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슌사오 (지은이), 김경호 (옮긴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700원 -5% 0원
1,300원
23,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대 경학의 발전과 사회 변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5501023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5-05-20

책 소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 꾸준히 펴내고 있는 동아시아자료총서의 열두 번째 책으로서, 동아시아 고대 역사 · 문화 분야에서 출토자료들을 통한 실증적인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 김경호 교수가 상세하고 친절한 역주와 함께 풍부한 번역을 꾀했다.

목차

· 한국어판 서문
· 일러두기

1장
신질서와 구제도 ― 한대 경학 발전의 역사적 배경

제1절 한대 경학에서 학술 발전의 내순(內純: 이론심화)과 치치(致治: 외적확산)를 보다
제2절 종법제(宗法制)와 편호제(編戶制)
제3절 벽돌형[土?型:봉건제] 정치체제에서 뼈대형[?架型: 군현제] 정치체제로의 변환
제4절 ‘한나라는 진나라의 제도를 답습하였다[漢因秦制]’라는 설에 대한 변정(辨正)
제5절 진(秦)나라의 제도와 한(漢)나라의 정치

2장
전통적 문화와 문화적 전통 ― 한대 경학의 문화적 연원

제1절 경서(經書)
제2절 유학을 벗어난 경학
제3절 자연질서와 사회질서: 경학과 도학(道學)
제4절 사회학설과 국가학설: 경학과 법가(法家)
제5절 공유제 사상과 하늘의 인격화: 경학과 묵학(墨學)
제6절 원시적인 미신과 과학: 경학과 미신 · 음양오행

3장
경학의 전승과 경서의 해석

제1절 사법(師法) · 가법(家法)과 경서 해석의 방법
제2절 <시(詩)>학
제3절 <상서(尙書)>학
제4절 <예(禮)>학
제5절 <역(易)>학
제6절 <춘추(春秋)>학
제7절 <논어(論語)>학과 <효경(孝經)>학

4장
통경치용(通經致用) 하의 한대 사회

제1절 금고문 경학(今古文經學)과 한대의 학술 · 정치와의 관계
제2절 상서(祥瑞)와 재이(災異): 경학이 군권을 제한하는 방법
제3절 한나라는 효(孝)로 천하를 다스렸다: 효를 핵심으로 한 사회질서의 형성
제4절 경학과 한대 행정제도

· 후기
· 옮긴이의 글
· 찾아보기

저자소개

슌사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명은 슌디아오이다.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생원을 졸업하고, 현재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문화사연구실 주임(박사과정생 지도교수)이자 연구원이며, 창신공정創新工程 연구 책임자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고대사(진 · 한사 및 경학)이며, 주요 저작으로는 <중국혼인소사中國婚姻小史>(1987), <심재문학집心.問學集>(1992), <양한사회여경학兩漢社會與經學>(2002), <양한일경정리여연구兩漢逸經整理與.究>(2007)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경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고대 출토자료를 이용한 진한시기 역사와 문화 등이며, 최근 고대 동아시아사 전반으로 그 관심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지하地下의 논어, 지상紙上의 논어>(2012), 「진한 초 출토자료에 반영된 ‘사’, ‘리’의 성격」(2012)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학술 발전은 본래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 있다. 학설의 발생과 발전은 모두 “이론심화[內純]와 외적확산[致治]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이론심화는 한 학설 혹은 학파가 발전 과정 중에 반드시 끊임없이 자신에게 순수해야 하며, 끊임없이 이론적 핵심의 합리성(合理性)을 찾아야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한 학설 혹은 학파가 인지의 측면에서 이론이 심화되는 것은 학설 혹은 학파 발전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외적확산은 한 학설 혹은 학파가 발전 과정 중에 반드시 끊임없이 자신을 개발하고, 끊임없이 기능의 실용성을 찾는 것을 가리킨다. 한 학설 혹은 학파가 표현적인 면에서 기능을 개척하는 것은 그 발전의 외부적인 특징이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내순과 치치는 학술 유파가 발전 과정 중에 있을 때 반드시 이론핵심의 순수와 심화를 보장하고, 아울러 시의적절하게 이론의 실용기능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문 13쪽, ‘신질서와 구제도’ 중에서


· 한대漢代 사회는 분명하게 이중적 특징을 띠는 사회였다. 사회의 이중성은 정치체제의 이중성을 가져왔다. 새로운 질서와 옛 제도의 혼합은 지연관계와 혈연관계의 융합이었으며, 또한 중앙전제와 향촌자치의 결합은 이 모든 요소들을 사회의식과 경학經學 속에 반영시켰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본서에서는 ‘종법제宗法制’와 ‘편호제編戶制’로써 혈연관계에서 지연관계로의 변화를 묘술하였고, ‘벽돌형[土?型] 정치체제’(봉건제)와 ‘뼈대형[?架型] 정치체제’(군현제)로써 진·한의 정치체제 형식을 토론하였다. 한나라가 진나라 제도를 인습했다는 것을 정정해 진나라 제도와 한나라 정치의 설說을 제기했으며, 이를 빌려 한나라의 신질서와 구제도의 본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을 제대로 밝히면, 우리는 경학의 공公과 사私에 대한 논술상의 유예猶豫, 군본君本과 민본民本에 대한 해석상의 모순, 국가와 사회에 있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선택상의 고민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문 564~565쪽, ‘후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