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5659504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12-31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6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4. 연구흐름도 14
제2장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추진 현황과 주요 현안
1. 조례 제정 현황과 주요 내용 16
1) 지자체 건축자산 조례 개요 16
2) 주요 내용별 지자체 조례 현황 18
2. 시행계획 수립 현황과 주요 내용 28
1) 수립 현황 28
2) 주요 내용 34
3)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소결 61
3.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주요 현안 76
제3장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추진 성과 분석
1. 정책협의회를 통해 본 광역지자체 정책 추진 현황 82
1) 광역지자체 정책협의회 운영 개요 82
2) 정책 추진 현황 83
2. 지자체 건축자산 정책 성과 심층조사 91
1) 광역지자체 설문조사 91
2) 지자체 면담조사 109
3.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추진 성과와 한계 126
1) 정책 추진 성과 126
2) 정책 추진 한계 128
제4장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과제 및 개선방향
1.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현안과 과제 134
1) 보전.관리 중심의 건축자산 제도와 개발.신축 중심의 운영부서 성격 상충 134
2) 기초지자체의 제도적 업무와 역할 미비 136
3) 사업 타당성 저하에 따른 인력.예산 확충의 어려움 137
4) 신규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비전 및 사업 내용 변화 필요 140
5) 건축자산에 대한 인식 저하 및 문화유산과의 차별성 부족 141
6) 정책 대상으로서 건축자산의 범위와 가치 판단 기준의 모호성 143
7) 지역건축기본계획과의 사업 내용 중첩 146
2. 건축자산 진흥 정책 개선방향 152
1) 기초지자체 및 국가 역할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152
2) 예산 재원 마련을 위한 신규 사업모델 개발 필요 160
3) 인식 제고를 위한 공무원.전문가 교육 및 워크숍 개발.운영 166
4)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 정책개발 및 정책연구 수행 169
제5장 결론
1. 연구의 성과 172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76
참고문헌 177
SUMMARY 181
부록 광역지자체 설문조사지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