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5606167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1-04-10
책 소개
목차
Start UP Mentor BOOK을 발간하며
Ⅰ. 학습목표
Ⅱ. 스타트업 학습내용
1.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2.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3.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4. 비즈니스(Business)
5.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6. 마케팅(Marketing)
7. 사업계획서(Business plan)
8. 투자유치(attraction of investment)
9.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10. 규제 및 법률(Regulation and Related laws)
Ⅲ.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1. 기업가정신 이해
2. 기업가정신 이념
3. 기업가정신 활동
4. 멘토링(Mentoring)
5. 멘토링(Mentoring) 설계
Ⅳ.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1.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2.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실무
3.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사례
Ⅴ.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1.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개요
2. 캡스톤 디자인 설계
3.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응용
4.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멘토 참여
Ⅵ. 비즈니스(Business)
1. 새로운 시장(New Market) 이해
2. What is business는 무엇을 요구하는가?
3.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 이론
4.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 실습
5.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 사례
Ⅶ.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1.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이해
2. 고객 개발(Customer Development)과 가설검증
3. 문제해결 제안(Problem Resolution Proposition)
4. 최소 존속제품 MVP(Minimum Viable Product) 활동
5. 시뮬레이션(Simulation)
6. 린 캔버스(Lean Canvas) 학습
Ⅷ. 마케팅(Marketing)
1. 마케팅(Marketing) 이론
2. 마케팅(Marketing) 전략
3. 마케팅(Marketing) 실무
4. 마케팅(Marketing) 사례
Ⅸ. 사업계획서(Business plan)
1. 사업계획서 기본
2. 사업계획서(Business plan) 전략
3. 사업계획서(Business plan) 실무
4. 사업계획서(Business plan) 사례
Ⅹ. 투자유치(attraction of investment)
1. 투자유치(attraction of investment)
2. 투자유치(attraction of investment) 전략
3. 투자유치(attraction of investment) 실행
4. 투자의 유치(attraction of investment) 핵심 사례
Ⅺ.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1.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이해
2.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실습
3.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선행기술 조사
Ⅻ. 규제 및 관련 법(Regulation and Related laws)
1. 규제 및 법률(Regulation and law)
2. 규제 및 법률(Regulation and law) 자문
편집후기
부록
Ⅰ. 문제 및 실습
Ⅱ. 용어 설명
책속에서
스타트업 멘토북을 발간하며
이미 세상은 초 연결 사회가 되었다. 초 국경 비즈니스에 수많은 기업들은 지금도 실패보다는 성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지구촌 곳곳에서 아이디어 창업이 시작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도 예비 기업이나 스타트업으로 준비하고 벤처기업으로 성장을 위해 글로벌 혁신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잘 아시다시피 벤처기업은 모험이 매우 필요하고, 불확실한 시장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인재와 팀원들이 사전 멘토(Mentor)자격 학습으로 벤처기업경영에 조력자 역할과 멘토의 역량이 필요한 시장이 형성된 것이다.
창업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그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멘토 자격(Mentor Qualification) 취득이 필요하다. 멘토로(Mentor)서 멘토링(Mentoring)은 창업자들이 많이 접하지 않은 영역으로 예비 창업이나 스타트업에 도전하는데 있어 매우 필요한 영역이다. 이러한 시장에 참여하는 창업자는 자신의 아이디어가 높은 수익이 예상된다는 착각에 빠질 수 있다. 참신한 아이디어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항해를 할 수 있기 깨문이다. 하지만 부족한 아이디어는 창조물에 대한 누군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시장이다. 자격을 갖춘다면 바로 이러한 시장에 멘토의 역할로 참여할 수 있고, 정부의 지원정책이나 투자기관 등에 멘토와 멘토링으로 활동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