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90일 밤의 우주

90일 밤의 우주

(잠들기 전 짤막하게 읽어보는 천문우주 이야기)

김명진, 김상혁, 노경민, 신지혜, 이우경, 정태현, 정해임, 홍성욱 (지은이)
동양북스(동양문고)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070원
18,6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90일 밤의 우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90일 밤의 우주 (잠들기 전 짤막하게 읽어보는 천문우주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57689200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23-05-19

책 소개

당신의 밤을 풍성하게 만드는 ‘90일 밤’ 시리즈. 이번에는 밤하늘의 ‘우주’를 담았다. 우리나라 대표 천문우주 연구 기관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8인의 천문학자가 들려주는 우주 이야기를 따라 90일 밤의 우주여행을 떠나보자.

목차

머리말

UNIVERSE 유 니 버 스 : 당신 머리 위 우주 이야기
Day 01 불 꺼진 천장 #우주 #Universe #세계관의진화
Day 02 모든 천체의 보금자리 #은하 #Galaxy #우리은하
Day 03 숲속에서는 숲의 전체 모습을 알 수 없다 #은하수 #Milkyway #하늘의건설
Day 04 스타는 스타★ #스스로타는 #별
Day 05 쌍안경으로 바라본 별들의 고향 #성운 #성단 #플레이아데스
Day 06 달, 우리의 벗 #Moon #보름달 #월식
Day 07 행성들이 빛나는 밤 #Planet #수금지화목토천해
Day 08 꼬리가 있는 별이 나타난다면 #혜성 #Comet #니오와이즈
Day 09 우주 먼지 입자들의 불꽃놀이 #별똥별 #별똥비 #유성폭풍우
Day 10 하늘에서 떨어진 로또? 돌? 화석! #운석 #진주운석 #태양계화석
Day 11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눈 #망원경 #전자기파 #제임스웹 #중력파
Day 12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눈 #망원경 #전자기파 #제임스웹 #중력파
Day 13 전파의 눈으로 밤하늘을 본다면? #전파 #보데은하그룹
Day 14 큰 것은 작은 것을 대신한다 #가장 #큰 #망원경
Day 15 당신 카메라 속 우주 #천체사진 #천체사진공모전
Day 16 자세히 보고 (얼마나 예쁜지) 숫자로 기록하다 #관측 #측성학 #측광학
Day 17 한낮의 다이아몬드 반지 #일식 #SolarEclipse #개기일식
Day 18 갸우뚱함이 만들어내는 지구의 리듬 #계절 #자전 #공전
Day 19 천체의 주기적 현상을 기준으로 만든 시간의 기록 #역서 #양력
Day 20 아름다운 오로라가 GPS를 방해한다고? #오로라 #우주날씨 #GPS
Day 21 지구를 둘러싼 푸른빛 #대기광 #Airglow #전리권
Day 22 밤하늘의 재미있는 볼거리 #별자리 #나만의별자리
Day 23 우리 하늘을 담은 별자리 #KoreaConstellation #노인성
Day 24 세계적인 유산, 천상열차분야지도 #천문도 #3원28수
Day 25 별, 너의 이름은? #명명법 #외계행성이름짓기 #소행성이름짓기
Day 26 불을 끄고 별을 켜자 #빛 #빛공해 #광해
Day 27 별 보러 가자 #우리나라천문대 #소백산 #보현산
Day 28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경주첨성대 #왕실천문대
Day 29 별 보는 데 외계인의 도움은 필요 없소! #세계최초천문대 #고고학유적 #연구용천문대
Day 30 이스탄불에서 만난 천문기기들 #천문학박물관 #아스트롤라베
Day 31 조선의 하늘을 관측하라 #간의 #소간의 #표준관측시스템
Day 32 하늘을 담은 그릇 #앙부일구 #해시계

