SNA) 개정 논의 현황 51
[더 알아가기] 경제성장률의 유형 52
[더 알아가기]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소득의 변화 54

02. 산업연관표
2.1. 산업연관표 58
2.1.1. 산업연관표의 개념 58
2.1.2. 산업연관표의 구성 59
2.2. 공급사용표 63
2.2.1. 공급과 수요 구조 63
2.2.2. 산업구조 64
2.2.3. 투입구조 64
2.2.4. 수요구조 65
2.2.5. 수입구조 66
2.3. 투입산출표 68
2.3.1. 투입계수 69
2.3.2. 생산유발계수 70
참고 2-1. 생산유발계수 도출 73
2.3.3. 영향력계수 및 감응도계수 76
2.4. 투입산출표의 응용 77
2.4.1. 불변가격 투입산출표 77
2.4.2. 지역산업연관표 77
2.4.3. 세계산업연관표 80
2.5. 투입산출모형의 활용 82
참고 2-2.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 측정 83
[더 알아가기] 4차 산업혁명 시대 투입산출표의 최신 활용 사례 84

03. 국민대차대조표
3.1. 국민대차대조표 92
3.1.1. 국민대차대조표의 개념 및 작성의의 92
3.1.2. 국민대차대조표의 구성 93
3.1.3. 국민대차대조표의 형태 94
3.2. 국민대차대조표 작성 방법 96
3.2.1. 생산자산의 작성 96
3.2.2. 비생산자산의 작성 98
3.3. 국민대차대조표의 활용 101
3.3.1. 국부(國富)의 파악 101
3.3.2. 생산성 분석 및 잠재GDP 추정 102
[더 알아가기] 영구재고법 (Perpetual Inventory Method) 104
[더 알아가기] 국민대차대조표를 통한 가계 자산 분석 107

04. 경기판단지표
4.1. 경기 112
4.1.1. 경기순환의 개념 113
4.1.2. 경기순환과정 113
4.1.3. 경기순환주기 114
4.1.4.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116
4.2. 경제심리지수 117
4.2.1. 기업경기실사지수 117
4.2.2. 소비자동향지수 120
4.2.3. 소비자심리지수 123
4.2.4. 경제심리지수 124
4.2.5. 뉴스심리지수 126
4.2.6. 주요국의 심리지표 129
4.3. 경기동향 분석을 위한 경제지표 133
4.3.1. 개별 경제지표 133
4.3.2. 경기종합지수 135
4.3.3.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 136
[더 알아가기] 경기동향조사 결과의 활용 140
[더 알아가기] 감성분류기의 특성 및 구조 143

05. 고용·임금통계
5.1. 고용 148
5.1.1. 경제활동인구조사 148
5.1.2. 고용보조지표 154
5.1.3. 경제활동인구조사 외 주요 고용통계 156
5.1.4. 우리나라의 고용 관련 통계 현황 158
5.2. 임금 159
5.2.1. 단위노동비용 159
5.2.2. 임금의 결정 160
5.2.3. 주요 임금통계 161
[더 알아가기]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164

06. 기업경영분석지표
6.1. 기업경영분석 170
6.1.1. 기업경영분석의 개념 170
6.1.2.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지표 171
6.1.3. 국내외 기업경영분석지표 171
6.2. 재무제표 174
6.2.1. 재무상태표 174
6.2.2. 손익계산서 175
6.2.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176
6.2.4. 현금흐름표 178
6.2.5. 제조원가명세서 180
참고 6-1. 기업경영분석의 한계 181
6.3. 경영분석지표 182
6.3.1. 안정성지표 182
6.3.2. 수익성지표 185
참고 6-2. 재무레버리지 효과 (financial leverage effect) 188
6.3.3. 성장성지표 189
6.3.4. 현금흐름지표 190
[더 알아가기] 기업경영분석 분위수 통계의 이해 193

Part Ⅱ 금융, 물가 및 재정 지표

07. 자금순환표
7.1. 자금순환표의 개념 200
7.2. 자금순환표의 구성 202
7.2.1. 금융거래표 202
7.2.2. 금융자산부채잔액표 203
7.2.3. 거래외증감표 204
7.3. 자금순환표를 보는 법 205
참고 7-1. 금융거래표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부호 의미 208
7.4. 자금순환표의 활용 209
참고 7-2. 상세채권통계의 내용 및 의의 211
[더 알아가기] 상세자금순환표의 이해 212

08. 통화지표
8.1. 통화의 개념 218
8.1.1. 화폐의 기능 218
8.1.2. 통화의 개념 219
8.2. 통화지표의 포괄범위 220
8.2.1. 통화지표 220
8.2.2. 유동성지표 221
8.3. 통화지표의 결정요소 223
8.3.1. 금융상품의 종류 223
8.3.2. 통화 발행주체 224
8.3.3. 통화 보유주체 225
8.4. 통화지표의 작성 226
8.4.1. 통화지표 작성 과정 226
8.4.2. 통화지표 작성 방법 227
8.5. 통화지표의 활용 229
8.5.1. 통화의 공급 경로 파악 229
참고 8-1. 통화량 공급에 대한 두 가지 견해 : 외생성 對 내생성 231
8.5.2. 통화변동 추세 232
[더 알아가기]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234

09. 금리지표
9.1. 금리의 개념 238
9.1.1. 금리의 정의 238
9.1.2. 금리의 결정 요인 238
9.2. 금리가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240
9.3. 정책수단으로서의 금리 활용 241
9.3.1. 한국은행 정책금리 목표 수준 결정 241
9.3.2. 시장금리 변동 유도 243
9.3.3. 통화정책 파급의 금리경로 244
9.4. 금융시장별 금리지표 245
9.4.1. 직접금융시장 245
9.4.2. 간접금융시장 249
참고 9-1. 코픽스(COFIX)의 개념 및 종류 251
참고 9-2. 금리자유화의 단계별 추진 내용 255
[더 알아가기] 예금은행 대출 가산금리 산정체계 256

