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55421628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4-09-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아이들이 이상하다?
Chapter 1:후세에 미치는 영향
Chapter 2:자녀의 IQ까지 영향을 미친다?
Chapter 3:전자 제품 속 유해 화학 물질
Chapter 4:어린이들이 직면한 위험, 커지는 우려
Chapter 5:이변이 속출하다
Chapter 6:어린이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Chapter 7:WHO의 지적
02 유해 화학 물질 오염의 현재
Chapter 1:유해 화학 물질이란 무엇인가?
Chapter 2:까만 아기 사건
Chapter 3:490만의 생명을 앗아가다
Chapter 4:경제적 손실은 얼마?
Chapter 5:개도국도 안전하지 않다
Chapter 6:북극권은 유기염소화합물의 집합소
Chapter 7:야생생물의 몸 속에도 화학 물질이 있다
Chapter 8:심해도 오염에서 자유롭지 않다
Chapter 9:온난화의 영향
Chapter 10:쓰레기와 유해 화학 물질
Chapter 11:방치되는 폐농약, 폐화학 물질
Chapter 12:자금난으로 대책이 중단되다
Chapter 13:일본에도 폐농약이 있다
Chapter 14:바다로 흘러가는 플라스틱 쓰레기
Chapter 15:오염의 부메랑
Chapter 16:혈액 속 화학 물질은 얼마나 될까?
Chapter 17:난연제로 오염된 인체
Chapter 18:세계 공통적인 현상?
Chapter 19:모두의 문제로 떠오르다
03 POPs 협약의 탄생
Chapter 1:국제적 대응이 시작되다
Chapter 2:12종 POPs
Chapter 3:드린계 농약
Chapter 4:흰개미 대책
Chapter 5:알려지지 않은 발생원
Chapter 6:쓰지도 않은 살충제에 오염되다?
Chapter 7:예방 원칙의 중요성
Chapter 8:역사는 되풀이된다
Chapter 9:농약을 몸에 뿌려대다
Chapter 10:개도국의 피해
Chapter 11:브롬과 불소
Chapter 12:의도치 않은 생성물
04 주의해야 할 화학 물질
Chapter 1:DDT와 《침묵의 봄》
Chapter 2:유기염소계 화학 물질의 대표주자, PCB
Chapter 3:가장 강력한 독극물, 다이옥신
Chapter 4:해양 오염 주범인 유기주석화합물
Chapter 5:프라이팬에 존재하는 불소화합물
Chapter 6:난연제에 사용되는 브롬화합물
Chapter 7:생활 속 화학 물질
05 환경 호르몬은 환상인가?
Chapter 1:우려가 커지다
Chapter 2:도둑맞은 미래
Chapter 3:다양한 원인 물질
Chapter 4:환경 호르몬 ‘소동’?
Chapter 5:관심이 급속도로 식다
Chapter 6:식품 용기에 잔류하는 비스페놀 A
Chapter 7:대응이 진전을 보이다
Chapter 8:연구가 진전을 보이다
Chapter 9:우려가 커지다
Chapter 10:‘소동’이 남긴 것
Chapter 11:세계가 움직이기 시작하다
Chapter 12:‘예방 원칙’에 의거한 자세가 필요하다
06 새로운 대응이 시작되다
Chapter 1:사전 통보 승인, PIC
Chapter 2:정보 공개 시스템
Chapter 3:데이터 공표만으로 효과를 보다
Chapter 4:유해성 여부도 모르고 사용하다
Chapter 5:새로운 제도
Chapter 6:반발을 뛰어넘다
Chapter 7:기업의 대처는 어떠한가?
Chapter 8:어린이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Chapter 9:외국에서는 벌써 시작했다
07 어린이들에게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자
Chapter 1:점점 복잡해지는 문제
Chapter 2:행동하지 않았을 때의 비용
Chapter 3:형평성을 추구하다
Chapter 4:대량소비, 대량폐기 문화를 바꾸자
에필로그: 다나베 신스케 교수 인터뷰
저자 후기
책속에서
세계적인 환경보호단체인 세계자연보호기금(WWF)은 가정의 유해 물질에 관한 보고서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아기나 작은 어린이는 어른보다 체중별 흡수량, 수분섭취량, 식사량이 크고 화학 물질에 대한 감수성도 높으며 해독 기능 등도 덜 발달되어 화학 물질의 영향을 받기 쉽다. 성인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는 환경일지라도 유아나 어린이에게는 해로울 수 있다. 또한 어린이는 바닥 근처의 공기를 들이마시는 일이 많고 주위에 있는 것을 무엇이든 입 안에 집어넣거나 빨 때가 있다. 그러므로 같은 집에 살아도 화학 물질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우려가 있다.”
-01 아이들이 이상하다? 中-
연구팀은 화학 물질로 인해 1년 동안 사망하는 사람을 490만명으로 보고, 여기에 중증 질환이나 장애 등을 포함하면 8,600만 DALYs가 나온다는 추산을 내놓았다. 세계 전체로 나누면 1년에 각각 8.3%, 5.7%가 된다. 이 수치는 세계에서 암에 대한 DALYs보다 높으므로, 얼마나 규모가 큰지를 짐작할 수 있다. 게다가 전체의 54%는 15세 이하의 어린이였다.
-02 유해 화학 물질 오염의 현재 中-
지금까지 각국의 대응에 맡겨 온 유해 화학 물질 대책을 국제공조를 통해 추진하는 체계가 최초로 성립된 것이다. 그 배경으로는 유해 화학 물질 오염 문제가 국경을 초월한 세계적인 환경 문제로 발전했고, 개도국에도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각국의 대책에만 의지해서는 문제 해결을 기대할 수 없는 사태에 이르렀다는 국제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03 POPs 협약의 탄생中-
내분비 교란 물질과의 관련성이 의심되는 이상으로는 전립선암과 유방암 등 호르몬이 관여하는 암 종류, 불임증 및 남성의 정자 수 감소 또는 활동성 저하, 자궁내막증, 요도하열 등 생식기 이상이 있다. 이에 더해 행동장애, 학습장애, 주의산만 등 자녀에게서 발견되는 신경장애가 많았다. 모두 최근 들어 각국에서 증가하는 증상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05 환경 호르몬은 환상인가?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