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지리/지도책
· ISBN : 9791156131120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004
우리가 살고 있는
땅 두루 살피기
우리나라가 극동 지역에 있다고? 위치 _012
정동진은 정말 가장 동쪽에 있을까 _015
우리나라는 얼마나 넓을까 국토 _018
독도는 정말 우리 국토의 막내일까 _021
한반도는 언제 생겨난 땅일까 한반도의 역사 _024
고성 덕명리에는 왜 공룡 발자국이 많을까 _030
김치 맛은 왜 지역에 따라 다를까 기후 _033
대구는 왜 그렇게 더울까 _039
팔도강산이라는 말은 언제부터 썼을까 행정구역 _042
울쑥불쑥
산 넘어 찾아가기
산이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해 _048
높은 산 위의 평평한 땅 대관령 _051
산줄기 사이로 길을 이어 주는 고개들 _054
옛 고갯길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문경 새재 _058
산은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_061
지리산은 국립 공원 1호 _064
산은 많지만 지하자원은 부족해 _068
석탄을 가장 많이 생산했던 정선 _073
석회암 지역에는 왜 동굴이 많을까 _076
석회암 지형을 잘 보여 주는 단양 _080
우리나라에도 화산이 있을까? _082
제주도에서 볼 수 있는 화산 지형들 _085
굽이굽이
강물 따라 찾아가기
우리나라 하천의 특징 _090
낙동강이 휘돌아 흐르는 곳 안동 하회 마을 _094
강의 길이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일까 _097
세 개의 물줄기가 나뉘는 곳 태백 삼수령 _100
강물이 흘러가며 만든 땅들 _102
한강 속의 섬 여의도와 밤섬 _107
교통로로 이용되는 물길 _110
한강을 끼고 번성했던 마포 나루 _114
물을 가두는 댐과 호수가 된 강들 _117
호반의 도시로 불리는 춘천 _121
평평하게 쳐진
평야 둘러보기
평야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_126
호남평야가 품은 도시 김제 _128
삼각주는 어떤 곳에 만들어질까 _130
김해평야를 이루는 낙동강 삼각주 _133
화산 활동으로 생겨난 평야 _135
화산 활동의 흔적을 볼 수 있는 철원평야 _138
드넓은
바다 향해 나아가기
해안선이 단순한 동해, 복잡한 서해와 남해 _142
우리나라에서 섬이 가장 많은 신안군 _147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지형들 _150
모래가 만든 땅 신두리 사구 _155
갯벌은 마구 메워도 되는 땅일까 _157
수백 년에 걸쳐 간척된 땅 강화도 _162
섬은 육지와 동떨어진 곳일까 _165
동해 저 멀리 솟아 있는 섬 울릉도 _168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 _172
굴비로 유명해진 영광 법성포 _176
바다는 세계로 통하는 길 _178
세계를 향해 열린 도시 인천 _181
북적북적
도시 속으로 찾아가기
도시를 발달시키는 요인들 _186
교통 발달로 커진 도시 대전 _190
바다를 배경으로 발달한 도시들 _193
일제 수탈의 전진기지가 됐던 군산 _195
공업 단지는 어떤 곳에 들어서는 게 좋을까 _198
최초의 국가 산업 단지 울산 _202
도시가 커지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_204
급속히 팽창한 거대 도시 서울 _207
대도시의 기능을 돕는 지역들 _210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 수원 화성 _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