SPACE 스 페 이 스 : 우주 탐사와 뉴 스페이스
Day 33 창백한 푸른 점; 보이저가 본 지구 #Earth #보이저호 #우주탐사
Day 34 태양계 인싸 #소행성 #별처럼보이는 #별은아님
Day 35 붉은 지구 #Mars #화성 #로버
Day 36 플라이 미 투 더 문 #아폴로 #아르테미스 #MoontoMars
Day 37 리턴 투 스페이스 #우주왕복선 #뉴스페이스
Day 38 우주에 띄운 거대한 인공 물체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인
Day 39 로켓도 재활용이 되나요? #팰컨9 #재활용로켓 #스타십
Day 40 우주를 향한 대항해 #달탐사 #달에가려는이유
Day 41 우주로 가는 내비게이션 #달항법 #MoonLight #우주여행
Day 42 우주에서 길을 찾다! #궤도 #InterstellarSuperhighway
Day 43 2029년 4월 13일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아포피스 #가장안전한소행성 #우주이벤트
Day 44 누가 내 타깃에 돌을 던지는가? #충돌실험 #우주교통사고 #자연실험실
Day 45 지구를 지키는 우주 방위대 #스페이스가드 #우주방위대 #지구방위대
Day 46 그렇게 해서라도 우주를 깨끗하게 보고 싶었습니다
Day 47 #허블우주망원경 #제임스웹우주망원경
Day 48 K-GPS, 넌 나만 바라봐 #KPS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Day 49 GPS 한발 더 들어간 이야기 #GPS #007격추
Day 50 지구를 위한 모션 캡처 #GNSS #아바타 #지구평화
Day 51 우주선 공동묘지, 포인트 니모 #Nemo #물고기아님 #지구재진입
Day 52 나를 잊지 말아요 #인공위성의생애 #우주잔해
Day 53 오늘의 우주 날씨입니다 #태양폭발 #우주폭풍 #전리권교란
Day 54 코로나 수수께끼 #코로나 #태양풍
Day 55 이번 휴가는 우주에서? #우주여행 #우주교통시대
Day 56 지구의 미래 #지구온난화 #탄소중립 #우주태양광발전
Day 57 우주 시대의 고민 #우주인터넷 #스타링크 #우주쓰레기
Day 58 탐험하고 발견하고 확장하자, 인류를 위해 #우주기구 #NASA가뭐길래
Day 59 지구는 어떻게 찾으셨나요? #외계행성찾기 #프록시마b

COSMOS 코 스 모 스 : 이론 속 우주 그리고 천문학자
Day 60 우주의 팽창과 끌어당김 #빅뱅 #우주팽창
Day 61 10억 광년을 가로지르는 세계수 #우주거대구조 #수억광년
Day 62 우리의 고향을 천문학적으로 말씀드리자면…… #핵합성 #초신성
Day 63 다 같이 돌자 태양 한 바퀴 #태양계 #SolarSystem #돌고돌고돌고
Day 64 상상 속의 검은 별 #블랙홀 #일반상대성이론 #사건의지평선
Day 65 블랙홀의 그림자를 보다! #EHT #사건지평선망원경
Day 66 블랙홀과 와이파이 #실패한 #관측 #WIFI
Day 67 당신이 느끼지 못한 우주 최강의 파동권, 중력파 #블랙홀 #충돌 #아도겐
Day 68 중력 네트워크로 연결된 만물 #중력 #관계
Day 69 우주의 어두움 #낮과밤 #빛과어두움
Day 70 우주를 지배하는, 나쁘지는 않은 어두움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Day 71 부서진 텔레비전은 왜 저절로 고쳐지지 않을까 #시간 #방향 #과거와미래
Day 72 미래를 향한 편도 티켓 #시간여행 #타키온 #웜홀 #상대성이론
Day 73 세종이 발명한 첨단 시계 #일성정시의 #별시계 #시각교정
Day 74 근대 유럽의 시간 측정을 위한 도전 #폴리오트 #진자시계
Day 75 동서양의 기계 시계 기술을 융합하다 #우주모델 #문페이즈 #혼천시계
Day 76 불변의 시간을 찾아서 #시계 #기준계 #시간이어떻게변하니
Day 77 3차원 공간이라서 행복해요 #공간 #3차원 #중력
Day 78 우주의 ‘천문학적’ 스케일 #우주의크기 #와닿지않는 #거대함
Day 79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구현하는 가상 우주의 진화 #시뮬레이션 #슈퍼컴퓨터
Day 80 당신은 지금 이 책을 읽고 있지 않다 #다중우주 #인플레이션 #양자역학
Day 81 사람 사는 이야기, 그리고 우주 #SF만화 #SF영화
Day 82 지구인의 무한 발상 #SF소설 #과학소설 #상상력

