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브레이징 접합 핸드북

브레이징 접합 핸드북

신영식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26,100원 -10% 0원
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6,1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브레이징 접합 핸드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브레이징 접합 핸드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화학/금속/재료공학 > 금속재료/재료공학
· ISBN : 9791156342410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7-12-18

책 소개

브레이징이란 단어는 낯설지만 사실 주변을 둘러보면 익숙한 기술이다. 전 세계 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브레이징은 자동차, 조선 등을 비롯해 백색 가전과 액세서리까지 우리 삶 전반적인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목차

머리말 04

제1장_브레이징의 개요

1. 브레이징의 정의 13
1-1. 온도에 따른 접합 분류 방법 13
1-2. 접합 메카니즘에 의한 분류 방법 13
1-3. 에너지 종류에 따른 접합 분류 방법 13

2. 브레이징의 역사 19

3. 브레이징의 접합원리 23

4. 브레이징의 기초이론 25
4-1. 금속간의 결합 25
4-2. 젖음현상 34
4-3. 모세관현상 38
4-4. 확산과 합금층의 형성 40
4-5. 모재의 용해와 용식 43

5. 브레이징의 특징 44
5-1. 이종금속 부품 접합 44
5-2. 크기가 다른 부품의 접합 44
5-3. 강한 접합 강도 45
5-4. 미려하고 정교한 접합부 46
5-5. 기밀성 등 다양한 특성 46
5-6. 수동 및 자동화 용이 47
5-7. 다양한 형태의 용가재 47
5-8. 기 타 49

제2장_브레이징 작업 공정

1. 설계 및 제작 52
1-1. 부품 설계시 고려사항 53
1-2. 브레이징 설계시 고려사항 71

2. 모재 세척 76
2-1. 동 및 그 합금의 화학적 세척액 77
2-2. 스테인리스강의 전처리 77
2-3. 탄소강과 저합금강의 전처리 78
2-4.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전처리 78
2-5. 티타늄합금의 전처리 78

3. 제품 조립 및 안착 79
3-1. 올바른 고정을 위한 고려사항 80
3-2. 올바른 고정을 위한 부품의 설계 방법 80
3-3. 제품 고정 시 기타 고려사항 81
3-4. 고정대의 실제 적용 예 82

4. 플럭스와 분위기 89
4-1. 브레이징 플럭스 89
4-2. 브레이징 분위기 103

5. 가열방법에 따른 브레이징 방법 108
5-1. 가스 토치 브레이징 방법 108
5-2. 로 브레이징 방법 155
5-3. 유도 브레이징 방법 179
5-4. 침지 브레이징 방법 182
5-5. 저항 브레이징 방법 183
5-6. 기타 브레이징 방법 187

6. 브레이징 후의 세척 방법 191

제3장_브레이징 합금

1. 브레이징 합금의 주요 원소 특성 194

2. 주요 브레이징 합금의 특징 198
2-1. 은계 브레이징 합금 198
2-2. 인 함유 브레이징 합금 202
2-3. 금/팔라듐계 브레이징 합금 204
2-4. 알루미늄계 브레이징 합금 206
2-5. 동계 브레이징 합금 207
2-6. 니켈계 브레이징 합금 207
2-7. 세라믹 브레이징을 위한 합금 208

3. 브레이징 합금 선택 시 기술적 고려사항 209
3-1. 모 재 210
3-2. 브레이징 방법 210
3-3. 브레이징 원가 211
3-4. 브레이징 합금 형상 212
3-5. 브레이징 합금의 융점 219
3-6. 합금의 용융 범위 220
3-7. 모재와의 친화력 220
3-8. 브레이징부의 강도 221
3-9. 브레이징 합금 원소의 증기압 222
3-10. 기 타 223

제4장_주요 모재의 브레이징 방법

1. 철강 재료 226
1-1. 순철 227
1-2. 탄소강 230
1-3. 철강재료의 브레이징 방법 242
1-4. 철강재료에 많이 사용되는 브레이징 합금 248

