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행복론
· ISBN : 9791156220367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14-08-07
책 소개
목차
Prologue_6
^1장 어떻게 살아야 행복할 수 있을까?
들어가며_10 / 행복의 필요조건_18 / 행복가치 행동의 원천, 생각_26 / 생각의 전달함수, 자세_28 / 마무리하며_54
2장 행복가치 교육활동
들어가며_58 / 행복 프레임워크에서 교육활동의 의미_61 / 행복 프레임워크에서 취업의 의미_66 / 한국 사회 개요_68 / 취업 환경분석_70 / 교육 환경분석 _73/ 교육 전략_81 / 교육에 임하는 부모의 자세_83 / 교육에서의 부모의 역활_86 / 학습에 임하는 학생의 자세_96 / 대학입시 전략_99 / 고교에서의 대학입시 준비_110 / 재수에서의 대학입시 준비_115 / 연령별 교육 전략_121 / 나의 첫째 자녀 진로지도_128 / 나의 둘째 자녀 진로지도_137 / 마무리하며_141
3장 행복가치 경제활동
들어가며_144 / 경제 현장 현황_146 / 산업별 고용 및 경제활동 특성_155 / 가치 경제활동 전략_166 / 시기별 경제활동 전략_168 / 공무원같이 살기_172/ 취업하기_176 / 경제활동 방법론_182 / 재미있게 일하기_191 / 중소기업에서 살아남기_194 / 마무리하며_198
4장 행복가치 재산활동
들어가며_202 / 행복가치 투자의 원리_206 / 투자환경 분석_212 / 행복가치 투자 자세_214 / 주식투자 원리_215 / 주식투자 방법_220 / 포트폴리오 주식투자 방법_224 / 주식투자 시 유의사항_228 / 현물투자 방법_231 / 위험분산 투자방법_233 / 재산 상속 방법_235 / 투자활동 경험을 공유한다_238
5장 행복가치 거주활동
들어가며_244 / 용도별 부동산의 필요조건_246 / 행복가치 거주활동 목표_248 / 부동산시장 현황_249 / 거주활동을 위한 가치자세_252 / 거주활동 방법_253 / 가족의 보금자리를 안락하게 꾸민다_261 / 행복가치 활동 현황표 작성 예시_264 / 거주활동 경험을 공유한다_271 / 마무리하며_278
6장 행복 프레임워크 사용설명서
들어가며_282 / 초기 성과표와 평가표 작성하기_284 / 정기 성과표와 평가표 작성하기_292 / 마무리하며_296
Epilogue_298
부록
미즈내일 보도자료_300 / 중앙일보 보도자료_306
저자소개
책속에서
1장 요약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지만, 그것은 희망일 뿐이다.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구체적인 삶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한다. 행복은 인류가 항상 추구하는 궁극의 가치이다.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서 활동하고, 생각하고 고민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까?
올바른 위치에서 올바른 자세와 올바른 방향으로 행복의 가치를 얻기 위한 활동을 하면 되지만 ‘올바른’ 활동이란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바로 인간의 욕심과 착각, 남의 탓이 가장 큰 요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이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을까?
행복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 가치 생산 과정에서 얻는 행복. 둘째, 가치소비 과정에서 얻는 행복. 셋째, 생각으로 하는 행복이 있다.
이 책에서는 가치자산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얻는 행복을 “행복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우리는 잠자는 시간, 밥 먹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시간을 교육, 경제활동, 재산,
거주활동에 투입한다. 이것들을 가치 활동이라 한다. 즉, 가치를 얻기 위한 활동이다. 여기서 행복을 얻기 위한 가치 활동을 ‘행복가치 활동’이라 한다.
이 ‘행복 가치 활동’ 순환 구조는 생애 주기 단위로 이루어지며, 약 30년 단위로 다음 세대에 의해서 새로이 생성된다. 이 행복 가치 활동의 성과는 아주 서서히 만들어지고 쌓여서 후대에 상속까지 된다.
이 과정을 행복 프레임워크로 구조화할 수 있다. 행복 프레임워크는 ‘생각’이 ‘행복 가치 자세’를 통해서 ‘행복 가치 활동’으로 실행되고, 이 ‘행복 가치 활동’에 의해서 ‘행복 가치 성과’가 만들어지고, 그 성과에 의해서 ‘만족’이 만들어지고, 그 ‘만족’이 쌓여서 ‘행복’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행복’이란, “생각이 자세에 의해서 활동으로 실행되고, 그 활동의 성과를 행복 프레임워크에 채워 넣는 과정”이다.
2장 요약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할 만큼 교육은 한국 사회에서 이미 뿌리 깊은 문제이면서 동시에 한국 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사람에게 중요하다. ‘교육활동’은 부모의 입장에서는 ‘경제활동’의 중간과정에 만들어지는 활동이지만, 자녀의 입장에서 ‘학습활동’은 세상에 나와 처음으로 하는 ‘가치 활동’이다. 부모의 자산이 자녀에게 처음으로 상속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더 중요하다.
행복 프레임워크에서 교육은 사회진출을 위한 준비 과정이다. 초중고교육을 통하여 대학 진학이 이루어지며, 대학에서 하는 전공학습에 의해서 직장과 직업이 결정되고, 직업과 직장에 의해서 소득이 결정되고, 그 소득이 재산 형성과 거주지 결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개인의 입장에서는 행복 프레임워크의 가치 순환구조에서 시작점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독립 인격체로서의 성장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행복 프레임워크의 가치 자세가 상당히 결정되는데, 태어나서부터 사회 진출까지 교육이 개인의 ‘가치자세’를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장 요약
사람은 경제활동을 통해서 소득을 만들고, 그것을 기반으로 결혼을 하여 가족을 구성하고,
거주지를 마련하고, 또 자녀 교육을 하면서 다음 세대로 부모의 자산이 상속이 되는 된다.
우리가 학업을 마치고 경제활동을 시작하면 적어도 30년은 유지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난관과 좌절이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의지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자세를 바로 잡아야 한다. 정신자세 즉, 가치자세를 제대로 잡고 있어야 30년의 경제활동 기간을 버텨낼 수 있다. 그럼 경제활동의 의미부터 살펴보자.
경제활동은 경제활동가들을 중심으로 회사와 고객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그 경제활동가들은 회사와 고객에게는 임원이고 직원이고, 경제활동은 경제활동가의 입장에서는 ‘삶’이다. 이 경제활동을 통해서 경제활동가는 급여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 결혼을 통해서
가정을 만들고, 가정아래 자녀를 낳고 길러 다음 세대의 사회 구성원을 만든다.
이렇게 경제활동은 우리 인류가 대를 이어 존속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출산율이 1명대에 머물면서 인구가 급속히 감속할 것을 예견하는 현상은 많은 사람들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실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 살고, 행복을 위해 교육, 경제활동, 재테크를 하는데, 우리의 활동이
남에게 미래의 희망을 꺾는 결과를 초래한다면, 그런 활동이 가치가 있을 것인가 생각해
보아야할 것이다. 인간은 피임기술을 만들어내면서, 출산이 선택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선택을 포기한다면 인구는 줄어들 것이다. 올바른 경제활동으로 튼튼한 가정 경제를 만들어야지 자녀들을 길러 국가의 저 출산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나에게 최선의 경제활동과 더불어 남에게도 좋은 경제활동을 한번쯤 생각해볼 시점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