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음식 이야기
· ISBN : 9791156058687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1-01-30
책 소개
목차
《K-food: 한국인의 똑똑한 밥상》을 출간하며
K-food의 정의와 특징
한식 K-food와 K-diet란?…11
한식의 특징…12
한식과 서양식의 비교…18
한식과 지중해식 비교…21
음양오행과 약식동원…26
한식의 기능성…27
전통 한식 상차림과 최근 상차림
상차림…34
상차림의 특징…38
상차림의 종류…39
상차림의 변천…48
식사 예절…50
김치
김치의 정의…59
김치의 역사…64
김치의 종류…66
김치 담금의 과학…75
김치의 영양과학…77
김치의 세계화 및 미래…84
장류와 코리안 패러독스
장류…86
장류의 역사…87
장의 종류…88
장류의 발효과학…93
장의 건강 기능성…97
발효의 이면…101
코리안 패러독스…102
장담기…105
장류의 세계화…109
기본 양념
한식의 짠맛…113
한식의 매운맛…115
한식의 단맛…117
한식의 신맛…119
한식의 향신료…120
한식의 꾸미기: 고명…130
고기요리
한식에 사용하는 기본 육류…134
한식의 다양한 고기 요리…138
한식 고기 요리의 독특한 특징 : 쌈…157
비빔밥
비빔밥…160
비빔밥의 재료…161
비빔밥의 유래…163
비빔밥의 철학과 영양과학…165
비빔밥의 건강 기능성…170
비빔밥의 미래…173
지역별 향토음식
향토음식의 정의…186
지역별 향토 음식…189
향토음식과 현재…216
전주음식
전주음식문화의 특징…219
전주음식문화의 배경…223
전주음식의 특징…226
대표적인 전주음식…233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 전주…238
전통주
역사…240
원료와 제조…243
술의 종류…251
다과
떡류…269
한과…272
과일류…277
기타…278
음료…281
민속음식과 통과의례
명절…293
통과의례…307
한식의 세계화
세계화의 현주소…318
세계화에 성공한 타국의 사례…321
향후 세계화 전략 방안…327
참고문헌…338
책속에서
한식은 영양학적으로 바람직한 채소류와 육류의 비율을 나타내고, 한식 조리법이 비교적 저열량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으며, 발효 음식을 많이 사용하는 등 건강식의 특성을 고루 갖추고 있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하여 여러 가지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대인들의 잘못된 식사로 인한 질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써 영양학적 우수성을 가진 한식은 지금 세계인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 ‘한식의 세계화’ 중에서
왜 우리 한식을 세계화해야 하는가?
첫째,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이다. 둘째, ‘한식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우리나라 국가 이미지 제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음식이 국제무대에서 문화 대사의 역할 을 하는 것이다. - ‘한식 세계화의 현주소’ 중에서
한식에 대한 깊이 있는 융복합적 학제간 연구를 통해 한식의 소금 문제를 과학적으로 명쾌하게 풀어야 진정한 ‘Korean Paradox’를 만들 수 있다. 또 다양한 한식의 식자재와 한식 식사패턴이 현대인들의 건강을 지켜주는 바람직한 식사라는 것을 모든 융복합 학문 연구에서 끊임없는 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물을 축적하여 빅데이터를 만들어 홍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식의 세계화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정부 각 부처와 대학, 기업, 연구소 등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일관된 한식의 세계화 정책들이 우리의 비빔밥처럼 잘 어우러져 계속 발전한다면 머지않아 과학적 근거 중심의‘세계인이 함께하는 한식’이 될 것이다. 이제 ‘한식 세계화’는 준비기를 지나 성장기를 맞이했으며, 그동안 많은 준비와 시행착오를 거쳤다. 앞으로 거친 바다와 같은 넓은 세계에서 살아남아 세계 속의 한식으로 자리매김하느냐는 순전히 우리 모두의 관심과 의지에 달려있다. - ‘장기적인 한식의 세계화 계획에 의한 정책 공조시스템 필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