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약용식물과 한약

중국 약용식물과 한약

(한약명ㆍ약용식물명ㆍ학명ㆍ약용부위ㆍ약효ㆍ재배지 해설)

박종철 (지은이)
푸른행복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820원 -10% 0원
1,490원
25,3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약용식물과 한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약용식물과 한약 (한약명ㆍ약용식물명ㆍ학명ㆍ약용부위ㆍ약효ㆍ재배지 해설)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56370000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4-02-10

책 소개

중국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한약에서 희귀한 남방 약용식물에 이르기까지 주요 재배지와 약용식물원 그리고 한약시장까지, 한약의 전반을 이루는 현장을 만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중국의 한약전시관, 한의약대학, 한약국, 한약축제, 한약가공공장을 찾는 여정도 곁들였다.

목차

제1부 중국의 약용식물원
1-01 광시좡족자치구 광시약용식물원_ 廣西壯族自治區 南寧 廣西藥用植物園
1-02 윈난성 시솽반나 열대식물원_ 雲南省 西雙版納 熱帶植物園
1-03 윈난성 시솽반나 남약원_ 雲南省 西雙版納 南藥園
1-04 광둥성 중약연구소 중약표본원_ 廣東省 廣州 中藥硏究所 中藥標本園
1-05 광둥성 광저우중의약대학 약포_ 廣東省 廣州中醫藥大學 藥圃
1-06 광둥성 화난식물원 약원_ 廣東省 廣州 華南植物園 藥園
1-07 광둥성 화난식물원 생강과(科) 약용식물원_ 廣東省 廣州 華南植物園 姜園
1-08 베이징약용식물원_ 北京藥用植物園
1-09 하이난성 약용식물원_ 中國醫學科學院 藥用植物硏究所 海南分所
1-10 후베이성 우한식물원 본초원_ 湖北省 武漢植物園 本草園
1-11 후베이성 장령강약용식물원_ 湖北省 恩施州 長嶺崗藥用植物園
1-12 허난성 신정시 대추연구소 식물원_ 河南省 新鄭市 棗樹科學硏究所 植物園
1-13 광시좡족자치구 구이린식물원_ 廣西壯族自治區 桂林植物園
1-14 상하이식물원_ 上海植物園
1-15 푸젠성 샤먼식물원_ 福建省 夏門園林植物園
1-16 산둥성 칭다오식물원_ 山東省 靑島植物園
1-17 타이완 타이페이식물원_ 臺灣 臺北植物園

제2부 중국의 한약시장
2-01 허베이성 안궈 한약시장_ 河北省 安國 中藥材市場
2-02 광시좡족자치구 위린 한약시장_ 廣西壯族自治區 玉林 中藥材市場
2-03 광둥성 광저우 한약시장_ 廣東省 廣州 淸平中藥材市場
2-04 허난성 위저우 한약시장_ 河南省 禹州 中藥材市場
2-05 쓰촨성 청두 한약시장_ 四川省 成都 荷花池 中藥材市場
2-06 저장성 판안현 한약시장_ 浙江省 磐安縣 藥材市場
2-07 윈난성 쿤밍 한약시장_ 雲南省 昆明 菊花園中藥材市場
2-08 타이완 타이페이 한약시장_ 臺灣 臺北 藥材市場

제3부 중국의 한약 재배지
3-01 저장성의 온울금 재배지_ 浙江省 溫鬱金 栽培地
3-02 허난성의 회산약, 회지황, 회우슬, 회국화 재배지_河南省 懷山藥, 懷地黃, 懷牛膝, 懷菊花 栽培地
3-03 하이난성 고량강, 익지, 후추, 빈랑, 육두구, 정향 재배지_海南省 高良薑, 益智, 胡椒, 檳?, 肉豆?, 丁香 栽培地
3-04 하이난성 빈랑_ 海南省 檳?
3-05 닝샤회족자치구의 구기자 재배지_ 寧夏回族自治區 枸杞子 栽培地
3-06 닝샤회족자치구의 감초, 마황, 황기 재배지_ 寧夏回族自治區 甘草, 麻黃, 黃? 栽培地
3-07 윈난성 샹그릴라·리장의 고산약용식물_ 雲南省 香格里拉·麗江 高山藥用植物
3-08 윈난성의 사인 재배지_ 雲南省 砂仁 栽培地
3-09 윈난성의 석곡 재배지_ 雲南省 石斛 栽培地
3-10 윈난성 원산의 삼칠 재배지_ 雲南省 文山 三七 栽培地
3-11 산둥성 웨이하이의 서양삼 재배지_ 山東省 威海 西洋參 栽培地
3-12 후베이성 바둥의 죽절삼 재배지_ 湖北省 恩施州 巴東 竹節參 栽培地
3-13 허베이성 안궈의 한약 재배지_ 河北省 安國 漢藥 栽培地
3-14 후베이성 센펑의 한약 재배지_ 湖北省 恩施州 咸豊 漢藥 栽培地
3-15 후베이성 바둥의 한약 재배지_ 湖北省 恩施州 巴東 漢藥 栽培地
3-16 후베이성 대황 재배지_ 湖北省 恩施州 大黃 栽培地
3-17 후베이성 후박 재배지_湖北省 恩施州 厚朴 栽培地
3-18 광시좡족자치구 팡청강의 계피(육계) 재배지_ 廣西壯族自治區 防城港 桂皮 栽培地
3-19 백두산의 약용식물과 한약_ 長白山 藥用植物·漢藥

