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56226673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5
머리말 … 7
제1부 | 한국선교의 역사 / 13
제2부 | 기독교 문화유산을 찾아서 / 39
1장 | 수도권과 강원도
서울특별시
1.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 42
2. 배재학당 … 48
3. 정동제일교회 … 52
4. 이화학당 … 55
5. 남대문교회 … 60
6. 구세군중앙회관(정동 1928 아트센터) … 63
7. 새문안교회 … 66
8. 승동교회 … 73
9. 연세대학교 … 77
인천광역시
1.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탑교회 … 88
2. 한국선교역사기념관 … 91
3. 한국이민사박물관 … 93
4. 내리교회 … 98
5. 강화 교산교회 … 102
6. 구 교동교회 예배당 … 106
경기도
1. 제암리 3·1운동순국유적지 … 109
2. 수촌교회 … 114
3. 최용신기념관 … 116
4. 한국기독교역사박물관 … 120
강원도
1. 구 철원제일교회당 … 126
2. 한서 남궁억 기념관 … 133
3. 원주 기독교 의료선교 사택 … 138
4. 원주제일교회 … 140
2장 | 충청권
대전광역시
1. 오정동 선교사촌 … 144
충청북도
1. 청주제일교회 … 148
2. 청주 탑동 양관 … 155
충청남도
1. 한국최초 성경전래지 기념관 … 162
2. 아펜젤러 선교사 순직 기념관 … 168
3. 병촌성결교회 … 172
4. 국가등록문화재인 구 강경성결교회 … 176
5. 한국 첫 침례교회 발상지 … 181
6. 공주제일교회 … 187
7. 영명중·고등학교 … 192
3장 | 영남권
대구광역시
1. 동산 청라언덕 … 200
2. 대구제일교회 … 212
3. 교남 YMCA … 216
4.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 218
5. 계성중학교 … 221
경상북도
1. 행곡침례교회 … 226
2. 용장교회 … 230
3. 봉화척곡교회 … 232
4. 영주제일교회 … 237
5. 부석교회 … 239
6. 안동교회 … 242
7. 송천교회 … 246
8. 군위성결교회 … 248
9. 자천교회 … 251
부산광역시
1. 초량교회 … 256
2. 부산진일신여학교 … 261
3. 부산진교회 … 264
4. 맥켄지 가문의 한국사랑 … 268
5. 한국기독교선교박물관 … 273
경상남도
1. 경남선교 120주년 기념관 … 276
2. 애국지사 산돌 손양원 기념관 … 282
3. 주기철 목사 기념관 … 288
4. 문창교회 … 296
5. 제일문창교회 … 299
4장 | 호남권
전라북도
1. 군산구암교회 … 304
2. 아펜젤러순교기념교회 … 309
3. 남전교회 … 314
4. 두동교회 … 317
5. 황등교회 … 320
6. 전주서문교회 … 324
7. 예수병원 … 328
8. 전주신흥중·고등학교 … 335
9. 금산교회 … 339
광주광역시
1. 오웬기념각 … 343
2. 광주 양림교회 … 346
3. 광주기독병원 … 349
4. 양림산에 남아있는 복음의 유산들 … 353
전라남도
1. 손양원 목사 유적공원 … 368
2. 장천교회 … 383
3. 순천시기독교역사박물관 … 386
4. 구 선교사 프레스톤 가옥 … 393
5. 매산관 … 395
6. 조지와츠 기념관 … 397
7. 광양기독교선교100주년기념관 … 399
8. 문준경 전도사 순교기념관 … 402
9. 소록도 … 408
10. 염산교회 … 413
11. 야월교회 기독교인순교기념관 … 420
12. 목포양동교회 … 423
13. 지리산 선교유적지 … 426
5장 | 제주도
1. 성내교회 … 432
2. 강병대교회 … 435
3. 모슬포교회 … 437
4. 대정교회 … 440
5. 금성교회 … 442
맺음말 … 445
주요 자료 제공처 … 447
저자소개
책속에서
로스 목사의 성경 번역에 참여한 백홍준은 1848년 의주에서 태어나 존 로스와 매킨타이어 선교사(목사)를 통해 복음을 받아들이고, 1876년 이응찬, 이성하, 김진기 등과 함께 매킨타이어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고 한국 최초의 개신교 신자가 되었다.
마펫과 게일 선교사의 길잡이로 의주와 강계 일대를 다니던 백홍준은 국법을 어기고 외국인과 내통한다는 죄로 2년의 감옥살이 도중 1893년 사망하였다.
한옥교회의 현존사례가 극히 드문 현실을 감안하면 이 건물의 희소가치가 매우 높다. 정면 4칸, 측면 4칸 규모로 정면과 측면의 비율이 1:1인 정방형의 평면으로, 내부 중앙에 있는 나무 주초 위에 세워진 두 개의 기둥으로 남녀의 공간을 구분한 칸막이 교회당이다. 초기 한옥교회는 건물 전면에 별도의 문을 두어 남녀 신자를 구분한 것이다.
전킨 목사가 갑자기 사망하자 그의 아내 메리 레이번(Mary Leyburn)이 남편의 선교 기념으로 교회당 종을 미국에 주문, 교회에 헌납하고 1908년 4월 4일 고향인 미국 버지니아로 돌아갔으며 1908년 12월에 종각이 완성되어 종을 달았다. 종의 직경이 약 90㎝로 종소리를 통해 전킨 선교사의 희생을 오래도록 기억하게 하였으나, 1944년 일제 말기 전쟁 무기 제조를 위해 일본 경찰이 빼앗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