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보안/해킹
· ISBN : 9791158391898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20-02-05
책 소개
목차
[1부] 해킹 랩 구축
▣ 01장: 해킹 랩에서 할 수 있는 것
1-1 해킹 랩이란
1-2 이 책을 읽기 전에
___이 책으로 할 수 있는 것
___대상 독자
___필요한 배경 지식
1-3 해킹 랩의 변천
___인터넷 보급(1995년~)
___조립 PC의 보급(1998년~)
___상시 접속 보급(2000년~)
___무선랜, 가상 환경 보급(2005년~)
___스마트폰 보급(2010년~)
___클라우드 스토리지 보급(2014년~)
1-4 왜 해킹 랩을 만드는가?
___이 책의 목표
1-5 이 책이 목표로 하는 해킹 랩의 구성 예
___주 PC가 노트북인 경우
___주 PC가 데스크톱인 경우
___이 책의 네트워크 구성 예
▣ 02장: 가상 환경을 통한 해킹 랩 구축
2-1 가상 환경이란?
___가상화란?
___가상화 소프트웨어와 가상 머신
___왜 가상 머신을 사용하는가?
___가상화 소프트웨어의 종류
___호스트와 게스트의 관계
2-2 버추얼박스 설치
2-3 버추얼박스 기본 설정
___'기본 가상 머신 폴더' 변경
___버추얼박스 확장팩 설치
2-4 버추얼박스에 칼리 리눅스 설치
___리눅스란
___리눅스 배포판이란?
___칼리 리눅스란?
___칼리 가상 이미지 내려받기
___칼리 가상 이미지 설치
2-5 칼리 리눅스 시작
___칼리 시작 및 종료
2-6 칼리 리눅스 맞춤 설정
___해상도 변경
___화면 잠금 해제
___한국어 표시
___한국어 입력기 설치
___한글화하기
___시간대 설정
___네트워크 설정
___패키지 업데이트
___root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
___사용자 추가
___SSH 환경 구축
___자동 대기모드 기능 비활성화
___숨겨진 파일 표시
___터미널 사용자화
___터미널 바로 가기 키 설정
___터미널 확장
___테마 변경
2-7 파일 검색
___[파일]의 검색 기능
___locate 명령
___find 명령
2-8 칼리에서 패키지 설치
___데비안 패키지를 관리하는 dpkg
___dpkg를 조작하는 APT
___apt 설정 파일
___apt 명령의 대표적인 사용법
___dpkg 명령과 apt 명령의 사용처
___소스 코드에서 빌드하는 방법
2-9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것
___man 명령 활용
___섹션 번호
___man 한국어
___man2html 설치
2-10 별칭 활용
___별칭 등록 방법
___자신만의 명령을 별칭에 추가
▣ 03장: 호스트 운영체제 기본 설정
3-1 파일 확장자 표시
3-2 파일 및 폴더의 숨김 설정 해제
3-3 제어판을 바로 열 수 있게 설정
3-4 시작 메뉴의 주요 링크를 사용자화
3-5 메인 PC의 폴더 구성 고려
___설치 폴더 생성
___시스템과 데이터용 파티션 분리
3-6 호스트 운영체제와 게스트 운영체제 간 파일 교환
___파일 서버 이용
___FTP 서비스 사용
___윈도우 파일 공유 기능 사용
___버추얼박스의 파일 공유 기능 사용
___버추얼박스의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 사용
___정리
3-7 버추얼박스 파일 공유 기능 사용
___호스트 운영체제 설정
___게스트 운영체제에 게스트 확장 설치
___게스트 운영체제에서 공유 폴더에 접근
___마운트 위치 변경
___공유 폴더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 설정
___버추얼박스의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 사용
3-8 호스트 운영체제의 공유 설정 변경
3-9 윈도우 업데이트 관리
___윈도우 업데이트 방침
3-10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변경
___실시간 보호 끄기
___보호 기록에서 복구
___백신 검사에서 제외
3-11 자동 실행 설정 확인
___자동 실행 악용
___자동 실행 알림 설정
___자동 실행 끄기
3-12 공유 폴더에 'Thumbs.db' 파일 생성 중지
3-13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메뉴 맞춤 설정
___보내기 메뉴에 추가
___오른쪽 버튼 클릭 메뉴에 항목 추가
___폴더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했을 때의 메뉴 표시
3-14 저장소 센스를 이용해 불필요한 파일 삭제
3-15 런처 설치
___Wox
3-16 Git
___Git이란?
___해킹 랩 관점에서 보는 Git의 유용성
___개인 저장소에 프로그램 자산을 관리
___Git 폴더 구성 예
3-17 클라우드 저장소 활용
___대표적인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
___원드라이브와 드롭박스의 파일 복원 차이
___동기화 폴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___카메라 업로드 기능
3-18 Prefetch 기능 활성화
3-19 파이썬 설치
___파이썬 2와 파이썬 3의 혼합 환경 구축
___실행 환경 분리
3-20 BIOS(UEFI) 화면 표시
___바이오스와 UEFI
___UEFI와 기존 바이오스를 구별하는 방법
___기존 바이오스 설정 화면 진입
___바이오스(UEFI) 설정 화면 진입
▣ [2부] 해킹 실습
▣ 04장: 윈도우 해킹
4-1 윈도우7 해킹
___윈도우7 입수 방법
___테스트용 윈도우7 가상 머신 구축
___윈도우7 초기 설정
___Netcat을 이용한 셸 기본 연습
___Metasploit Framework 시작
___IEUser 권한의 'evil.exe'
___SYSTEM 권한 세션 은폐
4-2 윈도우10 해킹
