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요, 선사의 체험으로 풀어내다 - 하

선요, 선사의 체험으로 풀어내다 - 하

고봉 스님 (지은이), 설우 스님
  |  
조계종출판사
2014-08-01
  |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요, 선사의 체험으로 풀어내다 - 하

책 정보

· 제목 : 선요, 선사의 체험으로 풀어내다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55800188
· 쪽수 : 376쪽

책 소개

설우 스님이 강설한 『선요, 선사의 체험으로 풀어내다』는 ‘무심과 평상심, 깨달음과 보살만행, 정과 혜, 지혜와 자비’라는 관점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어, 자칫 편견과 오류에 빠질 수 있는 수행의 문제를 균형과 조화로 승화시키고 있다.

목차

上권 목차

머리말.7
서문_ 선은 부처님의 마음, 교는 부처님의 말씀.13
고봉 화상 행장.27
고봉 화상 선요서.35
선요발.51
1. 개당보설.73
2. 대중에게 보임.167
3. 직옹 거사에게 보임.211
4. 결제에 대중에게 보임.233
5. 대중에게 보임.243
6. 해제에 대중에게 보임.259
7. 대중에게 보임.267
8. 기한을 정해서 대중에게 보임.299
9. 대중에게 보임.305
10. 저녁법문.329
11. 신옹 거사에게 보임.335

下권 목차

머리말.7
12. 대중에게 보임.13
13. 결제에 대중에게 보임.45
14. 대중에게 보임.55
15. 단오에 대중에게 보임.69
16. 대중에게 보임.75
17. 이통 상인에게 보임.97
18. 대중에게 보임.103
19. 해제에 대중에게 보임.121
20. 대중에게 보임.141
21. 섣달 그믐날 밤의 소참.177
22. 대중에게 보임.217
23. 결제에 대중에게 보임.235
24. 대중에게 보임.243
25. 섣달 그믐날 밤의 소참.267
26. 대중에게 보임.281
27. 직옹 거사에게 답하는 글.309
28. 앙산 노화상이 사법을 의심하는 것을 풀어드리는 글.339
29. 방장실의 삼관.371

저자소개

고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남송(南宋) 가희 2년(1238)에 출생, 중국 복건성 밀인사에서 출가했다. 교(敎)와 선(禪)에 두루 밝았으며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니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가는고”라는 화두를 참구하다가 1261년 확철대오했다. 육조 혜능대사의 22대 적손인 설암 조흠선사의 법을 이었다. 고불(古佛)이라 널리 칭송받은 고봉화상의 문하에 학인들이 운집하여 커다란 화상을 이루었다. 1295년 세수 58세, 법랍 43세로 입적했다. ◆ 일찍이 우리나라의 강원 교재로 채택되어 선문 납자들을 바르게 이끌어온 『고봉화상선요·어록』은 시대를 초월하여 참선하는 이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
펼치기
설우 ()    정보 더보기
설우 스님은 1971년 대한불교조계종에 입산하였으며 제방선원에서 35안거를 성만했다. 승가고시위원, 승가청규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조계종 기본선원 교선사이며 청주 법인정사에 주석하고 계신다. 스님은 실참을 통해 깨달음을 직접 체험하시고 대중선을 주창하시며 저잣거리에서 생활선과 보살만행을 펼치고 계신다. 특히, 스님은 수행과 보살행, 지혜와 복덕이 둘이 아님을 몸으로 보여 주시고 있으며, 노인복지, 소년소녀가장 돕기, 독거노인 돕기, 도시락배달불사 등 밝은 깨침의 등불을 자비실현으로 회향하고 계신다.
펼치기

책속에서

“참선(參禪)은 문자를 세우지 않으며 닦아 증득함을 빌리지 않음을 종지로 삼는다”고 했습니다.
『선요』의 첫 구절입니다.
서문을 강의하지 않고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고 싶어도 이 서문의 한 구절 때문에 그냥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선요』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이 첫 구절에 우리가 왜 불교를 믿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 믿음으로 인해 우리에게 어떤 변화가 오고, 어떤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해답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45년간 많은 법을 설하시며 드러내시고자 한 종지도 이 글귀만 잘 알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상권, 40쪽)

의심은 믿음으로써 체(體)를 삼고, 깨달음은 의심으로써 용(用)을 삼는 줄 알아야 한다. 믿음이 십분(十分)이면 의심이 십분이고, 의심이 십분이면 깨달음이 십분이다.(상권, 347쪽)

선에서는 이것을 ‘근본자리는 모두가 부처님과 똑같다’고 이야기합니다. 무엇이 똑같은가? 우리 마음을 쓰는, 작용하는 기능이 똑같다는 것입니다. 부처님도 볼 줄 아시고 들을 줄 아시고, 우리도 볼 줄 알고, 들을 줄 압니다. 부처님이나 우리나 똑같습니다. 하지만 부처님께서 드러내는 효능과 우리가 드러내는 효능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기능은 똑같은데 효능에 차이가 있다는 말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공덕성에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부처님의 공덕과 우리의 공덕에 차이가 납니다. 부처님은 연기로 이 세상을 보고 연기법으로 삶을 사시기 때문에 모든 생명 세계에 행복을 주고 자유로움을 주고 축복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그 공덕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즉 그대가 나의 생명의 은인이요, 그대와 나의 생명자리가 끊어져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상권, 44쪽)