Plus Episode 우주, 그리고 천문학자
Day 83 만 원에 우주를 담다 #과학지폐 #혼천의
Day 84 옛 궁궐 속 천문 시설 #동궐도 #경복궁도
Day 85 우주를 향한 자신과의 싸움, 타인과의 연대 #대학원생 #협력 #공동연구
Day 86 천문학자는 오늘도 지구 밖으로 탐험을 떠난다 #출근하는천문학자 #천문학 #세부분야
Day 87 아마추어 천문학자는 아마추어가 아니다 #아마추어천문학자 #천체관측
Day 88 오레오 쿠키를 먹는 사람들 #IAU #국제천문연맹
Day 89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천문대의밤 #천문학자의밤 #야식
Day 90 클릭으로 한 번으로 천문 연구에 참여하고 싶다면! #모두의 #밤하늘 #시민참여과학

저자소개

김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책임연구원. 단지 별이 좋아서, 별 보는 재미에 빠져 천문학자가 되었다. 소행성이 저마다 다르게 생긴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믿는다. 현재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을 찾아내는 망원경을 만들고 있다. 과학을 좀 더 쉽고 재밌게 알리기 위한 유튜브 채널 〈룩업 LOOK UP〉에 콘텐츠를 올리며, 한국천문연구원 홍보대사로서 소행성처럼 겉과 속이 똑같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다닌다. 소행성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국제천문연맹이 33489번 소행성에 ‘명진김(Myungjinki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지은 책으로 《90일 밤의 우주》(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상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 1998년 고천문학과 인연을 맺고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국과학사와 문화재 공부를 시작했다. 고천문학 및 천문의기 복원·의의를 주로 연구하며, 대중을 위한 고천문학 강연에도 힘쓰고 있다.
펼치기
노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어릴 적 막연히 가졌던 과학자라는 꿈이 이제 생활이 되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최근 달 탐사나 GPS 같은 항법 위성으로 관심받고 있는 우주 측지·인공위성 궤도·위성항법 등이다.
펼치기
신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연구그룹 선임연구원 《오레오 쿠키를 먹는 사람들》을 읽은 뒤로 오레오 쿠키를 먹으며 퀘이사를 관측하는 천문학자를 꿈꾸게 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간식을 탐닉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은하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우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Universe에 대한 호기심으로 천문학에 발을 들였지만, 지금은 지구와 가까운 Space를 연구하는 우주 과학자이다. GPS로 대기를 연구하고 우주에서 오로라를 찍는 카메라를 개발 중이다.
펼치기
정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책임연구원 여러 전파 망원경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만든 가상의 큰 망원경으로 우주의 초미세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사상 최초 EHT 블랙홀 관측에 참여했으며,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정해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문학을 좋아했지만, 지금은 문학보다 천문학을 좋아하는 홍보인. 경이로운 우주 소식을 매일 듣고 읽고 말하고 쓴다. 20대에 공저로 어린이 과학책 2권을 출간했으며, 30대에 천문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펼치기
홍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문센터 선임연구원 우주론· 외계 생명 등을 연구한다. 소싯적 연필과 종이만 있으면 내 머리로 우주의 모든 것을 파헤칠 수 있다고 자만했지만, 지금은 컴퓨터를 시키는 게 더 쉽고 재밌다는 걸 알아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살아 숨 쉬는 우주, 누군가는 그 우주의 비밀을 풀어나가야 합니다. 저는 천문학자들이 인류를 대신해 그 일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항상 천문학자들의 연구를 응원하는 마음, 그들의 열정을 소문내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책을 펼친 당신도 곧 공감하게 될 거라 믿습니다.
--- 「머리말」 중에서


우주에 대한 탐구는 곧 우리의 존재가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위대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함입니다. 은하는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등불에 해당하지요. 그렇기에 은하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는 더 많은 은하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은하의 어두운 빛조차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답니다.
--- 「모든 천체의 보금자리」 중에서


자, 이제 우리는 이렇게 스스로, 그리고 수소로 타는 것만 별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그러니 더 이상 ‘지구별’이라는 단어를 쓰기는 어렵겠어요. 지구는 스스로 타지도, 수소를 연료로 이용하지도 않으니까요. 그렇다면 가장 밝게 빛나는 태양은 별일까요? 태양은 수소 기체로 가득 찬 거대한 천체입니다. 중심부의 온도와 압력은 엄청나게 높지요. 따라서 내부에서 스스로 수소를 태우며 빛나는 천체이기 때문에 별이 맞습니다. 태양은 우리와 가장 가까운 별인 동시에 태양계의 유일한 별이기도 하며, 스스로를 태워서 태양계에 빛과 열을 공급하는 고마운 존재입니다.
--- 「스타는 스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7689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