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선 치료 마스터

건선 치료 마스터

(판상 건선의 재래식 치료법)

이주흥 (지은이)
대한의학서적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500원 -5% 0원
2,50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선 치료 마스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선 치료 마스터 (판상 건선의 재래식 치료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피부과
· ISBN : 9791155902011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21-10-08

책 소개

건선 치료에 관심이 있는 피부과 의사를 주요 대상으로 집필되었다. 따라서 저년차 전공의가 건선 치료의 개념을 공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고년차 전공의가 실제로 자신의 단독 외래를 담당하면서 건선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주 교재로 사용하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목차

Chapter1 우리는 왜 건선 치료에 실패하는가?
1. 치료 실패 이유는 ‘거짓말’하는 환자들 때문이다. 18
Q1 건선 치료는 실패하기 쉽다. 왜 그렇게 되는가? 18
Q2 건선 도포제 치료에 있어 얼마나 많은 환자들이 의사의 지시를 19
  이행하지 않을까?
Q3 환자들이 의사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19
Q4 순응도란 무엇인가? 20
Q5 순응도와 치료 성공의 지표들인 효능 및 효과는 어떤 관계일까? 21
Q6 효능과 효과의 차이는 왜 발생할까? 21
Q7 순응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22
Q8 효능, 시간, 편이성의 문제만 해결하면 순응도가 높아질까? 24
Q. 순응도: 신뢰를 높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24
2. 치료 실패 이유는 치료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의사들 때문이다. 26
Q. 의사들은 왜 건선을 과소 치료할까? 27

Chapter2 우리는 왜 건선을 치료해야 하는가?
건선은 질병의 임팩트가 크기 때문이다. 30
건선은 질병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31
건선은 피부 증상만으로 끝나지 않는 병이기 때문이다. 31
건선은 사회•경제적 손실을 많이 끼치기 때문이다. 32
건선은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이다. 32

Chapter3 건선의 중증도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Q1 건선의 중증도는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 36
Q2 어떤 중증도 평가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37
Q3 PASI 중증도란? 39
Q4 현재 사용되는 건선 중증도 평가의 한계는 무엇인가? 40

어떻게 건선을 치료할 것인가?
치료에 들어가기 전 준비해야 할 것 46
Q1 치료 목표 설정: 어떻게 할 것인가? 46
 건선 치료 목표: 완전한 피부인가? 47
 건선 치료 목표: 완전한 건강인가? 48
 건선 치료 목표: 환자들의 생각은 무엇일까? 48
Q2 치료 전략 수립: 어떻게 할 것인가? 49
Q3 알고리즘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50
Q4 마일스톤 제시: 마일스톤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51
Q5 성공 경험 공유: 왜 필요한가? 52
어떤 접근법을 사용할 것인가? 53
Q1 중증도별 접근법이란? 53
Q2 치료 단계별 접근법이란? 54
Q3 판의 특성에 따른 접근법이란? 56

우리는 건선을 어떻게 치료해 왔는가?
고대에서 1800년대까지: 원시적인 민간요법의 시대 58
1900년대 초부터 1960년대까지: 도포제 중심 시대, 광선요법의 태동 59
1970년대: 광선요법의 성장기, 경구용 전신 치료제의 등장 59
1980년대: 경구용 치료제의 라인업 60
1990년대: 재래식 치료법의 완성기 61
2000년대: 또 하나의 도약 – 생물학적제제 62

국소 도포 치료: 건선 치료의 시작, 그리고 마무리
국소 도포 치료의 4‘W’+1‘H’ 64
Q1 국소 도포제는 언제 주로 사용해야 하는가? When? 64
 중증도 별 도포제의 역할은 어떻게 다른가? 66
Q2 국소 도포제는 어느 부위에 주로 사용하는가? Where? 67
 손발바닥 부위의 국소 도포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69
 두피 건선이 잘 치료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70
 두피의 국소 도포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70
 샴푸 타입의 도포제는 언제 사용하는가? 71
 액체 혹은 겔 타입의 도포제는 언제 사용하는가? 71
Q3 국소 도포제는 어떤 환자에게 주로 사용할 것인가? For whom? 72
Q4 어떤 도포제를 사용할 것인가? What? 74
Q5 국소 도포제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How? 77
 국소 도포제 치료에서 유지 치료는 꼭 필요할까? 80
 국소 도포제 장기 유지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안전성은? 80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건선 치료의 ABC 83
 스테로이드의 다양한 이름은 각기 무엇을 의미하는가? 83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왜 이렇게 종류가 많을까? 84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효능(efficacy)과 효력(potency)은 어떻게 다른가? 84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왜 도포 부위에 따라 강도(효력)를 85
달리해야 하는가?
 왜 부위별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흡수율은 차이를 보일까? 86
 각질층은 어떻게 물질 흡수를 조절하는가? 86
 흡수율이 낮은 부위에는 왜 효력이 높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88
사용해야 하는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높은 효력을 나타내려면 어떤 특성을 갖추어야 88
하는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효력은 어떻게 평가되나? 89
 건선에서 판이 두꺼워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90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피부 위축의 발생기전은 91
무엇인가?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된 병변이 치료 중단 이후에 바로 92
재발하는 이유는?
 Clobetasol propionate: 유용한가? 위험한가? 93
국소 비타민D 유도체 96
 칼슘 대사에 작용하는 비타민D가 어떻게 건선에 치료 효과를 96
보일 수 있을까?
 건선의 발병과 비타민D 결핍이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97
 국소 비타민D 유도체: 과연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98
 비타민D를 경구 투여하는 것도 건선에 효과가 있을까? 98
 국소 비타민D 유도체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떤 차이가 있는가? 99
 국소 도포 비타민D 유도체는 어떤 치료 특성이 있는가? 100
 비타민D 유도체의 치료 특성을 이용한 활용법은? 101
 비타민D 유도체 사용시 유의할 점은? 102
복합 도포제(코르티코스테로이드/ 비타민D 유도체): 도포 치료의 주연 106
 왜 복합 도포제인가? 106
 복합 국소 도포제는 하루에 몇 번 발라야 하는가? 108
국소 calcineurin 길항제 110
 TCI의 효능은 어느 정도인가? 110
 TCI는 왜 안면 및 간찰 부위에만 효과가 있을까? 111
 TCI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111
 TCI는 어떤 부작용이 있으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111
다양한 국소 도포제 간의 비교 112
 건선 치료에서 대표적인 국소 도포제들의 상대적 효능은 과연 어떨까? 112
 어떤 국소 도포제가 가장 빠를까? 114

