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온라인 마케팅 트렌드 2018

중국 온라인 마케팅 트렌드 2018

(모방으로 넘어 창조를 시작한 중국 온라인 생태계)

하리 (지은이), 김현주 (옮긴이)
e비즈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온라인 마케팅 트렌드 2018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온라인 마케팅 트렌드 2018 (모방으로 넘어 창조를 시작한 중국 온라인 생태계)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5783102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8-02-26

책 소개

한중 양국의 마케터가 중국 온라인 마케팅을 둘러싼 트렌드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던 캠페인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필요한 온라인 채널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전략으로 중국 소비자에게 다가가야 할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목차

프롤로그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의 디지털 환경
서문 변화의 물결, 그 중심에 선 중국

Chapter 1
중국 온라인 A to Z


왕민이 다르고, 매체가 다르다
중국의 페이스북과 카카오를 찾지 말라 | 한국에서 쌓은 온라인 마케팅 지식은 백지
로 만들어라
한국에서는 성공 모델이 없는 OTT
확장일로에 있는 OTT 산업
엘리샤 TIP 1 중국 동영상 사이트의 특징
한국의 파워블로거가 왕홍인가요?
매체별 왕홍의 특징 | 매체의 특성에 따라 왕홍의 활용도는 달라진다 | 왕홍 마
케팅 시 이 점을 주의하라 | 모바일과 동영상으로 물 만난 왕홍 | 왕홍의 어마어
마한 영향력
엘리샤 TIP 2 왕홍과의 협업, 비용 측정은 어떻게 할까?
구글과 아마존, 바이두와 타오바오, 한국은 오직 네이버?
상품 검색엔진은 따로 있다 | 타오바오 최적화는 필수 | 밥그릇을 챙기기 어려운
한국 기업
기획 없는 마케팅은 죽음의 늪!
브랜드 론칭 전 준비할 네 가지 온라인 마케팅
한국보다 발달된 O2O 환경과 디지털 마케팅
소비자를 모른 채 마케팅하는 것은 금물!


Chapter 2
중국 마케팅 채널 A to Z


아재도 하는 SNS의 위력
맥도날드의 웨이보 프로모션 | 커뮤니티 기능에서 벗어나는 웨이보 | 소셜 서비
스로 탈바꿈하는 BBS
브랜드 마케팅의 초석 바이두
바이두에 물어봐 | 바이두 빅데이터와 바이두 지수
위챗은 올인원 앱
다재다능한 위챗의 기능 | 위챗,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동영상 매체에서 마케팅의 효율을 찾아라
동영상+연동 커머스 | 동영상 + 왕홍의 최상 조합 | 동영상 마케팅의 꽃, 1인
미디어
중국 전자상거래에 대해 이해하고 마케팅 포인트를 활용하자
모바일 타오바오 내의 검색 충족은 필수!
엘리샤 TIP 3 중국 전자상거래의 핫 키워드
중국 내 경쟁사의 마케팅 위치를 파악해보자
웨이보 지수 알아보기 | 위챗 지수 알아보기


Chapter 3
중국 소비자가 있는 곳


중국 소비자가 한국 화장품을 사랑했던 이유
한류의 꽃인 패션은 왜 한계에 봉착했을까? | 한류 프리미엄이 사라질 때를 준비
하자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국의 도시 환경
도시 규모로 본 중국의 도시
엘리샤 TIP 4 새롭게 떠오르는 도시, 청두
엘리샤 TIP 5 상하이 사람이세요?
지우링허우(90后)를 잡아라!
본격적인 디지털 세대 등장 | 지우링허우의 다양한 특징
엘리샤 TIP 6 전자상거래는 놀이이다


Chapter 4
전자상거래와 마케팅


중국 역직구 그리고 마케팅
독특한 중국의 사업 방식 | 유커와는 다른 중국 소비자 | 역직구 사이트냐 티
몰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중국이라는 세계’에 집중하자
일대일로와 마윈