제4부 중국의 한약 전시관, 한약국
4-01 미라, 마왕퇴 한약전시관_ 湖南省 長沙 馬王堆 漢藥展示館
4-02 상하이의 동함춘당ㆍ채동덕당 한약국_ 上海 童涵春堂ㆍ蔡同德堂 漢藥局
4-03 상하이중의약대학 의약박물관_ 上海中醫藥博物館
4-04 광둥성 중약연구소 한약표본관_ 廣東省 廣州 中藥硏究所 中藥標本館
4-05 홍콩ㆍ마카오의 한약국_ 香港ㆍ澳門 漢藥局
4-06 대륙의 한약국_ 大陸 漢藥局
4-07 타이완 타이페이의 한약국_ 臺灣 臺北 漢藥局

제5부 티베트 의약
5-01 티베트의 전통의약서, 『사부의전』 _ Tibet 四部醫典 484
5-02 윈난성 샹그릴라ㆍ리장의 티베트 의약_ 雲南省 香格里拉ㆍ麗江 Tibet 醫藥 488
5-03 한국ㆍ일본의 티베트 의약_ 韓國ㆍ日本 Tibet 醫藥 494

제6부 한약축제, 박람회, 기업, 한의대, 기타
6-01 한약축제_ 安國 漢藥祝祭 500
6-02 상하이의 한약박람회_ 上海國際現代中醫藥展覽會 507
6-03 허베이성 한약가공회사_ 河北省 安國 金康迪中藥材飮片有限公社 516
6-04 상하이중의약대학_ 上海中醫藥大學 522
6-05 광둥성 광저우중의약대학_ 廣東省 廣州中醫藥大學 528
6-06 쓰촨성 청두중의약대학_ 四川省 成都中醫藥大學 531
6-07 쓰촨성 쓰촨대학 화서병원_ 四川省 四川大學 華西醫院 535
6-08 『열하일기』 속의 한약_ 熱河日記 韓藥 539
참고문헌
찾아보기
중국 약용식물원, 한약시장, 재배지, 한의약대학, 한약전시관, 한약국, 티베트의약 지도

저자소개

박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순천대학교 명예교수인 저자의 연구분야는 ‘약초(한약)의 약효성분과 효능’이다. 국립순천대 한약자원개발학과(현 바이오한약자원학과)에서 1988년 3월부터 32년 6개월간 교수로 재직한 후 정년퇴임하여 현재 사단법인 천수산약초연구회 부설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약학사, 약사)를 졸업한 후, 부산대 대학원 약학과에서 약학석사와 약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저자가 국내·외 학술지에 발행한 183편의 논문 중 엉겅퀴 연구는 전국의 약학대학 교과서인 《생약학》에 실리고, 해당화의 연구 결과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판사에서 발행한 책자인 《사포닌》과 중국의 국가중의약관리국에서 편찬한 국책도서인 《중화본초》에 수록되었다. 약력 •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총동문회 부회장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관평가 연구분야 분과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편집위원장 • 순천시 한방산업자문단 위원장 •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 소장, 유용천연자원연구소 소장, 김치연구소 소장 • 녹조근정훈장(정부 훈장) 수상 • 대통령 표창 수상 • 한국생약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국립순천대학교 학술상 수상 • 세계의 약초 특별전, 개인 전시회 개최(서울 강서구 허준박물관 특별전) • 세계의 약초를 만나다展, 개인 전시회 개최(국립순천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 세계의 생약자원을 찾아서, 전시회 개최(식약처 국립생약자원관 특별기획전) • 군산으로 통해(通海) 전시회 중 ‘인도네시아 침향, 후추, 소목 전시’ 참여(군산근대역사박물관 기획전시전)
펼치기