광선 치료
광선 치료의 역사 116
광선치료의 3‘W’+1‘H’ 118
Q1 광선 치료는 언제 주로 사용해야 하는가? When? 118
Q2 광선 치료는 주로 어떤 환자에게 시행해야 하는가? For Whom? 118
 광선치료 대상에 따라 주의해야 할 점은? 118
 광선 치료가 금기되는 경우는? 120
Q3 어떤 광선 치료법을 선택할 것인가? What? 120
 어떤 파장을 선택할 것인가? 120
 어떤 형태의 기계를 사용할 것인가? 125
Q4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How? 126
 치료 시작 용량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126
 치료 빈도는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126
 광량의 증가는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127
 어떤 광선 용량 증가법이 더 유용한가? 128
 광선 증량 시 유의할 점은 무엇인가? 129
 광선치료 시 자외선 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129
 광선치료 후 유지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할까? 129
 광선 치료 종료 후 유지 치료는 필요한가? 130
 광선 치료 후 유지 치료를 하면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 131
 광선 치료 후 유지 치료는 환자에게 실제 이익이 있는가? 131
 광선 치료 이후 무엇으로 유지 치료를 할 것인가? 131
 광선치료 시 병용요법은 어떻게 시행해야 하는가? 132
 자외선 치료 시 병용요법을 고려하는 이유는? 132
 NBUVB는 어떤 치료법과 병용 시 가장 좋은 효과를 가져올까? 132
광선치료와 피부암 136
 광선 치료와 관련된 피부암 발생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136
 NBUVB는 BBUVB에 비해 피부암 발생 면에서 137
실제로 더 위험한 것일까?
 광선 치료와 관련된 피부암 발생 가능성 관찰 연구의 한계는 무엇일까? 137
 NBUVB를 진료 현장에서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138
광선치료의 작용 기전 140
 광선 치료의 효과는 어떤 기전을 통해 나타날까? 140
 자외선치료가 치료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효과 유지를 보이는 이유는? 141


건선의 전신 치료
전신 치료의 3‘W’+1‘H’ 148
Q1 전신 치료제는 주로 언제 사용하는가? When? 148
Q2 전신 치료제는 주로 어떤 환자군에 사용하는가? For whom? 150
Q3 어떤 전신 치료제를 사용할 것인가? What? 152
 효능의 평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어떤 지표를 보아야 하는가? 152
 안전성의 평가: 안전성 관련 의학적 정보를 그대로 믿어도 되는 걸까? 153
 신속성 평가: ‘powerful?’ vs ‘fast?’ 154
 비용 평가: 싼 약이 좋은가? 아니면 비싼 약이 좋은가? 154
 편이성 평가: 의사의 편이성? 환자의 편이성? 155
 CsA와 MTX는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일까? 156
 CsA와 MTX는 어느 약제가 더 신속할까? 157
 CsA와 MTX는 어느 약제가 더 안전할까? 158
Q4 전신 치료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How? 158
 CsA의 투약 기간은 어떻게 해야 할까? 장기 요법 vs 단기 요법? 158
 CsA의 단기 요법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시행해야 하는가? 159
 CsA의 단기 요법에서 투약 종료 시 용량 감량(tapering)이 필요한가? 159
 단기 요법에서 CsA의 치료 주기가 반복될 때 치료 성공률은 동일한가? 159
 CsA 단기 투약 시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약 없이 지낼 수 있을까? 160
 CsA를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적용 가능한 투여법은? 160
 MTX는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가? 161
 MTX는 얼마나 오래 투약할 수 있을까? 161
 전신 치료제의 사용 방법; 단독요법? vs 병용요법? 161
 어떤 치료제를 병용할 것인가? 161
 전신 치료제와 광선 치료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162
 치료 단계별 병용요법은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64
건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장기의 문제 166
 건선 환자에 있어서 주요 장기 관련 질환 발생 위험도는 166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건선은 그 자체로 간 질환 위험도를 높이는가? 166
 건선은 그 자체로 신장질환 위험도를 높이는가? 167
 건선은 그 자체로 암 발생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가? 167
Methotrexate (MTX) 168
 MTX 관련 간경화 모니터링: 간 조직검사는 아직도 필요한가? 171
Cyclosporine A (CsA) 171
 CsA 투여 시 어떤 혈압약을 투약할 것인가? 174
 CsA 투여 시 비가역적 신손상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75
Oral retinoid (Acitretin) 176

특별한 부위에 발생한 건선에 대한 치료
손발바닥 건선 184
 과연 PPP에 대한 전신 치료제의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185
안면 건선 186
두피 건선 187
간찰 부위 및 성기 건선 188

저자소개

이주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