10. 물가지수
10.1. 물가 262
10.1.1. 물가지수의 개념 262
10.1.2. 물가변동의 요인 263
10.2. 대표적인 물가지수 266
10.2.1. 소비자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266
10.2.2. 생산자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 268
10.2.3. 수출입물가지수 (XMPI: eXport and iMport Price Indexes) 271
10.3. 물가지수의 작성 방법 274
10.3.1. 규격지수 산출 275
10.3.2. 품목지수 산출 276
10.3.3. 총지수 산출 277
10.3.4. 품질조정 280
참고 10-1. 품질조정의 의의와 방법 282
10.4. 물가지수의 활용 283
10.4.1. 화폐가치 비교 283
10.4.2. 명목금액의 실질화 283
10.4.3. 경기판단의 지표 284
10.5. 체감물가와 지표물가 285
[더 알아가기] 물가지수 산식 287

11. 증권시장지표
11.1. 주가지수 292
11.1.1. 주가지수의 산출 방식 292
11.1.2. 우리나라의 대표 주가지수 293
11.2. 시가총액 295
11.3. 주식거래량 및 거래회전율 296
11.3.1. 주식거래량 296
11.3.2. 거래회전율 296
11.4. 주가수익 및 주가순자산 비율 298
11.5. 채권수익률 299
11.6. 채권거래량 및 거래회전율 300
11.7. 신용스프레드 302
11.8. 듀레이션 304
[더 알아가기] 글로벌 벤치마크 지수 305

12. 재정통계
12.1. 재정활동 312
12.1.1. 세입 312
12.1.2. 세출 314
참고 12-1.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 315
12.2. 재정통계 316
12.2.1. 재정통계의 작성 기준 316
12.2.2. 통합재정수지 317
12.3. 재정수지의 균형 318
참고 12-2. 구조적 재정수지 320
12.4. 우리나라의 정부부채 321
12.5. 공공부문계정 324
[더 알아가기] 국민계정체계에서의 일반정부와 공공부문의 개념 326

Part Ⅲ 대외거래지표

13. 국제수지표
13.1. 국제수지표 334
13.1.1. 국제수지표의 개념 334
13.1.2. 국제수지표 작성 원칙 335
13.2. 국제수지표의 구성 338
13.2.1. 경상수지 338
13.2.2. 자본수지 339
13.2.3. 금융계정 340
참고 13-1. 국제수지표 작성 실례 342
참고 13-2. 국제수지표의 상품수지와 통관 기준 무역수지 345
13.3. 우리나라 국제수지 구조 및 주요 특징 348
[더 알아가기] 해외생산의 국제수지 계상 349
[더 알아가기] 국제수지 발전단계 352

14. 국제투자대조표
14.1. 국제투자대조표 358
14.1.1. 국제투자대조표의 정의 358
14.1.2. 국제투자대조표의 분류체계 359
14.1.3. 우리나라의 국제투자대조표 360
참고 14-1.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부채 추이 362
14.2. 국제투자대조표 작성 방법 364
14.3. 국제투자대조표와 국민계정통계와의 관계 368
14.4. 주요국의 국제투자대조표 370
참고 14-2. 글로벌 대외금융 자산 및 부채 현황 370
14.5. 대외채권 및 대외채무 373
[더 알아가기] 대외채무 통계의 활용 375

15.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지수
15.1. 무역지수 380
15.1.1. 무역지수의 종류 380
15.1.2. 무역지수 작성사례 381
15.2. 교역조건지수 383
15.2.1. 순상품교역조건지수 384
15.2.2. 소득교역조건지수 385
[더 알아가기] 우리나라의 교역조건 변화 387

16. 환율
16.1. 환율 392
16.1.1. 환율의 정의 392
16.1.2. 환율의 표시방법 392
16.1.3. 환율의 종류 392
참고 16-1. 실질환율과 실효환율 396
16.1.4. 환율제도 397
참고 16-2. IMF의 국가별 환율제도 분류 399
16.2. 환율의 변동요인 401
16.2.1.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 401
16.2.2. 단기 변동요인 402
16.2.3. 중장기 변동요인 402
16.3. 환율변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404
[더 알아가기] 우리나라의 환율 변동성 405

Part Ⅳ 해외 주요경제지표

17. 해외 주요경제지표
17.1. 국제원자재가격 411
17.1.1. 주요 국제원자재 가격지수 411
17.1.2. 품목별 원자재 가격지수 414
17.2. 단기시장금리 416
17.2.1. SOFR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 416
17.2.2. 연방기금금리 (FFR: Federal Funds Rate) 417
17.3. 세계 주가지수 418
17.3.1. MSCI지수 418
17.3.2. FTSE지수 418
17.3.3. 주요국 주가지수 418
17.4. 변동성지수 420
17.5. 리스크 프리미엄 421
17.6. 통화의 가치 423
17.6.1. 미국 달러화지수 423
17.6.2. 실효환율 424
17.7. 주택통계 426
참고 17-1. 해외 주요경제지표 검색에 유용한 사이트 430
[더 알아가기] 실효환율의 계산 432

Part Ⅴ 부록

1. 주요 용어 해설
2. 통계의 기초지식
3. 경제통계시스템(ECOS) 이용방법
4. 금융·경제 스냅샷 소개
5. 국내외 주요 통계 작성기관 및 공표자료
6. 참고문헌·색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