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

하라 모토코 (지은이), 김경호, 박은영 (옮긴이)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5506080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3-11-24

책 소개

지구 전체의 환경사를 한데 정리해 나가는 데 있어 ‘중국사’는 가장 특색 있는 ‘사료 제공자’가 된다. 우리에게 비교적 잘 알려진 중국 고전의 배후에 어떤 이야기, 어떤 수수께끼가 숨어 있는지 ‘환경’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것을 어떻게 풀어낼지 생각해 보는 책이다.

목차

들어가며
이 책에서 언급하는 주요 사적 위치 약도

제1화 ‘상(象)’이라는 글자는 왜 생겼을까?
한자가 묘사하는 동물들 | 온난했던 화북 | 은왕의 수렵 기록 | 희생과 술

제2화 ‘7월’이 노래하는 월동 준비
『시경』 속의 “숫자풀이 노래” | 빈풍(豳風)이란 | 주거와 음식 | 의복

제3화 공자의 애제자 자로의 품위 없는 비밀
모피를 입은 사람과 입지 않은 사람 | 모피 코트를 만드는 전문 집단 | ‘말업(末業)’으로 불리다 | 금원(禁苑)의 야생동물 등급 | 『예기』 옥조편(玉藻篇)의 동물관 | 호학(狐狢)이란 무엇인가?

제4화 ‘그루터기를 지키는’ 속사정
왜 밭에 나무 그루터기가 | 송(宋)이라는 나라 | 춘추시대 초기의 경지 정비 | 토끼는 어디에서? | 동아시아 농업의 ‘어려움’ | ‘그루터기를 지키는’ 일의 출현 조건

제5화 사실은 무서운(?) ‘일촌일품(一村一品)’ 정책
고대의 거주 공간 | 제나라의 자연환경과 사회구성 | 『관자』가 말하는 제나라의 건국과 의복 | 경중지책 | 맹가의 제나라 체재와 관찰 | 『관자』 사상의 영향

제6화 합종연횡은 이문화(異文化) 동맹?
변설로 만든 천하의 형세 | ‘미혹의 말’의 내용 | ‘황장제주(黃腸題湊)’ | 한 제국 초기의 다양한 환경 | 교역된 물품 | 합종책의 실태

제7화 스파이 정국(鄭國)의 운명
‘통일’사업 완성의 경위 | ‘택로(澤鹵)’가 출현한 장소 | 고대의 ‘환경파괴’ | ‘택로’ 이용법의 역전 기법-벼농사 | 정국의 행운

제8화 사마상여(司馬相如)의 그녀는 감자 아가씨?
멋쟁이 선비의 과부 획득 작전 | 탁문군의 실상은? | 탁문군의 선조 | 탁씨의 계획 | 제철로 생계를 유지하는 조건 | 감자가 풍족한 지역에서 태어난 탁문군

제9화 ‘공공사업’은 예나 지금이나……
진흙은 분명히 비옥하지만…… | 밭농사 관개의 맹점 - 재생 알칼리화 | 대전법(代田法) - 재개발의 비책 | 백거(白渠)를 기록한 의의

제10화 ‘귀순’한 흉노(匈奴)의 벤처사업
고대 중국의 휴대 용기 | 『범승지서(氾勝之書)』의 농법 | 흉노와 한의 관계 | 고가(藁街)의 주민들 | 다비료 농업의 경영자 | 표주박으로 돈을 번다는 발상

제11화 바다와 여자와 술과 ‘반란’
바다가 떠받친 일본의 농업 | 바다 사나이의 사보타주 | 왕망의 새로운 세금 제도 | ‘바다로 들어간’ 여모(呂母)들 | ‘해변’의 이모저모 | 여모의 출신

제12화 전국시대 남자의 꿈 실현(?!)
맹자의 이상 사회 | 진한시대 남성의 가사 능력 | 상홍양(桑弘羊)의 경제정책 | 정경세작(精耕細作)과 의사(擬似) 삼림 | 견직물 생산 보급의 여파

제13화 조조도 어쩌지 못한 황하의 동결
『삼국지』의 무대는 추웠다 | 조조의 세력 확립 | 황하 동결 | 날씨가 추워져 이동한 사람들 | 기온 변화가 바꾼 생활 | 선비족과 흉노의 동결 대응

제14화 균전제, 또 다른 면모
토지를 ‘지급’하는 법령의 내용은? | 북위 균전제의 특질 | 식수(植樹)의 전통8 | 당송 수목관 ‘변혁’기(?!)

제15화 ‘빈곤한 황토고원’은 왜 생겼나
화북지역 수목 소실의 경위 | 하라호토의 비극 | 산서・태원 부근의 양잠 쇠퇴 | 중국의 환경 추이의 흐름

후기
역자후기

저자소개

하라 모토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게이오게이오기주쿠대학(慶應義塾大学)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가쿠슈인대학(学習院大学)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쿠슈인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조수(助手)・연구원, 유통경제대학(流通経済大学) 경제학부 교수를 거쳤다. 연구 분야는 중국환경사이며 저서로는 『古代中国の開発と環境』(研文出版, 1994), 『「農本」主義と「黄土」の発生』(研文出版, 2005)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중국고대사(전국·진한시기)와 출토 문헌 및 고대동아시아사 전공. 전국·진한시기 국가권력의 성격, 변경 지역의 실태, 사상 문화의 보급 및 고대 중국과 한국의 관계 등을 연구해 왔다. 주요 논문으로 「전한시기 『논어(論語)』의 전파와 그 내용-새로운 출토문헌 『논어(論語)』의 『제론(齊論)』설과 관련하여-」(2018), 「前漢時期 西域 境界를 왕래한 使者들 -『敦煌懸泉置漢簡』 기사를 중심으로」(2021) 외 다수와 주요 역서로 『문자의 발견-역사를 흔들다』(2016), 『간독이란 무엇인가?』(2017),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2023)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일본 근대사, 일본 기독교사를 전공했다. 근대국가와 전쟁, 종교 문제에 관심이 있으며, 최근에는 일본 여성사의 관점에서 근대 일본 여성의 사상 형성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공저로 『일본사 시민강좌』, 『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메이지 인물 6인의 삶을 관통한 국가』, 『근현대 동아시아 지식장과 정치변동』 등이, 번역서로 『환경으로 보는 고대 중국』, 『서양을 번역하다』, 『번역된 근대』(이상 공역), 『한중일 비교 통사』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