Chapter 5
캠페인으로 보는
중국 디지털 마케팅의 다섯 가지 흐름


모바일 예산의 급속한 증가와 첨단 기술의 사용
더블스크린 기술을 이용한 뉴발란스 | 시네마그래프 기술을 이용한 필립스
| H5 기술을 사용해 신차 홍보를 한 BMW | AR 기술을 이용한 로레알의 ‘요술
거울 앱’
관심도가 가장 높은 디지털 매체, 위챗
껌 브랜드 뤼지엔 ‘와이파이만 기다리니?’ | 요구르트 브랜드 안무시와 위챗의
홍빠오
광고주가 선호하는 콘텐츠 광고
의류 브랜드 메이터쓰방웨이, 예능 프로그램 안으로 들어가다 | 적당한 장면에 그
래픽으로 PPL을 삽입하는 비디오 인 광고
타깃층을 파악한 빅데이터 광고
자동차 브랜드 쉐보레 ‘나의 첫걸음’
영역을 허무는 통합 마케팅 광고
펩시콜라의 ‘즐거움을 집으로!’
엘리샤 TIP 7 중국 최대의 명절, 설

저자소개

하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1위의 온라인 마케팅 그룹 하이링크 총경리. 퍼블리시스 그룹, WPP 그룹 등 글로벌 마케팅 기업에서 근무하였고, 2014년에는 하이링크의 한국지사인 하이싱크 코리아를 설립하였다. 삼성, LG, CJ, 유한킴벌리 등 대기업은 물론, 다양한 중소기업과의 협업 및 다수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이 온라인 마케팅 및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現 중국 콘텐츠 마케팅 전문기업 icon china 대표. 광고 및 중국 비즈니스 경력 17년 차다. 국내 광고대행사의 기획자로 3년간 대기업의 TVCM 및 온라인 마케팅 기획을 담당했으며 2007년부터 10여 년간 중국에서 전자상거래 사업을 전개했다. 현재는 B2C커머스 분야에서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현지화 콘텐츠와 커머스 기획을 주로 담당하는 icon china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메이크샵, 한국관광공사 등에서 강의를 다수 진행했으며, 저서로 《니하오만 알아도 중국으로 가라》, 《중국 온라인 마케팅 트렌드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TV가 아닌 PC와 모바일에서 콘텐츠가 주로 소비되면 수익모델이나 시청자의 환경에 다양한 차이점이 생긴다. 중국의 OTT 업체들은 콘텐츠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1차 유료 고객 확보, 2차 동영상 뷰에 따른 광고 수익, 3차 e커머스 등이며,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이용자 데이터와 이용자 수는 앞으로 각 소비자의 위치와 선호, 취향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 데이터를 이용해 어느 영역으로든 수익 사업을 펼칠 수 있다.
광고 수익에 대해 살펴보자면 OTT 업체에서 방영되는 인기 드라마의 재생 전 스팟 광고 30초는 몇 억 원에 이른다. 한국으로 치면 TV 광고 매체 비용과 비슷한 수준이다.


메이파이의 왕홍들은 주로 별풍선으로 수입을 올린다. 매력적인 외모와 목소리, 장기 등으로 수입을 올리기 때문에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는다. 다만 메이파이 왕홍의 뷰가 판매로 이어지느냐는 장담할 수 없다. 매력 있는 왕홍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팔로워를 가지고 있느냐는 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연령대가 아주 어린 팬을 보유하고 있는 왕홍들이 많아 500위안(한화로 약 8~10만 원 이상의 제품들은 거의 판매가 어렵다.


페이스북이나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등에서 실시간 검색 순위를 본다는 이야기를 한국에서는 들어본 적 없을 것이다. 한국에서의 실시간 검색 순위 혹은 실시간 인기 순위 등은 네이버를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다. 네이버가 아닌 곳에서의 실시간 검색 혹은 인기 순위 확인은 낯설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하지만 중국은 웨이보의 실시간 이슈를 보는 사람이 많다.
최근 웨이보는 교류의 성격을 띄었던 커뮤니티의 기능보다 정보 수집과 토론의 기능에 더 큰 강점을 보이는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적극적인 공유나 밀착된 커뮤니케이션은 약해지는 추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