___iso 파일로 가상 머신 구축
___윈도우10 ISO 파일 준비
___새 가상 머신 만들기
___가상 머신에 윈도우10 설치
___윈도우10 초기 설정
___윈도우10을 메타스플로잇으로 공격
___백신 우회
___페이로드를 다른 파일에 넣기
___사용자를 속이기 위한 다양한 테크닉
___키 로거로 정보 취득
▣ 05장: Metasploitable 해킹
5-1 Metasploitable로 리눅스 해킹 체험
___버추얼박스에 Metasploitable 가상 머신 구축
___Metasploitable 초기 설정
5-2 Metasploitable 공격
___Metasploitable에 각종 공격 실행
5-3 대표적인 로그 파일
5-4 Netcat을 사용한 각종 통신
___파일 전송
___네트워크를 통한 로깅
▣ 06장: 네트워크 해킹
6-1 유선 네트워크 해킹
___와이어샤크를 이용한 패킷 캡처
___tshark로 패킷 캡처
___MAC 주소에 대해서
___ARP 구조
___스위칭 허브의 학습 기능
___캡처 방법
___ARP 스푸핑
___arpspoof를 이용한 액티브 캡처
___MITMf로 중간자 공격
___BeEF를 통한 공격의 다양화
6-2 무선 네트워크 해킹
___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모드의 종류
___Monitor 모드가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구매
___칼리에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인식
___GUI에서 AP 검색
___표준 AP 검색
___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Monitor 모드로 사용하는 방법
___airodump-ng로 AP 검색
___WiFi 접속
___WEP 분석
___WPA의 해독
___MAC 주소 변경
___칼리에서 무선 네트워크 패킷 캡처
___윈도우에서 무선 네트워크 패킷 캡처
___WiFi Pumpkin을 통한 함정 AP 설치
▣ 07장: 학습용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웹 해킹
7-1 DVWA를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 해킹 체험
___DVWA 설치
___SQL 인젝션
___블라인드 SQL 인젝션
7-2 bWAPP bee-box로 웹 응용 프로그램 해킹 체험
___bWAPP bee-box 설치 및 설정
___PHP 코드 인젝션
___SSI 인젝션을 통한 셸 탈취
___인증 페이지에 사전 대입 공격
___File Inclusion을 이용한 셸 탈취
___Shellshock
___원격 버퍼 오버플로
▣ 08장: 로그인 인증 해킹
8-1 고정 키 기능을 악용한 로그인 화면 해제
___고정 키 기능을 이용한 로그인 화면 우회
___원상 복구
8-2 레지스트리 변경을 통한 백도어 구현
___레지스트리 변경을 통한 백도어 설치
[3부] 해킹 랩 확장하기
▣ 09장: 물리 장치 추가
9-1 해킹 랩에 라즈베리 파이 추가
___해킹 랩에서의 활용 예
___라즈베리 파이에 칼리 설치하기
___칼리 파이를 운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
___브리지 모드(Bridge mode)로 패킷 캡처
9-2 NAS 추천
___NAS의 하드웨어 고장으로부터 데이터 복구하기
___NAS 공유 디렉터리에 접속
___공유 디렉터리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할당하기
▣ 10장: 네트워크 환경 확장
10-1 원격 데스크톱을 통한 원격 조작
___RDP 활용 예
___RDP 접속 환경 구축
___칼리 가상 머신에 VRDP 접속
10-2 외부에서 해킹 랩에 원격 접속
___원격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___크롬 원격 데스크톱 설치
10-3 해킹 랩에 현실적으로 접근하기
___실습과 현실의 차이
___좀 더 현실적인 환경 구축하기 1
___좀 더 현실적인 환경 구축하기 2
▣ 11장: 해킹 랩에 도움이 되는 기술
11-1 가상 머신 정지 중 네트워크 변경하기
11-2 윈도우 자동 로그인
___사용자 계정 메뉴를 사용하는 방법
___Sysinternals를 이용하는 방법
___레지스트리로 설정하는 방법
11-3 빠른 DNS 서버로 변경하기
11-4 vhd 파일을 드라이브화해 읽기
11-5 버추얼박스의 스냅숏과 복제
___버추얼박스 백업
___가상 머신에서 스냅숏을 생성하는 방법
___스냅숏 복원
___스냅숏의 계층 구조 이해
___복제 활용
11-6 파일 종류 특정하기
___바이너리 편집기로 조사
___file 명령으로 조사하기
11-7 바이너리 파일 문자열 조사
___strings 명령으로 조사
___od 명령으로 조사
___Bintext 명령으로 조사
[부록]
▣ 부록 A: 리눅스 및 윈도우 명령어 빠른 참조
1. 리눅스 명령어 빠른 참조
___기본 명령
___해킹 관련
2. 윈도우 명령어의 빠른 참조
___기본 명령
3. 윈도우 실행 창에서 빠르게 내부 프로그램 실행
4. 환경 변수를 사용해 폴더에 접근하기
5. nano 명령표
6. vi 명령표
7. gdb 명령표
▣ 부록 B: 안드로이드 해킹
1. 안드로이드 해킹 환경 구축
___가상 머신에 Android-x86 설치
___Android-x86 초기 설정
2. 안드로이드 원격 조작
___안드로이드 원격 조작하기
▣ 부록 C: 해킹 랩에 도움이 되는 테크닉 +α
1. Hyper-V 와 버추얼박스
___Hyper-V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
___하드웨어 호환성 확인
___Hyper-V 기능 활성화
2. Vagrant를 이용한 칼리 가상 머신 구축
___Vagrant란?
___베이그런트 설치
___첫 베이그런트
___칼리 박스 만들기
___베이그런트 공유 디렉터리
___베이그런트 네트워크 설정
___박스에 대한 명령
___베이그런트 플로그인 추가
___프로비저닝으로 자동화
___베이그런트 업데이트