2. 스텐인리스강 재료 250
2-1. 스테인리스강의 종류 252
2-2. 스테인리스강의 브레이징 방법 242
2-3. 스테인리스강용 주요 브레이징 합금 248

3. 동과 황동 264
3-1. 동의 개요 264
3-2. 동합금의 개요 271
3-3. 황동의 개요 273
3-4. 동과 황동의 브레이징 285

4.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293
4-1. 알루미늄의 개요 293
4-2. 알루미늄 합금의 종류 296
4-3. 알루미늄 합금의 브레이징 방법 304
4-4. 알루미늄 용가재의 종류 324
4-5. 알루미늄 브레이징 용가재 형태 326

제5장_브레이징 시험과 검사

5-1. 퍼짐성 시험 331
5-2. 브레이징부의 전단 및 인장 시험 332
5-3. 방사선 투과 시험 336
5-4. 초음파 탐상 시험 336
5-5. 침투 탐상 시험 338
5-6. 누설 시험 338
5-7. 현미경 사진 분석 방법 339
5-8. 기타 시험 342

참고 문헌 344

저자소개

신영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고등학교 졸업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 석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금속공학과 박사 현) 서경브레이징 대표 현) KS Alloy Co. Ltd (India) 공동대표이사 현) 서경브레이징 학원 원장 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겸임교수 전) 홍익대학교 금속 조형학과 대학원 강사 대통령상 수상(우수 자본재 분야) 산업 포장 수상(우수 자본재 분야) 35개 이상 국내 및 국제 특허 보유 500개 이상 세계 원천 브레이징 기술 보유 세계 최고 브레이징 자동화 기술 보유
펼치기

책속에서

모재 세척

2-1 동 및 그 합금의 화학적 세척액
순동이나 인청동 등은 간단한 탈지나 산세처리로 충분하다. 그러나, 베릴륨 동이나 크롬 동 등은 충분히 산세하여야 한다. <표 2-7>은 동 및 그 합금별 세척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2-2 스테인리스강의 전처리
스테인리스강은 탄소강보다 산화되기 쉬운 원소(예: Cr)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척을 더 철저히 해야 한다.
탈지로는 용제나 알칼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8~20% 질산 + 1~4% 불화수소산 + 물’ 용액으로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는 기계적인 제거도 고려하며, 와이어 브러쉬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테인리스강제 브러쉬를 사용한다. 세척한 것은 바로 브레이징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오염이나 습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나 봉지 중에 보관한다.

2-3 탄소강과 저합금강의 전처리
이들 합금은 용제나 알칼리 등에 의한 탈지와 염산에 의한 세척으로 충분하다. 산화막이 두꺼운 연강이나 일반 강재는 15% 정도의 염산 수용액, 혹은 50~70℃로 유지된 10% 황산수용액에서 비교적 장시간 세척한다.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 질산이나 인산 등을 탄소강이나 저합금강의 세척에 사용하기도 한다.

2-4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전처리
알루미늄 표면의 유지(油脂) 성분이나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는 트리클로로에탄이나 트리클로로에틸렌 온액(溫液), 냉액(冷液)에 침지시키거나, 증기 중에 노출시켜 탈지한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표면의 산화막이 강하기 때문에, 질산과 불산의 혼합액을 세척액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NB(노코록)법은 플럭스의 활성이 강하고 브레이징성이 우수하여, 브레이징 전 알루미늄 모재 표면의 산화피막 제거를 위한 화학세정이 불필요하다.
탈지처리와 산세처리를 조합해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2-5 티타늄 합금의 전처리
티타늄 합금은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고강도를 필요로 한다면 세척을 철저히 해야 한다. 기름이나 지문,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비염소계 용매로 충분히 제거하고 잘건조한다. 수돗물로 세척하는 것은 염소가 합금 표면에 잔류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고, 순수로 세척하는 것이 좋다.
표면의 산화물 층이 두꺼운 경우는 2~4% 불화수소산과 20~40% 질산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560℃ 이상에서 형성된 산화물은 화학적으로 제거하기 곤란하므로, 기계적 방법으로 제거한다. 제거 후에는 산세하고, 브레이징 전에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등 건조 분위기에서 보관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