책속에서

광시좡족자치구 광시약용식물원(廣西壯族自治區 南寧 廣西藥用植物園)
중국에는 베이징(北京)약용식물원, 구이양(??)약용식물원, 하이난(海南)약용식물원, 난징(南京)약용식물원, 쓰촨(四川)약용식물원, 윈난(雲南)약용식물원 등 약용식물원이 여럿 있다. 그들은 주로 일반 식물이 아닌 약용식물을 모아 재배, 전시하면서 내실을 꾸리고 외관을 갖추었다. 시민들이 자유스럽게 드나들 수 있게 하여 한약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건강 상식을 높이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광시약용식물원은 중국 광시좡족자치구의 성도(省都)인 난닝(南寧)시 동북 지역에 위치해 있다. 식물원의 정확한 명칭은 ‘광시좡족자치구 약용식물원’이며 ‘중국의학과학원 약용식물연구소 광서분소’도 같이 있다. 약용식물원의 규모는 방문객을 놀라게 하는데, 일반 식물원 속에 약용식물구역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식물원 자체가 거대한 약용식물원이다. 1959년 설립된 이 식물원은 1981년에 현재의 광시약용식물원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식물원 내에는 새로 지어 말끔한 본부와 연구소 건물이 들어서 있었다. 제2입구의 문으로 들어서면 아치형의 웅장한 조형물이 나타나고 옆 건물에는 장쩌민(江澤民) 전(前) 주석이 썼다는 ‘광시약용식물원’의 대형 간판도 보인다.
식물원 안내판에는 개원 30여 년 이래 약용식물 2,130여 종과 약용동물 11종을 재배 이식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면적이 가장 크고, 약용식물 품종을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는 전문 약용식물원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이 식물원이 지금처럼 전문 약용식물원으로 자리할 수 있었던 것은 월 평균기온이 20℃ 이상으로 7개월이나 계속되는 기후도 한몫을 한다. 이 지역은 열대기후에 속하며 햇빛이 풍부하고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며 강수량이 풍부하다고 한다. 식물원에 들어서면 바닥에는 보도블록 한 장마다 왕불류행, 지모, 오미자, 황금, 시호 등의 한약명칭을 새겨놓았고 약용식물원의 냄새가 풍기도록 연출해놓았다. 약용식물원의 특색을 잘 살린 발상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입구에 들어서면 큰 나무에 씌어 있는 붉은 글씨의 ‘야생 용안’이 눈에 띈다. 남쪽지방이라 용안을 쉽게 볼 수 있다. 과일로 파는 용안 열매는 많이 봤지만 용안나무는 이곳에서 처음 보았다. 이 지방에는 용안 과육을 말린 제품이나 용안육을 넣어 개발한 제품들이 특히 많다. 건조 용안육의 제품 상자에는 ‘전국 용안 제일기지 광서(廣西)’란 표기를 해두었다. 『동의보감』에서는 생김새가 용의 눈알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용안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해남대풍자도 조그만 열매가 높은 가지에 달려 있다. 팔을 있는 대로 쭉 펴고 렌즈를 최대한 당겨 수십 장의 열매 사진을 찍어둔다. 방풍, 백지, 보골지, 사간, 항백국, 용아초, 다투라, 신차에도 꽃이 피어 있다.
첫 번째 찾은 7월에는 비가 억수같이 쏟아져서 물에 젖은 카메라로 사진 찍기가 매우 곤란했지만 두 번째 방문한 6월에는 한낮 최고 온도가 35도까지 올라가는 무더위 탓에 또다시 힘든 촬영 작업을 했다. 할 수 없이 30분 동안 촬영하고 10분 휴식하는 일정으로 사진을 찍기로 했다. 주위에 있던 한 여성 관광객이 더위를 이기지 못해 쓰러지는 응급사태가 발생하여 매표소의 영어 안내원에게 급히 전화를 해주어야 했던 일도 있었다.
영어 안내원인 왕전차이(王貞菜) 씨는 매표소에서 대기하면서 외국인 방문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제2입구의 문 촬영을 원하자 일부러 동행해주기도 하고 더운 날씨 탓에 탈진한 필자를 위해 생수를 가져다주는 등 친절하게 봉사했다.
이 식물원은 개인적으로 찾아가기엔 교통이 좀 불편하다. 베트남에서 가까운 지역이라 베트남 관광객들이 가족과 함께 많이 찾는다. 약용식물원에는 약선관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식당에서는 한약재로 만든 식사를 제공하고 있어 식물원의 특징을 잘 살린 특색 있는 약용식물원이었다. 식물원 입장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입장료는 우리 돈으로 3,600원 정도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