불자님들이 수행을 할 때는 첫째, 열심히 경학을 배우고 둘째, 보살행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착한 인성이 살아나면서 화두에 대한 의정이 물안개 피어오르듯 자연스럽고 쉽게 올라오게 됩니다. 그때 의정을 세우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절대 열이 올라와서 생기는 상기병도 없습니다. 신심이 지극한 사람은 상기병이 없습니다. 그런 생각 없이 화두만 타파하고 견성하면 된다는 의욕만으로 공부를 하면 급한 생각이 들고 상기병도 됩니다.(하권, 34쪽)

이 자리는 우리가 중생심이라는 집착을 깨뜨리고 부처의 세계에서 그 소식을 그대로 드러낸 자리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중도라 할 수 있고 안신은 곧 무심(無心)의 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심은 평상심(平常心)입니다. 비유하자면 무심은 손등이요, 평상심은 손바닥입니다. 손등과 손바닥은 하나의 손입니다. 하나의 손에서의 작용이 하나는 지혜로 드러나고 하나는 자비로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지혜와 자비는 둘로 나눌 수가 없고 하나입니다. 무심과 평상심이라고 이야기했지만 무심과 평상심은 그 작용이 하나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평상심이 드러날 때 무심이 함께 가고 무심할 때 평상심이 함께 드러나는 도리라는 것입니다. 이것을 중도(中道)라고 합니다.(상권, 113쪽)

알음알이로 분별 번뇌의 물결을 일으키면서 화두공안의 해답을 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 화두에는 그 해답이 없다고 했는데, 그것은 중생의 분별심을 넘어서서 절대적인 체험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체험을 통해서 스스로 그 경지를 수용할 뿐이고, 인격적으로 그렇게 생활할 뿐이지, 해답으로써 풀려고 하면 안 됩니다. 고봉 스님이 말씀하신 허공이 부서지고 대지가 내려앉는 체험, 중생심이 완전히 불심의 세계에 들어가 티끌만한 번뇌와 이기심과 중생 업식 모두가 불심으로 전환되어 중생심이 완전히 해체되어버린 경지를 스스로 체험하는 것입니다.(상권, 161~162쪽)

예를 들면 내가 많은 생각을 하고 공부를 열심히 하고서 어느 날 어머니에게 “제가 이제 확실히 믿고 확실히 깨달았습니다”라고 하자 어머니가 “무엇을?”이라고 물었는데, “제가 어머니의 자식이라는 것을 이제 확실히 알았습니다”라고 대답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이 뭐 대단한 일입니까? 그 말 하는 자체가 눈에 티와 같다는 것입니다. 본래 부처자리에서 볼 때는 견성했다는 것 자체도 그렇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확실히 체험되어 생활 속에서 인격으로 그대로 보살 부처행을 할 경계를 말하는 것이지, 이치적으로 알아서 그렇게 하는 것은 필요 없는 이야기입니다.(상권, 248~249)

스님들 중에는 산에서 참선에만 전념하는 분들도 계시고, 잠시 포교나 행정을 맡아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어느 곳에 있건 부처님의 가르침이 중심입니다. 부처님과 가르침에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각자의 수행에 전념합니다. 마치 대문이 그 힘을 의지하는 돌쩌귀와 같습니다. 우리가 대문을 하루에 백 번을 열든지 천 번을 열든지 대문은 돌쩌귀에 의지해서 버팁니다. 대문이 돌쩌귀를 벗어나 버리면 그 문은 두 번도 못쓰고 부서지고 맙니다.
수행승이나 포교승이나 행정승에 대하여 높낮이 분별을 일으킨다든지 다른 평가를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모두가 일체중생을 위해서, 위로는 부처님의 법을 의지하고 또 자기 앉은 자리에서는 모든 인연을 교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상권, 190쪽)

공부가 좀 덜 됐을 때는 옳고 그른 것이 있고, 시비가 있고, 깨끗한 것이 있고, 더러운 것이 있고, 성인이 있고, 범부가 있는 등 이렇게 분별을 나누고 할 말이 많아지는데, 공부가 제대로 되면 그것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하권, 84쪽)

선방에서만 선이 살아 있고, 일상 가정에서 밥 해 먹고 청소하고 가족과 대화하는 것은 선이 아닌 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이 정말 선이고, 거기서 살아 있는 선을 해야 하는데 건너뛰어 버립니다. 건너뛰는 것이 심하다 보니까 부부간에 문제도 생기고 가족 간에도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선 공부는 내 가정생활을 잘하기 위해서, 현실을 행복하고 자유롭게 잘 살기 위해서 하는 것이지, 선을 잘하기 위해서 가정이 희생되어야 한다는 것은 전도된 것입니다.(하권, 327쪽)

이것은 내가 꼭 하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왜 공부하느냐? 일상생활에서 나도 행복하고 가족도 행복하고 이웃도 행복하고, 그 힘이 더 커지면 사회에 참여하고 이렇게 법을 잘 쓰고 마음을 큰 틀에서 쓰기 위해서 공부하는 것입니다.(하권, 329쪽)

우리는 보통 환경이 달라지면 내가 바뀌고, 사회가 좋아지면 내 살림살이도 좋아진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밖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내 생활, 행복감도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부처님 가르침은 다릅니다. 세상이 바뀌어 나에게 주는 것이 아니고, 내가 바뀌는 것입니다. 선은 나를 바꾸는 것입니다. 내가 나를 바꾸는 것입니다.(하권, 369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