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5502280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7-05-31
책 소개
목차
제1부 문자와 문헌, 지식 공간의 교류
한국에서 출토된 ‘량(椋)’자 목간(木簡)으로 본 동아시아 간독문화(簡牘文化)의 전파—다이웨이홍
1. 머리말 18
2. 한국 목간 속의 ‘량’ 19
3. ‘량(椋)’의 유래와 전파 28
4. 동아시아 간독문화의 전파 47
5. 맺음말 54
4~6세기 동아시아에서의 문헌의 유통과 확산—김경호
1. 서론 58
2. 문헌의 수요와 종이의 보급 61
3. 용서(傭書)와 판서(販書) 70
4. 문헌의 대외 유통과 공간적 확산 77
5. 맺음말을 대신하여 86
중화사상과 조선후기 사상사—하영휘
1. 머리말 90
2. 중화와 중화사상 93
3. 중화사상과 조선후기 사상사 107
4. 맺음말 114
학술적 우상과 중국-조선 간의 문화교류—린춘양
1. 머리말 118
2. 고염무의 영향과 회제(會祭) 119
3. 박규수의 학행 125
4. 박규수의 첫 번째 연행과 회제 참석 128
5. 박규수와 중국 문인들 간의 교류 137
6. 박규수의 두 번째 사행과 회제 참석 145
7. 맺음말 155
제2부 제도와 정치, 새로운 교류 공간의 형성
고려와 원의 정치적 통혼과 문화교류—우윈가오와
1. 머리말 162
2. 고려와 원의 정치적 통혼과 문화교류의 배경 163
3. 고려와 원의 정치적 통혼과 문화교류의 구체적 양상 167
4. 고려와 원의 정치적 혼인과 문화전파의 경로 177
5. 맺음말 189
책봉체제하에서의 ‘국역(國役)’—손병규
1. 머리말 192
2. ‘조공책봉체제’에 대한 문제인식 194
3. 18세기 동아시아 각국의 군비지출 비중 201
4. 동아시아 각국의 ‘국역’과 재정 시스템 209
5. 맺음말 216
19세기 후반 함경도 주민들의 연해주 이주와 트랜스내셔널한 공간의 형성—배항섭
1. 머리말 220
2. 이주민의 증가와 조선정부의 대응 222
3. 이주의 원인과 인정(仁政) 원망(願望) 239
4. 맺음말 253
제3부 열린 공간, 해양에서의 소통
산동반도 초기 해양문명과 춘추전국 시기 한중일 삼국의 해양 실크로드—왕전중
1. 머리말 262
2. 산동반도의 초기 해양문화 263
3. 해양 실크로드의 시작 272
4. 맺음말 277
13세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무역—고은미
1. 머리말 280
2. 연해제치사(沿海制置司)의 역할 282
3. 연해제치사와 고려·일본의 관계 285
4. 몽골과의 대립과 오잠의 정책 289
5. 맺음말 295
15세기 동아시아 해양체제 속에서 조선왕조의 이미지 형성—뤼중위
1. 머리말 298
2. 명조(明朝)에 사대(事大): 정통 이미지의 확립 300
3. 혼일강리(混一疆理): 조선의 ‘천하관(天下觀)’ 정립 302
4. 교린빙문(交隣聘問): 조공체제의 모방 310
5. 맺음말 314
주석 316
참고문헌 376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