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음식에서 찾은 후루룩 마신 역사, 꿀꺽 삼킨 과학

음식에서 찾은 후루룩 마신 역사, 꿀꺽 삼킨 과학

(음식)

클레어 이머 (지은이), 사 부스로이드 (그림), 이승숙 (옮긴이)
열다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음식에서 찾은 후루룩 마신 역사, 꿀꺽 삼킨 과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음식에서 찾은 후루룩 마신 역사, 꿀꺽 삼킨 과학 (음식)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91156550006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14-10-15

책 소개

지식 교양 든든 2권.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에는 무엇이 숨겨져 있을까요? 여러분은 식빵이 푹신푹신한 이유에 대해 알고 있나요? 후추 때문에 전쟁이 일어난 사실은요? 매일 먹는 음식에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놀라운 역사와 신기한 과학이 담겨 있다.

목차

월요일 : 햄, 빵, 토마토, 수박
화요일 : 마카로니, 치즈, 후추, 포도
수요일 : 핫도그, 겨자, 포테이토칩, 아이스크림
목요일 : 달걀, 파타 빵, 마요네즈, 사과
금요일 : 피자, 피망과 고추, 양파, 허브
토요일 : 땅콩, 바나나, 토르티야, 향신료
일요일 : 닭, 감자, 옥수수, 초콜릿

10가지 음식에 대한 별난 진실!
이럴 땐 이 음식!

저자소개

클레어 이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원 한복판에서 태어나 지금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외딴 섬에서 살고 있어요. 이전에 북극과 유럽의 대도시에서도 살았는데 그때 쓰레기를 많이 배출했기 때문에, 이제라도 쓰레기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지은 책으로는 2013년 캐나다 청소년 우수과학도서상인 레인 앤더슨 수상작 《세상의 편견을 깬 과학자들》과 《음식에서 찾은 후루룩 마신 역사, 꿀꺽 삼킨 과학》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이승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오랫동안 외국의 좋은 어린이 책을 찾아 우리말로 옮기고 소개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쓰기도 합니다. 옮긴 책으로는 ‘머니 박스’ 시리즈, 『어둠 속 어딘가』, 『아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놀랍고도 진실한 이야기』, 『영어인가 화성어인가』, 『내 방 찾기 전쟁』, 『자유를 향한 탈출-베첼 가족의 대담한 동독 탈출기』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사 부스로이드 (그림)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캐나다의 한 바닷가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일찍 일어나서 평온한 가운데 그림을 그리거나 맛있는 차를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책뿐만이 아니라 카드, 컵 받침, 수건 등 다양한 곳에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린 책 중에서 국내에 소개된 것은 《세상의 편견을 깬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에는 고기를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냉장고에 보관하죠. 그런데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는 소금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고 해요. 지금으로부터 약 2,000년 전, 로마의 한 작가가 햄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기록해 두었어요. 그 기록을 보면 당시 로마인들은 큼직하게 썬 돼지고기를 2주일 정도 소금에 넣어 두었다가 며칠 동안 불을 피워 연기에 익혔다고 해요. 그렇게 하면 고기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었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먹는 식빵이 푹신푹신한 이유는 이스트라는 미생물 때문이에요. 이스트는 설탕을 무척 좋아해요. 밀가루 반죽에 들어 있는 설탕을 먹어 치운 이스트는 수많은 공기 방울을 내뿜지요. 이 공기 방울이 나중에 빵 속에 송송 뚫린 구멍이 되는 거예요.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인도로 가는 더 쉬운 바닷길을 찾기 시작했어요. 그러다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라는 이탈리아의 탐험가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게 됐어요. 그는 그곳이 죽을 때까지 인도와 같은 동양이라고 믿었지만 사실은 아메리카 대륙이었지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